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자서전(1)-누구나 쓸 수 있는, 그러나 이 세상에서 유일한 이야기

2018.04.19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인쇄 목록

얼마 전 은퇴한 50대, 60대들의 모임에서 자서전 쓰기에 대한 강의를 한 적이 있다.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주는 건 아니니까 뭐 강의라고까지 거창하게 말할 건 아니다. 평소에 가슴 속에 담아두었지만 정작 나도 아직 실천하지 못한 숙제 같은 것이다. 무엇보다 나와 비슷하거나 좀 많은 연배여서 관심이 통하고 이야기가 편했다.

평생 해온 일은 다를지언정 가장으로서,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 그리고 자식으로서 동시대를 헤쳐온 삶의 흔적과 무늬가 고만고만하기에 정서적 유대감이 서로를 묶었다. 힘들게 살아온 이야기를 나눌 때는 마치 치열한 전쟁터에서 함께 귀향한 듯한 전우애마저 들었다. 

다들 솔깃하게 경청했다. 그러나 똑같은 고민은 여기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제 인생역정을 책으로 쓰자면 아마 수십 권으로도 모자랄 겁니다. 그렇다고 제가 성공한 인생도 아니잖아요. 그리고 제가 유명인사도 아닌데 자서전을 쓴다면 남들이 비웃지나 않을지 걱정도 되고요. 또 설사 자서전을 쓴다 해도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나는 자서전 이야기를 할 때 영화 ‘국제시장’(2014년, 윤제균 감독)의 마지막 장면을 보여준다. 이념적 논란도 있었지만, 1400만 명 이상이 관람해 ‘명량’ ‘신과 함께-죄와 벌’에 이어 역대 관객수 3위를 기록한 영화다.

“아버지, 내 약속 잘 지켰지예, 이만하면 내 잘 살았지예, 근데 내 진짜 힘들었거든예.”

자식들이 거실에서 즐겁게 웃고 떠들 때 덕수(황정민)는 슬그머니 자기 방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흥남부두에서 헤어진 아버지의 빛바랜 사진 앞에서 독백하며 운다. 나는 이 부분이 이 영화 전체에서 최고의 명장면, 명대사라고 생각한다. 영화와 동시대를 헤쳐온 한국 중장년의 자화상이고, 울지 말라고 배운 한국 남자가 흘리는 가장 뜨거운 눈물이다.

이 영화야말로 지금 황혼에 접어든 이들의 고전적 자서전 모델이 아닐까. 자서전은 바로 이런 거다. 어린 시절부터의 주인공 일생이 연대기처럼 흘러가지만 영화는 지루하지 않고 감동을 준다. 그건 덕수의 삶이 비록 투박하고 거칠지만 진실하기 때문이다. 그가 파독 광부에서 죽음의 위기를 넘기고 돌아와 다시 가족을 위해 베트남 전쟁에 가려고 하자 아내 영자(김윤진)가 말리면서 이렇게 말한다. “당신 인생인데 왜 그 안에 당신은 없나요?”

맞다. 지금 중장년은 어찌 보면 자기 인생을 제대로 살지 못했다. 가족과 회사와 나라를 위해 평생을 뼈 빠지게 일했다. 열사의 사막에서 짠내 나는 난닝구를 빨며 돈을 부쳤다. 보람은 있었지만 진정 자신을 위한 삶은 아니었다.

그런데 지금, 나 자신을 위해 살기엔 늙어버렸다. 이제라도 자신을 찾아야 한다. 나는 자신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자서전을 써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자서전은 내 평생의 땀과 눈물에 대한 스스로의 보상이다. 자서전을 쓰는 과정은 나를 용서하는 것이고 나와 화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남은 멋진 삶을 위한 성찰이자 다짐이다. 내가 나에게 선물을 준 적이 있었던가. 자서전은 내가 나에게 주는 인생 최고의 생일 선물 같은 것이다.

요즘 지자체가 운영하는 몇몇 평생교육원이나 사회복지관, 은퇴자를 위한 주거단지 같은 곳에서 자서전 쓰기 강좌를 만들어 글쓰기에서부터 자서전을 구성하는 법을 가르치고 출판기념회까지 열어주는 곳도 있다고 한다. 지난 대선에서 (떨어진) 어느 후보는 ‘어르신 자서전 쓰기 지원’을 공약으로 내세운 적이 있다. 이색 공약이라고들 했지만 나는 지키지도 못 할 약속보다 훨씬 괜찮은 공약이라고 생각했다.

자서전에 대한 가장 큰 거리감은 성공한 이들만 쓰는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서전은 결코 그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기 자랑과 성공담으로 가득 찬 정치인이나 회장님, 명사의 전기나 회고록이 아니다. 플루타크 영웅전도, 루소의 참회록도 아니다. 영화에서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나 가수 남진, 디자이너 앙드레 김 등 유명인사가 잠시 묘사되지만, 국제시장통의 ‘꽃분이네’ 포목점 하나로 밥 먹고 애들을 공부시킨 배우지 못한 평범한 덕수, 그가 바로 주인공이다. 그가 자서전의 가장 빛나는 주인공이 되는 것이다. 평범한 삶이 위대한 이야기를 잉태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삶보다 위대한 이야기는 없다. “우리 모두는 자서전을 쓸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말하자 어떤 분이 박수를 쳤다.

자서전은 나의 재발견이자 내 삶의 재구성이다. 자서전에 담을 것은 나의 삶에서 일어난 표면적 사건의 나열보다는 그 깊은 아래에 있는 진솔한 나의 감정과 이면, 뒷얘기다. 그건 아름다울 수도 있고, 가슴 아플 수도 있고, 부끄러운 것일 수도 있다. 내가 말하지 않으면 누구도 알 수 없는 나만의 기억이자 추억이다. 내 삶에서 나의 희로애락과 경험은 고유하고 유일하다.  모사품이나 짝퉁이 없다. 내 자식도 내 배우자도 모르는 것이다.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보통의 사람이 역사로 남는 건 자서전뿐일 것이다. 멋진 묘비명이나 유언 대신 당신의 가슴이 오롯이 담긴 한 권의 책이 당신을, 당신의 삶을 기억하는 것이다.

인생은 기승전결이 있는 거대한 글감이다. 인생이 책 한 권과 같다면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삶을 써내려가는 작가다. 원고지에 옮기지 않았을 뿐이다. 글을 잘 쓸 줄 모른다고 한다. 자서전에 대단한 문학적 감수성이나 문장 실력이 필요한 건 아니다. 인생을 글로 쓰는 일에 정해진 규칙은 없다. 기본적인 것은 책에도 있고 강사도 있다. 가장 분명한 건 진실한 글만큼 감동적인 글은 없다는 것이다. 자서전은 당신이 이 세상에 남기는 최고의 걸작이다. 최고의 진실이기 때문이다.

한기봉

◆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부국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글쓰기와 한국 언론에 대해 강의했다. 언론보도로 피해를 본 사람과 언론사 간 분쟁을 조정하는 언론중재위원이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