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엄마와 어머니

2018.09.27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인쇄 목록

추석 연휴에 홀로 계신 엄마를 보고 왔다. ‘엄마’라고 쓰니 기분이 뭐랄까,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갑자기 아늑해진 느낌이 든다. 마음이 평화로워진다. 나이 먹어가면서 나도 모르게 엄마에 대한 호칭이 바뀌어갔다. 언제부터인가 전화를 드릴 때 “어머니, 저에요”라고 말하곤 했다. ‘엄마’라는 호칭은 왠지 내 나이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만 같았다. 그런데 이번에 나는 확실히 깨달았다. 부엌에 계신 당신에게 “어머니”라고 부르니 못 알아들으신 듯한데, “엄마”라고 부르니까 반사작용처럼 고개를 즉각 돌리신다. 어머니 얼굴에 생기가 확 도는 걸 느꼈다. 내 어머니는 엄마라고 불리길 좋아하시는구나.

예의범절을 따지는 사람들은 철이 들면 부모를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게 올바르다고 주장한다. 그 호칭 자체가 부모에 대한 공경심이라고 한다. 그런데 사실 어머니가 엄마의 존댓말은 아니다. 두 단어는 유아어와 성인어의 차이일 뿐이다. 어머니의 존칭은 ‘어머님’이다. 국어사전도 ‘엄마’를 ‘격식을 갖추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어머니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라고 풀이한다.

엄마라고 부를 때는 왠지 ‘나는 그대의 영원한 새끼입니다’라는 말이 후렴처럼 느껴진다. 어머니의 눈에는 자식이 아무리 머리가 하얘져도 내 새끼다. 엄마라는 호칭은 확실한 피붙이의 관계를 과시한다. 거기엔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다. ‘엄마’는 생물학적 존재, ‘어머니’는 가족의 위계질서적 냄새가 난다. 왜 딸들은 평생을 한결같이 엄마라고만 부를까.

소설가 신경숙의 베스트셀러 ‘엄마를 부탁해’는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로 시작해서 ‘엄마를, 엄마를 부탁해’로 끝난다. 작가는 첫 문장을 두고 오랫동안 고민하다 ‘어머니’ 대신 ‘엄마’라는 호칭을 쓰면서 글이 술술 풀렸다고 털어놓은 적이 있다. 그는 시골의사 박경철과의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나는 글을 쓸 때 늘 독립된 인간이라고 느껴요. ‘어머니’ 역시 ‘엄마’로 불리는 순간 의존하는 느낌, 즉 분리가 아닌 하나가 된 느낌을 가질 수 있었어요. 엄마는 모든 사람들의 자기 얼굴이죠. 잘 닦아서 보면 나의 근원이고 시작이에요. 그 근원을 찾아가는 데 어머니가 아닌 엄마에게 의존해서 가더군요. 첫 문장을 ‘엄마’로 고치는 순간 합일과 충만한 느낌이 다가왔어요.”

알베르 카뮈의 그 유명한 작품 ‘이방인’(1942년 작, 1957년 노벨문학상 수상)의 첫 문장, ‘오늘 엄마가 죽었다’는 소설이라는 장르가 탄생한 이래 가장 강렬한 첫 문장으로 회자된다. 1950년대 불문학자 이휘영 교수는 ‘오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로 번역했다. 1980년대 들어 그의 제자였던 불문학자 김화영 교수가 ‘오늘 엄마가 죽었다’로 바꿔 번역하면서 이 첫 문장이 불세출의 문장이 됐다. 그 둘의 차이는 엄청나다. 전혀 다른 세계다. 원본은 ‘Aujourd’hui, maman est morte.’다. 카뮈가 영어의 ‘마더(mother)’ 격인 ‘메르(mère)’로 쓰지 않고 굳이 아이들의 표현인 ‘마망(maman)’을 쓴 것은 주인공 뫼르소가 세상을 대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고들 해석한다. 
 
