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개츠비스크(Gatsbyesque)’

2019.03.18 한기봉 칼럼니스트
인쇄 목록

승리가 그 소설을 읽었는지가 정말 궁금했다. 그래서 긴 시간 공을 들여 검색해봤다. 그에 대한 기사와 인터뷰는 넘쳤다. 승리가 그 소설의 주인공 이름을 차용한 ‘승츠비’란 별명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심지어 상표등록까지 했다는 기사는 많이 보였다. 하지만 정작 승리가 그 책을 읽었는지, 그 주인공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소설 속 주인공과 자신을 비교해 봤는지를 물어보거나 취재한 기자는 없었다. 그리고 그가 나락으로 곤두박질한 지금, 언론은 승초비와 개츠비를 비교하기 시작했다.

‘위대한 개츠비’는 미국 소설가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1896~1940)가 1925년에 쓴 소설이다. 1920년대 제1차 세계대전 승리 이후 물질적으로는 풍요해졌지만 도덕적으로는 타락하고 정신적 공황이 깃든 미국 사회, 그 심장인 뉴욕이 배경이다. 정교하고 세련된 구성과 아름다운 문장이 빛나는 세계문학사의 찬란한 별이라는 칭송을 동시대 작가들로부터 들었다. 미국 고등학교의 필독서다.

작가 생전에는 불과 2만 5000부 정도밖에 팔리지 않았을 정도로 인기가 없었지만 그의 사후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명작의 반열에 우뚝 섰다.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 소설을 ‘인생의 책’으로 쳤다. 그의 소설 ‘노르웨이의 숲’에서 주인공 와타나베는 이렇게 말한다.

“열여덟 살의 나에게 최고의 책은 존 업다이크의 ‘켄타우로스’였는데… ‘위대한 개츠비’에게 베스트 원 자리를 물려주게 되었다. 나는 마음이 내킬 때마다 책장에서 이 소설을 꺼내 아무 페이지나 펼치고는 한동안 탐독하는 것이 습관처럼 되었는데, 단 한번도 실망을 안겨주지 않았다.” 엄청난 상찬이다. 하루키가 가장 공을 들여 번역한 소설이기도 하다. 개츠비는 일본 남성화장품 브랜드가 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 세계문학전집류에도 꼭 들어간다. 여러 대학이 발표한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작품’ 목록에도 거의 빠지지 않는다. 그런데 많은 독자가 갖는 의문이 있다. 소설 원제는 ‘The Great Gatsby’다. ‘The Great(위대한)’란 수식어는 ‘Alexander the Great(알렉산더 대왕)’처럼 보통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영어에 잘 붙지 않는다.

소설의 스토리 자체는 통속적이다. 개츠비는 신분 차이로 자신을 버린 상류층 여인, 돈 많은 남자를 따라간 허영심에 가득 찬 데이지를 다시 만나기 위해 밀주업 같은 불법적 방법으로 백만장자가 된다. 그리고 드디어 그 여자를 재회하고 치정극에 휘말려 총에 맞아 허망하게 죽는다. 그런 개츠비 앞에 작가는 왜 ‘위대한’이란 형용사를 붙였을까? 독서클럽에서는 여전히 이부분이 논쟁적이다.

작가도 생전에 답을 내놓지 않은지라 그 해석은 온전히 독자의 몫이다. 다양한 해석들이 존재한다. 나는 이 해석에 대체로 동의하는데, 개츠비가 비록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벌었고 한 여인을 다시 차지하겠다는 욕망을 향해 무한질주했지만, 그의 내면에는 당대의 속물들과 차별되는 상대적 위대함이 있다는 것이다. 개츠비는 자신은 물론 누구도 배신하지 않았다. 사랑의 대상은 알고 보면 형편없고 가치 없는 여자였지만 죽는 순간까지 열렬히 원했고 마지막까지 열정을 쏟아부었다. 어찌 보면 그의 내면은 순수했다. 과정은 위대하지 않았지만 꿈과 이상을 향한 그 열정은 위대했다. ‘위대한’이 반어적 수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어떤 평론가는 이렇게 해석하기도 했다. 이 소설은 작가 피츠제럴드의 자전적 성격이 강하다. 그는 실제로 어렵게 성장했고 적지 않은 차별을 당했다. 그가 개츠비에게 ‘위대한’이란 헌사를 붙여준 것은 개츠비가 바로 그 굳건한 빈부차별, 신분차별, 학벌차별에 도전해 꿈을 이루려 했고 장렬하게 전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평생의 사랑인 데이지를 다시 빼앗아 오는 게 목적이 아니라, 자신을 데이지를 갈라놓았던 사회 기득권과 정면대결하는 게 목적이었다는 것이다. 개츠비가 매일 밤 파티를 열고 사람들을 초대할 때 아부하고 환호했던 ‘고상한’ 무리들은 그의 장례식에 단 한 명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 속물 군상을 보며 소설의 화자인 닉은 이렇게 외쳤다. “개츠비, 너는 그 빌어먹을 인간들을 다 합친 것보다 더 가치 있는 인간이야.”

이 소설에서 파생한 단어가 있다. ‘개츠비스크(gatsbyesque)’란 단어다. 개츠비처럼 꿈과 이상을 쫓는 사람을 일컫는다. 일부 사전에는 등재돼 있다.

다시 승츠비로 돌아간다. 그가 불과 7개월 전에 발표한 첫 정규 앨범 제목은 ‘THE GREAT SEUNGRI(위대한 승리)’였다. 그는 ‘더 그레이트’란 수식어를 정말 좋아했나 보다.

승리의 성공과 화려함은 개츠비와 상당 부분 닮았다. 그 둘은 금수저는 아니었고, 사회나 그룹에서 시작은 낮은 존재감이었지만 결국 성공했고 인정받았다. 개츠비의 성에서는 매일 밤 화려한 파티가 열렸다. 승리의 ‘버닝 선’이나 수억 원을 들였다는 필리핀의 생일파티도 그렇다. 하지만 그 것 외에는 닮은 게 없다. 개츠비는 목적을 위한 치부 과정은 문제가 있지만, 그후 그 내면만은 속물이나 모사꾼은 아니었다. 개츠비는 진정으로 ‘위대한’이란 수사가 붙을 수 있는 그 무언가가 내면에 있었다.

이런 생각이 든다. 승리는 아마도 ‘위대한 개츠비’의 결말이 허망한 비극이라는 걸 몰랐지 않았을까. 동명의 영화에 개츠비로 나온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화려한 모습만 본 게 아닐까.
승리가 수식어 ‘위대한’에만 집착하지 않고, 그 작품을 밤새워 읽으며 진정 사색과 성찰을 했더라면 자신의 모습을 좀 더 돌아보지 않았을까. 개츠비는 위대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승츠비는 그렇지 못했다. 대중문화는 허상만 보여줬고 우리는 속았다. 그는 ‘개츠비스크’가 아니었던 것이다.

한기봉

◆ 한기봉 칼럼니스트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부국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글쓰기를 가르쳤고, 언론중재위원을 지냈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