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남자답지 않은’ 감정을 표현해 힙합의 금기 깨뜨리다

[한국힙합의 결정적 노래들 ⑫] 키비 ‘소년을 위로해줘’

2019.03.08 작성자 김봉현 힙합저널리스트/작가
인쇄 목록

키비(Kebee)의 ‘소년을 위로해줘’가 세상에 나왔을 때 나는 대학생이었다.

아직 군대에 가지 않은 대학생으로서 자유와 청춘을 누리고 있었다. 지금 돌아보면 ‘소년을 위로해줘’를 가리켜 그 시절 나의 감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노래라고 불러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그 시절 ‘소년을 위로해줘’는 곧 ‘봉현을 위로해줘’였다. ‘소년’과 ‘봉현’은 라임도 얼추 맞는다. 운명(?)이다.

키비. (사진=브랜뉴뮤직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키비(Kebee)의 콘서트 현장. (사진=브랜뉴뮤직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물론 10대와 20대 시절의 난 유약하거나 지나치게 감성적인 소년은 아니었다. 하지만 흔히 통용되는 ‘남자다움’이란 그 때부터 지금까지 늘 나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또 입고 싶지 않은 옷인 것만은 분명하다.

어릴 때부터 난 셋 이상 몰려다니는 걸 싫어했고 친구들이랑 목욕탕도 가지 않았다. 말에 괜히 욕을 섞지도 않았다. 누군가의 형 노릇하는 것도 체질에 안 맞기 때문에 지금도 대부분의 인간관계는 존댓말을 통해 형성된다.

가끔 이런 생각을 한다. 남자들이 쓸데없이 센 척 하거나 형인 척 하지 않고, 패거리 안에 속했다는 사실로부터 위안과 과시를 이끌어내지만 않아도, 세상은 지금보다 한결 더 나아질 것이라고.

때문에 ‘소년을 위로해줘’는 마치 내 이야기를 듣는 듯한 노래였다.

이 노래에는 ‘남자다움’에 대항하는 한 ‘소년’이 등장한다. 특히 후렴은 한동안 늘 외우고 다녔던 기억이 난다. 내 삶에서도 종종 벌어지던 일이었기 때문이다. 키비가 내 마음을 베꼈나?

내 친구들은 나에게 박력을 요구하고 / 친밀감의 표시라며 인사로 욕을 하고 / 그 모습을 보는 나도 어느 새 / 머릿속에 머쓱해지는 느낌만이 머물더라도

키비의 ‘소년을 위로해줘’를 돌아보는 나의 관점은 크게 세 가지다.  

먼저 ‘한국힙합’의 관점이 있다. ‘소년을 위로해줘’는 한국힙합이 다루는 주제의 폭을 확장한 노래였다.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면 ‘소년을 위로해줘’가 담고 있던 가사 내용은 그전까지의 한국힙합 음악에서는 잘 들어보지 못한 것이었다. 특히 힙합 음악에서 ‘소년’이나 ‘위로’ 같은 단어를 듣는 것이 새로웠다.

두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과 비슷하지만 다르다. 힙합의 근본적인 ‘마초성’에 관한 이야기다.

‘소년을 위로해줘’는 힙합의 ‘남자다워야 한다는 블문율’에 정면으로 반한 노래였다. 지금 돌아보면 과도한 남성성이 지배하는 힙합의 세계에서 ‘소년을 위로해줘’는 돌연변이나 미운오리새끼 같은 노래였던 것 같다.

어쩌면 한국힙합 역사에 키비의 ‘소년을 위로해줘’가 지니는 의의는 미국힙합 역사에 드레이크의 ‘Best I Ever Had’가 지니는 의의와 비슷한 것은 아닐까. ‘남자답지 않은’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해 힙합의 금기를 깨뜨렸다는 점에서.

키비(왼쪽)는 래퍼 마이노스와 ‘이루펀트(Eluphant)’로도 활동하고 있다. 사진은 2016년 ‘K-POP 해외쇼케이스 참가뮤지션’에 참석한 이루펀트(Eluphant).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키비(왼쪽)는 래퍼 마이노스와 ‘이루펀트(Eluphant)’로도 활동하고 있다. 사진은 2016년 ‘K-POP 해외쇼케이스 참가뮤지션’에 참석한 이루펀트.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마지막 관점은 힙합의 세계를 벗어나, 그냥 ‘인간 세계’에 관한 것이다.

힙합을 떠나 ‘소년을 위로해줘’는 존엄을 지닌 개개인에게 큰 울림을 안겼다. 더 정확히 말하면, 존엄을 지녀야 하지만 부당한 이유로 존엄을 온전하게 지니고 있지 못한 이들에게 어깨동무를 했다고 할까.

위로해 달라고 하더니, 오히려 위로를 해준 셈이다. 실제로 한 페이스북 친구가 내게 해준 말은 꽤나 인상적이다.

“‘&’ 이렇게 생긴 남자도 있고 ‘@’ 이렇게 생긴 남자도 있는데 남자는 ‘!’ 이렇게 생겨야 한다는, 특히 힙합이라면 ‘!!!’ 이렇게 생겨야 한다는 ‘맨 박스(남자다워야 한다는 강박)’를 깨부순 역사적이고 선구적인 노래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LGBT 성소수자에게도 큰 위로가 될 수 있는 노래였어요”

이런 힘 덕분일까. 소설가 은희경은 ‘소년을 위로해줘’를 듣고 한참을 울었다며 동명의 소설을 출간하기도 했다.

2010년 장편소설 <소년을 위로해줘>를 출간한 은희경 작가의 기자간담회.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0년 장편소설 <소년을 위로해줘>를 출간한 은희경 작가의 기자간담회.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소년을 위로해줘’는 힙합을 넘어 모두를 위로한 노래였다. ‘봉현’을 위로했던 것도 분명하다.

김봉현

◆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작가

대중음악, 특히 힙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책을 쓰고 강의를 하고 영화제를 만들고 가끔 방송에 나간다. 시인 및 래퍼, 시와 랩을 잇는 프로젝트 ‘포에틱저스티스’로도 활동하고 있다. 랩은 하지 않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국힙합 에볼루션>, <힙합-우리 시대의 클래식>, <힙합-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나를 찾아가는 힙합 수업> 등이 있고, 역서로는 <힙합의 시학>, <제이 지 스토리>, <더 에미넴 북>, <더 스트리트 북>, <더 랩: 힙합의 시대> 등이 있다. murdamuzik@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