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장애인 직업능력평가, 전문성·객관성 높일 것

2019.02.21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를 위한 작업능력평가 기준을 ‘기준근로자’ 작업능력의 90%에서 70%로 강화함에 따라, 최저임금을 적용받게 된 장애인 노동자(최저임금 적용제외 미인가자)는 2017년 49명에서 2018년 282명으로 약 5.8배 증가했다”며 “예측됐던 수치 보다 늘어나지 못한 것은 시설 현장에서 진행되는 일회성 평가방식의 한계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기준 근로자 및 평가횟수 확대, 외부위원 참여하는 ‘작업능력평가 위원회’를 도입했다”며 “장기적으로는 사업장 현장 평가에서 공단의 직무별 표준평가로 전환하고, 평가사 역량강화 및 평가인력 확충을 통해 작업능력평가의 전문성·객관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월 21일 한겨레 <문턱 낮아진 최저임금 못받게 꼼수, 장애인 두 번 울리는 직업재활시설>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발달장애인 김성만(가명)씨는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에서 업무를 5년째 하는 숙련 노동자이지만, ‘장애인 최저임금 적용제외’에 해당되어 월급이 최저임금의 20%수준이다.

○ 기존에는 기준노동자와 견주어 생산력 90%이상이면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었는데 지난해 1월부터 기준이 70%이상으로 낮아졌다.

○ 평가기준이 낮아졌지만 기준을 넘는 이가 오히려 줄어드는 상황이 수치로 확인된다. `13~`17년 작업능력평가에서 생산력 70%이상 구간에 속한 장애 노동자는 506명에서 846명으로 증가추세에 있었으나, 기준이 낮아지자 70%이상을 평가 받은 장애 노동자수가 282명(2.9%)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 직업재활시설이 생산력이 특출한 사람으로 기준노동자를 선정해 소속 장애노동자의 작업능력평가 점수를 떨어뜨리는 등 ‘꼼수’를 썼을 가능성이 제기 된다.

[노동부 설명]

□ `18년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를 위한 작업능력평가 기준을 ‘기준근로자’ 작업능력의 90%에서 70%로 강화함에 따라,

○ 최저임금을 적용받게 된 장애인 노동자(최저임금 적용제외 미인가자)는 `17년 49명에서 `18년 282명으로 약 5.8배 증가하였음

* 미인가자 수: `13년 36명 → `15년 42명 → `17년 49명 → `18년 282명

□ 최저임금 적용제외 미인가자 수가 예측되었던 수치 보다 늘어나지 못한 것은 시설 현장에서 진행되는 일회성 평가방식의 한계인 것으로 보임

○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작년 7월부터 기준 근로자 및 평가횟수를 확대하고, 외부위원이 참여하는 ‘작업능력평가 위원회’를 도입하였으며,

* 기준근로자: 1명→2명(사업주 지정 1명+공단 지정 1명), 평가횟수 1회→2회로 확대

- 실제 수행하는 업무가 과제로 선정될 수 있도록 작업과제 사전 확인 절차를 도입하고, 작업과제 선정기준도 재정비* 하였음

* 해당 근로자가 실제 업무에 투입되는 빈도, 중요도, 난이도 등을 사업주, 근로자본인, 동료, 부모의 의견을 들어 객관적으로 마련 

○ 장기적으로는 사업장 현장 평가에서 공단의 직무별 표준평가로 전환하고, 평가사 역량강화 및 평가인력 확충을 통해 작업능력평가의 전문성·객관성을 확보할 계획

문의 : 고용노동부 장애인고용과(044-202-748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