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전국 4대강 어패류 수은지도와 섭취가이드라인 나와

2009.08.12 환경부
인쇄 목록

□ 환경부는 ‘06년부터 ’08년까지 전국 4대강유역 하천, 호소, 저수지 등 주요 담수수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패류내 수은농도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였다.

  ○ ‘05년 국민 혈중 중금속 조사결과(’06.2.6),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체내 수은 평균농도(4.34㎍/ℓ)가 미국(0.82㎍/ℓ), 독일(0.58㎍/ℓ) 비해 높게 조사됨에 따라,

    - 인체 내 수은축적의 주요원인으로 지목되는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 노출로부터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서,

     ※ 인체 내 수은 축적의 주요인은 식품섭취(어패류)에 의한 것으로 총노출량의 90% 이상으로 추정(미국 환경청, ‘01)

    - 전국 4개강 유역 담수 수계에 서식하는 주요 어패류에 대한 종합적인 수은농도 모니터링 자료로는 이번이 처음이다.


▷ 수행기관 : (주)네오엔비즈(이종현 소장)

▷ 사업기간 : 2006.5 ~ 2009.3 (28개월)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1차(‘06.5~‘07.2)

2차(‘07.5~‘08.2)

3차(‘08.5~‘09.3)

주요

내용

- 4대강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류 수은 함량조사

- 4대강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류 추가 조사

- 어패류섭취가이드라인

  (안)근거자료 마련

- 1,2차 보완조사 및 종합분석

- 수은분포도 및 섭취 가이드라인 마련

- 유류사고지역 어패류 수은 함량 조사


《 환경중(수질, 퇴적물) 수은농도 》

□ 전국 주요 수계(담수) 135지점(300개 시료), 퇴적물 114지점(290개 시료)에서 채취한 환경시료의 수은 함량을 분석한 결과

  ○ 담수 중 평균 수은농도는 6.5ng/ℓ로 미국 환경청의 생태보호수질기준(770ng/ℓ)에 비해 매우 낮고,

    - 수계별로는 5.4ng/ℓ(금강?영산강)~8.1ng/ℓ(한강)로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이며, 상대적으로 한강·낙동강이 높고 금강·영산강·섬진강이 낮았다.

    - 유형별로는 저수지(13.2)가 호소(8.1)나 하천(5.1)에 비해 높고, 수역별로는 중·상류가 하류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 4대강 수계별 수질 중 수은농도 >

  

구분

시료수

총수은(ng/ℓ, 평균)

농도범위(ng/ℓ)

평균

300

6.5

0.1~80.1

수계별

한강

89

8.1

0.1~80.1

낙동강

101

6.1

0.1~57.3

금강

52

5.4

0.1~25.9

영산/섬진강

58

5.4

0.2~28.4

유형별

저수지

19

13.2

1.3~57.3

호소

84

8.1

0.1~80.1

하천

197

5.1

0.1~31.3

수역별

상류

113

7.4

0.1~80.1

중류

111

7.3

0.1~57.3

하류

76

3.9

0.1~31.3

     ※ 미국 환경청(EPA) 생태보호 수질기준(총수은) : 770ng/ℓ, 우리나라 하천?호소의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총수은) : 1000ng/ℓ이하(검출한계임)

  ○ 또한 퇴적물의 평균 수은함량은 27.0㎍/㎏으로 미국 지질조사국 퇴적물 기준(180㎍/㎏) 및 국외 자료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 수계별로는 22.8㎍/㎏(영산강)~30.3㎍/㎏(낙동강)로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이며, 한강·낙동강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 유형별로는 호소(36.3)와 저수지(31.1)가 하천(22.5)에 비해 높고, 수역별로는 하류가 중?상류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 4대강 수계별 퇴적물 중 수은농도 >

구분 

시료수

총수은(㎍/㎏, 평균)

농도범위(㎍/㎏)

평균

290

27.0

0.1~282.5

수계별

한강

81

29.6

0.1~170.3

낙동강

94

30.3

0.8~282.5

금강

58

23.6

0.3~146.1

영산/섬진강

57

22.8

0.2~227.2

유형별

저수지

22

31.1

3.0~100.6

호소

80

36.3

0.4~227.2

하천

188

22.5

0.1~282.5

수역별

상류

126

26.8

0.2~227.2

중류

102

24.5

0.1~142.9

하류

62

31.3

0.3~282.5

     ※ 미국 지질조사국(USGS) 생태보호 퇴적물 기준(총수은) : 임계영향농도(TEC, 180㎍/㎏), 생태영향농도(PEC, 1,060㎍/㎏)


《 담수 어패류내 수은농도와 분포지도 》

□ 전국 4대강 유역 하천과 호소지역을 대표하는 총 92개 지점에 서식하는 57종(3,710개체)에 대한 어패류내 수은 농도를 분석한 결과,

  ○ 담수 어패류의 종별 평균 총수은 농도3.9~163.2㎍/㎏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수산물에 대한 총수은 규격 기준(500㎍/㎏,  ‘08 식품공전) 이하이고,

   - 수은 함량이 높은 어종은 쏘가리(163.2), 참몰개(123.8), 치리(116.6), 강준치(115.3), 끄리(110.9) 순이며,

   - 출현빈도가 높은 5개 어종(붕어, 블루길, 누치, 피라미, 메기)의 평균 수은농도는 43.8~92.0으로 조사되었다.

    ※ 다소비 수산식품의 총수은 농도(㎍/㎏, ‘09년 식품의약품안전청) : 어류(11~291), 연체류(6~77), 패류(0~20)

< 어종별 평균 총수은 농도>




    ※ 어패류 명칭 앞 숫자는 각 영양단계를 나타냄 : 영양단계 2단계(초식성), 3단계(저서 포식성 또는 동물 플랑크론 포식성), 4단계(2단계 및 3단계 어류를 포식하는 대형 유영 포식성)

□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중권역별로 대상 어종의 영양단계를 고려한 어패류 가중평균 수은농도 분포지도는 아래와 같다.

