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수량과 수질의 일원화된 물 관리 하려면

[세계 물의 날] 통합물관리를 위한 정책적 도약

2019.03.22 박규홍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교수
인쇄 목록

박규홍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교수
박규홍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교수

수자원 개발의 역사는 변동하는 유량을 확률적으로 해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댐을 건설해 우기에 물을 저장하여 건기 중에도 하류부의 수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물 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고 홍수 위험을 줄이게 된다. 하지만 댐은 하천유량의 빈도분포를 변화시켜 수중생태계에 상당히 영향을 주게 된다.

과거 수십년 동안 물 전문가들은 주로 최소유량에 대한 제한기준을 설정하는데 관심을 두어왔다. 즉, 하천의 특정 구간에서 물고기가 이동하거나 살아갈 수 있는 조건에 초점을 두어 하상에 고이는 물의 최소량 또는 침전물을 씻어내고 하상을 폭기시키는 유속 조건에 관심이 있었다.

최근에는 그 외에도 유량의 변동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바람직한 수로의 형태와 하상 특성을 유지하고 수변지역, 강둑, 하천 본류 간에 유기물 이송이 용이해져 하천과 수변구역의 건강성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천 생태계 건강성 유지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하천수를 취수하기 전의 상태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변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건기에 하천의 기본유량을 유지해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확보하려면 지하수 관리도 중요하다. 지하수가 고갈되면 하천의 기본유량이 감소되어 지표수의 수온과 화학적 특성이 영향을 받아 여름철 수변지역의 냉각효과 등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과거에는 ‘하천에서 얼마나 많은 물을 취수해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주로 했었다면, 이제는 ‘하천에 얼마나 물을 남겨두어야 할 것인가 또는 하천 유량의 변동성을 어느 정도로 유지해야 하는가’의 질문이 더 유효한 질문이 될 것이다.

수자원시스템의 설계와 운영에 대해 경제적 비용편익분석이 활용되어 왔다. 물공급의 편익(도시용수·농업용수·전력용수·공업용수 등), 홍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회피로 인한 편익, 하천수의 이용으로 인한 편익(레크리에이션, 선박 운항 등)을 소요 비용과 견주어 보는 것이다.

미래에는 이러한 고려와 함께, 생태적인 결과의 예측과 그 결과와 관련된 가치의 평가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미래의 새로운 물 관리 패러다임은 건기와 우기 모두에 걸쳐 유역과 하천의 바람직하고 타당한 상태를 선택하고 그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중요한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먼저 바람직한 하천과 유역의 상태가 무엇인지 의견이 일치되어야 한다. 개발 전의 상태와 일원화된 체제 하의 물 관리 시나리오 간에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물 공급, 홍수 제어, 물의 생태적 이용 간에 의견 차이를 절충하려면 수질변화와 관심 대상 수중생물 개체수 등에 대한 예측모델이 필요하다. 이런 예측을 하려면, 물리적 시스템(유량·수질·수온)과 수중 생태계의 계속적인 변화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며, 물 관리방법의 변화에 따른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이 필요하다.

끝으로 새로운 물 관리방법에 따라 생태계가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해 전문가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당사자들에게 알리는 소통의 능력이 필요하다.

국민들과 정책결정자들이 지속적인 계측을 통한 데이터 확보, 이를 이용한 예측, 예측에 따른 사업 수행, 그리고 다시 계속되는 계측, 새로운 예측, 수정된 사업 수행의 순환이 반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