엄마와 아빠를 뜻하는 어린아이의 말은 신기하게도 세계 여러 언어에서 비슷하다. 어머니 계통의 말은 대개 ‘ㅁ(m)’의 발음이다. 엄마, 마마, 마망, 맘마다. ㅁ의 글자 모양처럼 부드럽고 여성적인 발음이다. 아버지의 어휘는 ‘ㅂ(p)’의 발음이다. 아빠, 파파다. m이나 p 발음은 입술소리다. 아기가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입 밖으로 내보낼 때 자연스럽게 나는 인간의 첫 옹알이다. 중국어도 엄마는 ‘마마’, 아빠는 ‘빠바’다. 우리 옛말에서 부모는 엄(母)이나 압(父)의 어근에서 발전했다.

어머니가 아닌 엄마라고 부를 때야 비로소 고향의 냄새가 난다. 엄마는 고향이다. 유년의 젖이다. 한자 ‘어미 모(母’)는 여성의 가슴 모양에서 나왔다. 고향은 돌아갈 곳이다.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총에 맞아 죽어가는 병사들의 마지막 대사는 거의 대부분 “집에 가고 싶다. 엄마를 보고 싶어”였다. 2차세계대전에서 전사한 일본군들은 “천황폐하 만세”를 외치며 죽었다고들 하는데, 실제 참전 군인의 증언을 들어보면 마지막 순간에는 다 “오카상(어머니)”을 외쳤다고 한다.

엄마는 어디에든 있다. 신이 모든 곳에 있을 수 없어서 엄마를 만들었다고 했다. 냉장고 속 고등어에(김창완 노래 ‘어머니와 고등어’), 고향마을 뒷산에 열린 홍시에(나훈아 노래 ‘홍시’), 짜장면 면발에(god 노래 ‘어머님께’), 짠 설렁탕 국물에(함민복 시 ‘눈물은 왜 짠가’) 엄마는 있다.

늦깎이 시인 심순덕은 이렇게 읊었다. 엄마는 종일 죽어라 밭일을 해도, 부뚜막에서 찬밥 한 덩이로 점심을 때워도, 한겨울 냇물에 맨손으로 빨래 방망이질을 해도, 배부르다 생각 없다고 말해도, 발 뒤꿈치 다 헤지고 손톱이 깎을 수조차 없이 닳고 문드러져도, 아버지가 허구한 날 술 취해 큰소리 치고 자식들이 속 썩여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다고(시,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에서). 시인은 어느 날 아무도 없는 집에서 외할머니 사진을 손에 들고 소리죽여 우는 엄마를 보고서 비로소 알았다. 엄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음을.

정한모 시인의 ‘어머니’ 라는 시 첫 구절은 절창이다. ‘어머니는/눈물로/진주를 만드신다.’

내가 본 가장 가슴 아픈 엄마의 편지는 세월호 희생자인 단원고 여학생 엄마가 합동분향소에 남긴 것이다.
“엄마가 모든 걸 잘못한 죄인이야. 몇 푼 벌어 보겠다고 일 하느라 마지막 전화 못 받아서 미안해. 엄마가 부자가 아니라서 미안해. 없는 집에 너 같이 예쁜 애를 태어나게 해서 미안해. 엄마가 지옥 갈게, 딸은 천국에 가.”

나는 어머니가 바리바리 싸준 반찬과 고춧가루를 들고 고향에서 돌아왔다. 내가 드린 용돈은 차비가 되어 다시 내 호주머니로 돌아왔다. 며칠간 비웠던 집은 썰렁했다. 거기에 어머니는 없다. 전화를 드렸다. “엄마 저 잘 도착했어요. 힘드셨죠?” 돌아온 대답은 “니들이 고생했지, 엄마가 뭐 한 게 있다고.”
(PS) 지금 엄마를 기쁘게 하고 싶다면? 그저 “나 지금 엄마가 필요해요” 그 한 마디면 충분하다(드라마 ‘응답하라 1988’ 대사에서).

한기봉

◆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부국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글쓰기와 한국 언론에 대해 강의했다. 언론보도로 피해를 본 사람과 언론사 간 분쟁을 조정하는 언론중재위원이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