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멧돼지 서식밀도, 서식환경 수용력에 의해 주로 결정

2019.09.19 환경부
인쇄 목록

환경부는 “멧돼지의 서식밀도는 주로 서식환경의 수용력에 의해 결정되며,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이후 질병 및 농작물피해 예방을 위해 사전포획을 강화한 결과, 포획실적이 접경지역은 4.7배, 전국은 2배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9월 19일 세계일보 <안일한 멧돼지 개체 수 대응이 확산 불렀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① 야생멧돼지 1㎢당 서식밀도는 2012년 3.8마리, 2014년 4.3마리, 2016년 4.9마리, 작년 5.2마리로 늘어나는 추세

② 환경부는 총기사고 발생 우려와 동물보호단체의 반대 등을 이유로 개체 수 조절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여 왔음

[환경부 설명]

○ 환경부는 최근 7년 멧돼지 포획을 증가시켜 왔고, 멧돼지 서식밀도는 최근 20년(1998.∼2018.)으로 확대해 추이를 보면 1998년 5.3마리였던 서식밀도가 등락하는 가운데 2010년 3.5마리까지 줄었다가 최근 다시 회복한 상태임

멧돼지 포획 현황

서식 밀도

○ 멧돼지의 왕성한 번식력*으로 인해 포획증가를 통해 멧돼지 서식밀도를 낮추기는 쉽지 않으며 서식환경의 수용력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것으로 보임
 * 1년 8∼10마리 출산, 생명 위협을 받을 경우 출산 횟수 연 1회→2회로 증가

○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에 대비하여 지난 5월 이후 질병 및 농작물 피해 예방을 위해 접경지역과 양돈농가 주변지역의 사전포획 조치를 강화한 결과, 포획실적이 크게 증가하였음

 - 조치 이전 대비 전국은 2배 증가(8월말까지 39,761마리 포획), 접경지역은 4.7배 증가(8월말까지 1,924마리 포획)

 ※ 전국 2019.1.∼2019.6. 24,254마리(월평균 약 4,042마리) 대비 8월 8,960마리 포획
    접경지역 2019.1.∼2019.5. 725마리(월평균 약 145마리) 대비 8월 684마리 포획

○ ASF가 발생한 현 상황에서는 개체수 조절보다는 농가 이동 제한 조치와 마찬가지로 멧돼지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는 조치가 긴요함

 - 총기 포획이 멧돼지 이동을 증가시켜 바이러스 확산을 초래할 수 있어 발생지역 주변인 강원, 경기 북부, 인천 9개 시군에 대해 총기 포획금지 조치를 시행함

 - 나머지 지역에 대해서는 현재의 포획 수준을 유지하되 포획틀 등 멧돼지 이동을 증가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필요한 추가 포획을 추진할 방침임

문의: 환경부 생물다양성과(044-201-7286)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