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내년 예산 5.7% 늘어난 376조…경기부양·안전·민생안정에 중점

최대한 확장 편성…복지·고용예산 사상 첫 총지출의 30% 돌파

2014.09.18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정홍원 국무총리가 18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국무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올해보다 5.7% 늘어난 376조원으로 편성된 내년 예산안을 확정하고 오는 23일까지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정홍원 국무총리가 18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국무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올해보다 5.7% 늘어난 376조원으로 편성된 내년 예산안을 확정하고 오는 23일까지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내년 나라살림 규모가 올해보다 20조원(5.7%) 늘어난 376조원으로 편성됐다.

경제활력을 높이고 우리 경제 재도약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최대한 확장적으로 책정됐다. 새 경제팀의 경제정책방향, 2014년 세법개정안 등 최근 확장적 정책기조와 일관성을 유지했다.

반면, 총수입은 올해보다 13조 4000억원(3.6%) 증가한 382조 7000억원으로 전망됐다.

확장적 재정운용과 세입여건 악화로 재정수지는 국내총생산(GDP)대비 -2.1% 수준인 -33조 6000억원 적자, 국가채무는 올해 527조원(GDP대비 35.1%)에서 내년 570조 1000억원(GDP대비 35.7%)으로 늘어난다.

침체된 민간부문의 활력을 높이고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중점 지원하고자 ▲경제 활성화 ▲안전사회 구현 ▲서민생활 안정 등 세 가지 큰 틀에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18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5년 예산안’과 ‘2014~201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하고 오는 23일까지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재정총량을 보면, 내년 총지출 증가율 5.7%는 2008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다. 당초 계획(3.5%)대비 8조원 수준의 증액 또한 과거 통상적인 추가경정예산 지출 규모인 5조~6조원을 웃도는 수준이다.

세입은 당초 2013~201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상의 6.2%보다 감소한 3.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방문규 기획재정부 2차관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5년 예산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방문규 기획재정부 2차관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5년 예산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획재정부는 “어려운 세입여건을 고려하면 총지출을 축소해야 하지만 민간부문의 경제활력을 높이고 서민생활 안정을 지원하고자 재정지출 규모를 큰 폭으로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6년 이후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 증가율보다 낮게 유지하고 ‘지출확대→내수회복→세수증대’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해 재정건전성 회복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재정수지는 2015년 GDP대비 -2.1%에서 2018년 -1.0%까지 단계적으로 개선하고, 국가채무도 GDP대비 30%대 중반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분야별 재원배분을 보면 ▲보건·복지·노동 중 일자리 14조 3000억원(전년대비 7.6% 증가) ▲연구개발(R&D) 중 창조경제 8조 3000억원(17.1%) ▲공공질서·안전 중 안전예산 14조 6000억원(17.9%) 등의 비중이 대폭 확대됐다.

특히, 복지·고용 분야에 투입되는 재원은 역대 최초로 총지출의 30%를 상회했다. 국방비 증가율(5.2%)도 최근 3년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래픽=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그래픽=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