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국어 라임의 체계를 정립하다

[한국힙합의 결정적 노래들 ⑩] 버벌진트 ‘사랑해 누나’

2019.02.11 김봉현 힙합저널리스트/작가
인쇄 목록

2000년대 들어서며 한국힙합은 본격적인 기틀을 잡아가고 있었다.

미국에서 날아온 드렁큰 타이거가 충격을 선사했고, 클럽 마스터플랜은 언더그라운드 힙합을 형성했다. PC통신 동호회의 움직임도 있었다.

인터넷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 사진 1장을 다운하려면 몇 시간이 걸리던 PC통신 역시 한국힙합의 산파 중 하나였다. 예를 들어 가리온과 주석, 다이나믹 듀오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우리는 하이텔의 힙합 동호회 블렉스(Blex)와 마주칠 수밖에 없다.

SNP 역시 마찬가지다. SNP는 나우누리의 흑인음악 창작 동호회였다. 당시 SNP의 주축은 버벌진트, 데프콘, 피-타입 등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당시 ‘힙합은 내 인생’이라고 외치며 래퍼를 자처한 수많은 청년 가운데 가장 명석한 축에 속했다.

콘서트보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더 활동하는 '힙합 비둘기' 데프콘.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요즘은 콘서트보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더 자주 보이는 ‘힙합 비둘기’ 데프콘.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무엇보다 이들의 차별점은 학구적인 면모였다. 힙합을 진지하게 대하는 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이들의 진지함에는 연구와 이해가 수반되어 있었다. 그중에서도 이들이 각별히 문제의식을 가졌던 것은 바로 ‘라임’이었다. 당시 이들의 생각을 내 멋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의 한국어 랩에는 어떠한 고민도 들어 있지 않아! 랩이라고 부를 수 없을 정도로 초보적이고 저질이란 말이다!”

지금의 버벌진트(VerbalJint)를 떠올리면 상상할 수 없는 모습이긴 하지만 2000년대 초반의 버벌진트는 20대 초반의 혈기왕성한 청년이었다. 자신감 가득하고 약간 건방진 청년이었다고 보는 편이 더 맞을 수도 있겠다. 그리고 버벌진트의 말대로 당시 한국래퍼들의 라임은 대체로 초보적이었다.

‘끝말 맞추기’나 완전히 똑같은 단어로 라임을 맞추기 급급했고, 그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그 이상의 더 나은 방식에 대한 상상 자체가 없었다. 냉정하게 평가하면 드렁큰 타이거의 ‘너희가 힙합을 아느냐’에 담긴 한국어 랩 역시 이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세(상), 이(상), 너무나도 괴(상), 너희가 최고라니 그건 너무 환(상)”

물론 크게 보면 이것도 성취라면 성취였다. 하지만 한국어 라임은 앞으로 더 나아가야 했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버벌진트는 새 앨범을 발표했다.

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가수 버벌 진트가 <랩&힙합 음반부문>을 수상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가수 버벌 진트가 <랩&힙합 음반부문>을 수상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앨범 제목은 <Modern Rhymes EP>, 즉 새 시대를 개막하겠다는 선언이었다. 진정한 한국어 라임의 시대 말이다. 앨범의 첫 곡 ‘Overclass’를 보자. 이 노래의 후렴 가사는 이렇다.

“Suckers can't feel my rhyming / 어떻게 이런 놈들과 나란히 / 힙합을 얘기하니? / 아까워, 내 시간이

가사만 보면 언뜻 라임이 없는 것 같지만 실제로 발음해보면 라임이 있다. ‘my rhyming’과 ‘나란히’가 라임을 이루고, ‘얘기하니’와 ‘내 시간이’가 라임을 이룬다.

같은 단어도 아니고, 한글과 영어를 넘나들며, 음절수도 다르다. 심지어 어떤 라임은 한 단어인 반면 어떤 라임은 어절과 어절 사이에 걸쳐 있다. 그럼에도 라임이 된다. 한국어 라임에 혁명이 일어나는 순간이었다.

