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회가 열리는 무직페라인

[정태남의 클래식 여행] 오스트리아/빈(Wien)

2019.01.11 정태남 이탈리아 건축사
인쇄 목록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회라면 매년 1월 1일 전 세계에 방영되는 빈 필하모니의 신년음악회가 아닐까? 이 음악회가 열리는 무직페라인에는 세계 정상의 관현악단인 빈 필하모니(Wiener Philharmoniker: Vienna Philharmonic)가 상주하며 연중 내내 수준 높은 음악회가 열린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풍이 섞인 근엄함 건축양식의 무직페라인의 정면.
고대 그리스와 로마풍이 섞인 근엄함 건축양식의 무직페라인의 정면.

세련되고 귀족적인 기품이 흐르는 도시 빈이 현재와 같은 모습의 도시로 기본 틀이 잡힌 것은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재위 1847-1917) 때이다. 그는 빈을 현대적인 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구시가지를 둘러싸고 있던 중세 성곽을 허물고 그 자리에 약 4킬로미터의 순환도로 링슈트라세(Ringstrasse) 건설하게 했다.

이 도로 주변에는 대학, 시청, 의사당, 박물관, 오페라 극장 등을 비롯해 여러 대규모 건물들이 세워졌다. 무직페라인도 그 중 하나이다. 이 건물들은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취향에 맞게 모두 고대 그리스, 로마,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등 역사에 등장했던 옛날 양식의 복고풍으로 지어졌다.
 
무직페라인 건물 정면 상부에는 큼지막한 글씨 ‘게젤샤프트 데어 무직프로인데(Gesellschaft der Musikfreunde)’가 뚜렷하게 보인다. 직역하면 ‘음악친구의 협회’, 즉 ‘음악동우회’이다. 이것을 ‘음악연맹’이란 뜻으로 간단히 ‘무직페라인’(Musikverein)이라고 한다.

건물 정면 한쪽 벽 오스트리아국기 꽂힌 명판에는 덴마크 건축가 테오필 한센(1813-1891)의 설계로 1867년에 착공, 1869년에 완공되었다고 기록돼 있다. 그는 빈으로 오기 전에 그리스 아테네에서 주요 공공건물 몇 개를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세운 경력이 있었다.

브람스 기념상 등 뒤로 보이는 무직페라인 건물.
브람스 기념상 등 뒤로 보이는 무직페라인 건물.

현재 무직페라인은 도서관에 소장된 방대한 음악자료 연구와 빈의 주요음악회 주관이 주된 역할이니 오스트리아의 음악문화를 이끌어가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는 사령부나 다름없다. 그런데 무직페라인은 이 건물이 세워지기 훨씬 이전인 19세기 초반 아마추어 음악가들의 모임이 기원이 된다.

당시 봉건사회가 시민사회로 서서히 바뀌어 감에 따라 일반 중산계급도 음악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자 주로 귀족들 주관으로 이루어지던 음악 활동은 새로운 양상을 띄기 시작했는데 이런 변화에 귀족들이 적극 참여한 가운데 무직페라인이 설립되었던 것이다.

그 이전에는 독립된 연주기획단체들이 몇 개 있었으나 그 활동은 음악회에만 국한되어 있었고 또 오래 지속되지도 못했다. 반면, 무직페라인은 처음에 ‘오스트리아 제국 음악동우회’라는 이름으로 오스트리아 음악문화의 민주화와 음악 전 분야의 발전을 목적으로 1812년에 음악애호가들의 발기로 설립되었던 것이다.

초대 회장은 베토벤의 후원자였던 루돌프 대공. 그 후 조직이 커짐에 따라 1817년에는 전문연주가 양성을 목적으로 음악원과 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이 음악원은 1909년부터 국가가 운영하게 되면서 현재의 ‘빈 국립음대’로 발전했다. 
 
1858년과 1860년에는 아마추어로 구성된 합창단과 관현악단이 창단되었는데 지휘는 음악성이 뛰어난 아마추어 음악가들이 하다가 마침내는 브람스(1833-1897)가 맡게 되었다. 독일 출신 브람스는 링슈트라세 공사가 진행되던 무렵인 1862년부터 빈에 거주하며 활동했다.

브람스는 1872년 가을부터는 무직페라인 일을 맡아 관현악단과 합창단의 정기 연주회를 기획하고 지휘봉도 잡았다. 무직페라인 건물 남쪽 바로 길 건너편에 브람스 기념상이 세워져 있는 것은 그와 무직페라인 간의 이런 끈끈한 관계를 말해준다.

뛰어난 음향을 자랑하는 화려한 황금 홀. 빈 신년음악회는 바로 이 곳에서 열린다.
뛰어난 음향을 자랑하는 화려한 황금 홀. 빈 신년음악회는 바로 이 곳에서 열린다.

무직페라인 안에는 브람스 홀, 대공연장 등 모두 7개의 크고 작은 콘서트홀이 있다. 그 중 대공연장은 보통 ‘골드너 잘(Goldner Saal)’, 즉 ‘황금홀’이라고 불리는데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콘서트홀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홀은 세계적인 지휘자들이 감탄할 정도로 음향이 좋다. 건축가 테오필 한센이 오늘날처럼 과학적인 음향설계는 생각할 수 없었고 오로지 직관에만 의존했을 뿐인데도 말이다.

이 홀은 단순한 슈박스(구두상자) 형태로 무대와 객석거리가 최대로 좁혀진데다가 금색으로 도금된 목재 장식, 조형적 장신구, 원기둥, 여신상 등이 소리를 자연스럽게 반사해 뛰어난 음향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바로 이 홀에서 열리는 빈 신년음악회를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일생에 한번은 와 보기를 꿈꾸는 것이다. 다만 입장권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데다가 매년 갱신되는 기록적인 입장권 가격 때문에 꿈이 깨어지지만. 

정태남

◆ 정태남 이탈리아 건축사

건축 분야 외에도 음악·미술·언어·역사 등 여러 분야에 박식하고, 유럽과 국내를 오가며 강연과 저술 활동도 하고 있다.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동유럽 문화도시 기행>, <이탈리아 도시기행>,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 <매력과 마력의 도시 로마 산책> 외에도 여러 저서를 펴냈으며 이탈리아 대통령으로부터 기사훈장을 받았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