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신이 보낸 음유시인’ 브루크너의 영원한 안식처

[정태남의 클래식 여행] 오스트리아/장크트 플로리안(Sankt Florian)

2018.09.13 정태남 이탈리아 건축사
인쇄 목록

로마제국의 역사에서 기독교 박해가 가장 심했던 때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재위하던 시대, 그러니까 기독교가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하여 공인되기 약 10여년 전이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기울어져 가던 로마제국의 운명을 다시 일으키기 위해 로마의 전통신 숭배를 강화하고 기독교를 무자비하게 탄압했던 것이다.

그가 재위하던 304년, 로마군 장교 플로리아누스는 기독교를 신봉하는 혐의로 체포된 사람들을 사형에 처하라는 명령을 하달 받지만 이를 거부한다. 명령 불복종죄로 그에게 돌아온 형벌은 무자비했다. 그는 동료들에 의해 몽둥이로 죽도록 얻어맞은 후 강물에 던져졌던 것이다.

어린 시절 브루크너가 음악적으로 성장했던 성 플로리안 수도원. 황제 카를 6세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도 이곳을 방문했다.
어린 시절 브루크너가 음악적으로 성장했던 성 플로리안 수도원. 황제 카를 6세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도 이곳을 방문했다.

888년, 그의 시신이 묻혔다고 전해지는 곳에 수도원이 세워졌고 1071년에는 ‘장크트 플로리안’이란 지명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장크트(Sankt)는 영어의 세인트(Saint)에 해당하는 독일어이고 플로리안(Florian)은 플로리아누스(Florianus)의 독일식 표기이다. 성 플로리안은 린츠를 비롯한 오버외스터라이히 주의 수호성인이다.

린츠에서 남동쪽으로 약 16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장크트 플로리안은 언덕 위에 세워진 성 플로리안 수도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조용한 농촌 마을로, ‘평온’이란 말 외에는 이곳의 분위기를 더 잘 표현 해 줄 수 있는 말은 없다.

성 플로리안 수도원과 성당은 중세의 수도원이 있던 자리에 1600년대 후반에서 1700년대 중반에 걸쳐 아우구스티누스 교단에 의해 바로크 양식으로 다시 건축된 것이다.

성 플로리안 수도원과 주변의 사과나무들.
성 플로리안 수도원과 주변의 사과나무들.

이 수도원은 작곡가 안톤 브루크너(1824–1896)의 정신적 고향이자 그의 영원한 안식처이기도하다.

브루크너는 19세기 후반 최고의 교회음악 작곡가였을 뿐 아니라, 최근에는 위대한 교향곡 작곡가로서도 평가되고 있다.

그는 1824년 이곳에서 8km 떨어진 마을 안스펠덴에서 태어났고 13세 때는 이 수도원 소년 성가대에 입단하여 오르가니스트 카팅어의 가르침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냈다.

하지만 직업 음악가가 될 자신이 없어 교사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소년 성가대 시기가 끝난 후에는 린츠의 교원 양성학교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10개월의 교육과정을 밟는 동안 동시에 음악에도 열중하는데, 이때 그는 오로지 신과 음악만을 위하여 일생을 바치기로 결심하게 된다.

그후 21살이 되던 1845년에는 성 플로리안 수도원으로 돌아와 수도원 부설학교 선생이 되었으며, 3년 후에는 카팅어가 비워놓은 성당 오르가니스트 자리를 임시로 맡다가 다시 3년 후에는 정식 오르가니스트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음악의 고전을 독학하면서 농촌 사람들의 음악에도 애착을 갖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들과 깊은 유대를 맺었다. 이러한 경험은 생의 후반에 쓴 그의 작품에도 반영되어 있다. 즉, 오르간의 엄숙한 음향을 느끼게 하고, 또한 종교의 심오한 경지로 이끌어가는 브루크너의 교향곡에는 마치 기분을 전환하듯 세속적인 면을 반영하는 스케르쪼가 삽입되어 있다.

‘브루크너 오르간’이 보이는 수도원 성당 내부.
‘브루크너 오르간’이 보이는 수도원 성당 내부.

스케르쪼(scherzo)는 이탈리아어로 ‘농담’, ‘유모어’ 등을 뜻하는데 음악에서는 해학적이며 빠르고 경쾌한 기악곡을 일컫는다.

평생을 순박하고 겸허한 시골 사람으로 살았던 브루크너는 스케르쪼를 통하여, 장크트 플로리안 주변의 농촌생활을 생기발랄하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이 수도원에서 10년을 보낸 후에는 1855년부터 린츠 대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다가 1856년에 린쯔에서 바그너의 작품을 처음으로 접하고는 일생 동안 바그너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었다.

1868년부터 그는 수도 빈으로 활동무대를 옮겼다. 하지만 반(反)바그너주의자들은 그의 음악을 폄하했다.

그러다가 1884년 60세 때 발표한 <교향곡 7번>이 평론가들로부터 크게 인정을 받자 생애 마지막 10여년은 공식적인 영예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성 플로리안 수도원은 이 ‘위대한 아들’을 기념하고 있다.

수도원 서쪽 면에 있는 브루크너 기념관으로 사용되는 방 두 개는 브루크너가 살던 곳이다. 이곳에는 그가 만년에 사용하던 보잘것없는 가구를 포함하여, 침구, 피아노 등 유물이 그가 죽은 후 빈에서 이곳으로 옮겨져 보존되어 있다.

린츠 대성당 외벽에 있는 브루크너 기념 명판.
린츠 대성당 외벽에 있는 브루크너 기념 명판.

수도원 옆에 있는 성당에 들어서면, 관광객들이 거의 없어서 엄숙한 내부 분위기를 방해받지 않고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성당의 천장에는 원근법 효과를 적절히 사용한 그림들도 채워져 있어서 관찰자로 하여금 마치 하늘로 이끌려 올라가는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성당의 오르간은 1770년에서 1774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빈의 슈테판 대성당의 오르간과 함께 오스트리아에서는 가장 큰 오르간으로 손꼽힌다.

이 오르간의 소리는 마치 인간의 영혼을 정화하고 승화시키는 듯하다.

이 오르간은 성 플로리안 수도원의 위대한 아들의 이름을 따라 1930년 이래로 ‘브루크너 오르간’으로 불리고 있다. 오르간 자리 지하 납골당에는 브루크너의 영원한 안식처가 있다. 브루크너는 1871년 빈에서 눈을 감기 전 자신의 음악과 함께했던 이 오르간 근처에 묻히게 해달라고 유언했던 것이다.

엄숙하고 평온하기 그지없는 수도원 성당 안에서, 브루크너를 가리켜 ‘신이 보낸 음유시인’이라고 했던 리스트의 말을 한번 음미해 본다.

정태남

◆ 정태남 이탈리아 건축사

건축 분야 외에도 음악·미술·언어·역사 등 여러 분야에 박식하고, 유럽과 국내를 오가며 강연과 저술 활동도 하고 있다.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동유럽 문화도시 기행>, <이탈리아 도시기행>,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 <매력과 마력의 도시 로마 산책> 외에도 여러 저서를 펴냈으며 이탈리아 대통령으로부터 기사훈장을 받았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