  ○ 측정 지점이 전국의 모든 담수수계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 제작한 것으로서 개략적인 권역별 수은농도 분포정도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중권역별 어패류 수은농도 분포지도>

< 영양단계를 고려한 어패류 가중평균 수은농도 작성방법>

 ※ 권역별 영양단계에 따른 어패류의 평균 수은농도와, 영양단계별 담수어패류 섭취비율(국민건강영양조사, ‘01)을 고려하여 권역별 대푯값 산출

<영양단계별 어류의 수은 농도와 섭취비율>

영양단계

특정 지점(중권역)에서 영양단계에 따른 어패류  평균 수은농도 (기하평균)

1인1일섭취량

섭취비율

2

Cf2

1.12

46.9%

3

Cf3

0.76

31.9%

4

Cf4

0.51

21.1%


《 담수 어패류(민물고기) 섭취 가이드라인 》

□ 환경부는 또한 담수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 노출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패류 수은농도 수준에 따라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섭취 가이드라인(섭취권고횟수)을 마련하였다.

 ○ 우리나라 국민의 일반적인 어패류 섭취량(한국노출계수 핸드북, ‘07)과 수은일일허용섭취량(JECFA, IOMC 기준)을 활용하여 섭취 빈도에 따른 허용 어패류 수은 농도를 산정한 결과,

   - 일반성인의 경우 일반적인 어패류 섭취빈도(2.5회/주, 국민건강영양조사(‘01))를 고려할 때, 담수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의 건강영향은 우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이는 모든 조사대상 어패류의 기하평균농도가 임산부의 주 2회 섭취가능 농도인 194㎍/㎏ 이하이므로, 평균적인 어패류 섭취빈도를 고려할 때 평상시제한없이 섭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이는 민물고기 섭취만을 전제로 산출한 것으로서 가정에서 주로 소비하는 어패류까지 포함하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섭취량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

     ※ JECFA : FAO(식량농업기구) · WHO(세계보건기구) 식품 첨가물 전문가위원회

     ※ IOMC: Inter-Organization Programme for the Sound Management of Chemicals

<어패류 농도별 허용 섭취횟수>

허용 섭취횟수

어패류 수은 농도 (㎍/kg)

임산부

유아/아동

일반성인

3회/주

~130

~204

~267

2회/주

~194

~306

~400

1회/주

~389

~612

~801

1회/2주

~778

~1224

~1601

 

※ 주당 평균 어패류 섭취횟수가 2.5회일 때 일회당 어패류 섭취량은 가임여성/태아는 228.5 g/회, 유아/아동은 138.3 g/회, 일반성인은 244.2 g/회 (장재연등(2007), 한국노출계수핸드북)

※ 수은 일일허용섭취량 (TDI, Tolerable Daily Intake) : 임산부 0.23㎍/kg?day, 일반인 0.46㎍/kg?day (JECFA & IOMC)

※ 임산부(임신예정 여성포함), 어린이(1~12세), 일반성인(13세 이상)

○ 다만, 민물고기를 즐겨 섭취하는 애호가 및 임산부 등 민감계층의 경우에는 건강을 고려하여 일부 어종에 대해 과다한 섭취는 자제할 필요가 있음을 당부하였다.

<주2회이상 섭취시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구분

섭취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임산부

쏘가리, 참몰개, 치리. 베스, 강준치, 끄리, 꺽저기

12세 이하

쏘가리

일반성인

제한 없음. 다만 민물고기 애호가의 경우 섭취량 유의

     ※ 이는 측정된 어패류 종류별 전국 기하평균 농도와, 1회 섭취시 평균 섭취량, 수은 일일 허용 섭취량을 고려하여 산출한 것임

《 태안지역 어패류 중금속농도 》

□ 이와 함께 환경부는 생태노출평가 체계 구축을 위하여 어패류 모니터링 지침 마련을 추진해 왔으며, 이에 따라 유류오염 사고가 발생했던 태안지역의 어패류 중 중금속을 분석하였다.

 ○ 한국해양연구소의 협조로 ‘07.11~’08.8월까지 채집된 총 33종 228개의 태안지역 어패류 시료를 분석한 결과,

   - 사고해역 어패류의 평균 총수은 농도는 어류 29.98±36.09 ㎍/㎏, 패류 13.28±8.60 ㎍/㎏로 기존 연안 어패류의 수은농도와 유사한 수준이며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어패류 내 수은농도의 특별한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 태안의 주요 서식종인 굴을 대상으로 체내 금속 원소(총수은 및 금속 9종) 농도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간에 따른 체내 금속농도에는 큰 차이점은 없었다.  

     ※ 9종 금속 : 크롬, 니켈, 구리, 비소, 셀레늄, 카드뮴, 납, 바나듐, 망간

《 향후 계획 》

□ 환경부는 이번 조사로 전국 규모의 대표성 있는 수계별 환경 및 어패류 수은 농도의 기준자료 확보와 함께, 전국 중권역별 어패류 수은농도 분포지도 및 어패류 모니터링 지침을 마련하였으며,

 ○ 어패류 수은농도 분포지도 및 지역별 · 종별 섭취 가이드라인을 환경보건포털(http://nche.nier.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 또한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은의 주요 발생원, 환경 중 거동 및 노출경로 파악을 위한 추가조사와 함께,

 ○ 다이옥신, PCBs 등 조사대상 항목을 확대하여 장기적으로 “국가 유해물질 생태모니터링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문의 : 환경보건정책과 이지현 사무관(02-2110-6965)
 

“이 자료는 환경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