또 다른 앨범 수록곡 ‘사랑해 누나’도 마찬가지다.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라임이 곳곳에 묻어 있다.

“우중충했던 나의 아침 시간은 / 이제 그녀와 함께 할 / 수 없이 많은 일에 대한 설레임으로 가득하네 / 한 사람을 향해 이토록 기쁘고 / 또 야릇하게 떨리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니! / 거리를 함께 거닐며 / 시간이 흐르는 것도 모르고 긴 이야기 나누었네… / 누나 손 잡고 MP 가기 하루 전에

“간은 이제”와 “많은 일에”, “가득하네”와 “야릇하게”, “있다니”와 “시간이”와 “이야기”, “나누었네”와 “하루 전에”가 각각 라임을 이룬다. 버벌진트의 <Modern Rhymes EP>는 끝말 맞추기 라임의 시대를 끝냈다.

버벌진트가 선보인 한국어 라임은 한국어에 깊은 전공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만 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버벌진트의 성취는 중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졸지 않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것에 가까웠다.

즉 자음동화나 구개음화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있고, 거센 소리나 된 소리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출발점에 서는 것이 가능한 성취였다. 하지만 당시 한국 래퍼들은 랩의 특성인 라임을 한국어에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데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보였)다.

반면 버벌진트는 그 과제를 인지하고 학구적인 자세를 취했다. 그리고 결국 스스로 한국어 라임의 본보기가 되었다.

버벌진트가 2015 멜론뮤직어워드에서 무대에 올라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버벌진트가 2015 멜론뮤직어워드에서 무대에 올라 공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버벌진트가 이룩한 한국어 라임의 혁명은 곧 메시지의 해방을 불러왔다. 버벌진트 이전의 한국어 라임, 그러니까 끝말 맞추기나 완전히 똑같은 단어로 라임을 맞추던 방식의 진짜 문제는 메시지가 라임에 종속되어 개연성을 잃고 어수선해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었다. 이를 테면 이런 것이다.

“좋은 세(상), 나의 공(상), 넌 너무 진(상), 박정희의 동(상), 엄마의 밥(상)…”

라임은 맞췄지만 내용은 산으로 가버렸다. 하지만 버벌진트의 방식은 메시지의 흐름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라임의 배치를 곳곳에 가능하게 했다. 그렇기 때문에 버벌진트의 가사는 눈으로 읽기만 할 경우엔 랩 가사인지 알아차리기 힘들었다.

실제로 ‘사랑해 누나’의 가사는 텍스트만 보면 언뜻 에세이나 짧은 소설처럼 보인다. 하지만 소리 내어 읽어보면 숨어(?) 있던 라임들이 살아나며 랩 가사가 된다. 이것은 분명 더 진화한 결과물이었다.

<Modern Rhymes EP>의 발매 후 십 수 년이 지난 지금, 버벌진트의 한국어 라임 방법론이 더 이상 특별하지는 않다. 이제는 모두가 이런 방식으로 라임을 맞춘다. 그러나 이 사실은 역설적으로 아직도 한국어 랩이 버벌진트가 정립한 체계의 연장선 위에 존재한다는 점을 깨닫게 한다.

버벌진트의 방법론이 유일한 진리라거나 최선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앞으로 더 설득력 있는 방법론이 등장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분명한 사실이 있다.

20여 년에 가까운 지난 세월 동안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작가김봉현

대중음악, 특히 힙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책을 쓰고 강의를 하고 영화제를 만들고 가끔 방송에 나간다. 시인 및 래퍼, 시와 랩을 잇는 프로젝트 ‘포에틱저스티스’로도 활동하고 있다. 랩은 하지 않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국힙합 에볼루션>, <힙합-우리 시대의 클래식>, <힙합-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나를 찾아가는 힙합 수업> 등이 있고, 역서로는 <힙합의 시학>, <제이 지 스토리>, <더 에미넴 북>, <더 스트리트 북>, <더 랩: 힙합의 시대> 등이 있다. murdamuzik@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