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증가만으로 고용 질 나빠졌다 단정 못해

2019.08.19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취업자의 근로시간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성 및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로 단시간 취업자는 증가 추세가 뚜렷하고, 추가취업 희망자와 현 일자리를 계속하고자 하는 자도 크게 증가하는 상황”이라며 “전반적 고용 증가 추세에 대한 감안 없이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증가만으로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8월 19일 한국경제 <고용률 높아졌다지만… 알바 뛰며 다른 일 찾는 ‘무늬만 취업자’ 급증>에 대한 설명입니다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증가만으로 고용 질 나빠졌다 단정 못해

  • 01 하단내용 참조
  • 02 하단내용 참조
  • 03 하단내용 참조
  • 04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가 월 기준 최대치를 기록

○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등이 증가한다는 것은 질적인 면을 고려하면 고용 상황은 계속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고용부 설명]

□ 취업자의 근로시간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왔음

* 취업자 주당 취업시간(7월 기준, 시간): (‘00) 51.2 (’16) 43.4 (‘17) 43.2 (’18) 41.5 (‘19) 40.8

□ ‘여성’ 및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단시간 취업자(36시간 미만자)는 증가 추세가 뚜렷함

*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7월 기준, 천명): (‘00) 1,778 (’10) 3,438 (‘17) 4,151 (’18) 4,661 (‘19) 5,165

* 36시간 미만 취업자 비중(7월 기준, %): (‘00) 8.2 (’10) 14.0 (‘17) 15.3 (’18) 17.2 (‘19) 18.9

ㅇ 특히, 7월의 ‘36시간 미만’ 취업자 증가(+504천명) 증가는 ’여성‘ (+347만명), ’50대‘(+155천명) 및 ’60대 이상‘(+179천명) 장년층을 중심으로 두드러졌으며,

ㅇ 외국인 관광객 회복세, 정부 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숙박음식업’(+107천명), ‘공공행정·보건복지업’(+131천명)에서 증가하였음

□ 근로시간 단축 등 워라밸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는 ‘여성’, ‘고령층’도 증가 추세임

* 여성 자발적 시간제 비중(8월 기준, %): (‘11) 47.8 (’14) 49.8 (’17) 53.2  (’18) 56.0

* 고령층 중 시간제 일자리 희망 비중(5월 기준, %): (‘11) 30.1 (’14) 33.3 (’17) 35.3  (’18) 37.7

□ 다만, ‘36시간 미만 취업자’ 증가와 함께 ‘추가취업을 희망하는 자’,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126천명) 뿐 아니라 ‘현 일자리를 계속하고자 하는 자’(+384천명)도 크게 증가하는 상황임

* 7월의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126천명) 증가는 ’50대 이상‘ 장년층, 경기 부진을 지속되고 있는 ‘건설업’, ‘제조업’ 중심으로 증가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7월 기준)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7월 기준)

□ 전반적 고용 증가 추세에 대한 감안 없이,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증가만으로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음

문의 :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8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