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나라 랩의 유행을 폭발시키다

[한국힙합의 결정적 노래들 ④]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 알아요’

2018.11.15 .
인쇄 목록

1992년 4월 11일을 기억한다.

나는 그 때 겨우 국민학생(초등학생이 아니다)이었지만 그 날을 지금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그 날은 MBC에서 ‘특종 TV 연예’가 방영되던 날이었다.

특종 TV 연예에는 신인가수가 출연해 무대를 선보이고 심사위원에게 평가를 받는 코너가 있었다. 그리고 이 날 출연한 신인가수는 바로 ‘서태지와 아이들’이었다. 하지만 그들의 데뷔는 너무나도 실망(?)스러웠다. 그때까지 출연한 모든 신인 가수 중에서 최저점을 받았기 때문이다.

1994년 잠실 체조 경기장에서 열린 '서태지와 아이들' 3집 <발해를 꿈꾸며> 콘서트.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994년 잠실 체조 경기장에서 열린 '서태지와 아이들' 3집 <발해를 꿈꾸며> 콘서트.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요새 유행하는 랩 스타일의 댄스뮤직인데요, 리듬이 상당히 좋네요. 반면에 멜로디가 약하네요” (작곡가 하광훈)

“새로운 형식이지만 내용까지 새로우면 좋겠네요” (작사가 양인자)

“동작 속에 노래가 묻힌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연예평론가 이상벽)

하지만 그 후의 드라마는 모두가 안다. 그랬던 그들이 훗날 대한민국을 뒤집어 놓다니. 참고로 당시 심사위원의 평가는 ‘대본’이었다고 한다.

이 날 특종 TV 연예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이 불렀던 노래는 바로 ‘난 알아요’였다. ‘난 알아요’는 센세이션 그 자체였다. 이미 그전에도 랩이나 댄스를 선보인 가수들은 있었지만 ‘난 알아요’는 마치 랩과 댄스가 결합된 노래의 ‘완성형’ 같았다.

긴장감을 고조하는 오프닝, 역동적인 댄스 리듬, 몰아치는 랩핑, 한국적인 멜로디의 후렴, 간혹 나오는 헤비한 기타 리프, ‘찌끼찌끼’ 스크래치, 그리고 넋 놓고 보게 되는 멤버들의 춤, 파격적인 패션까지… 마치 ‘난 알아요’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 같았다.

“야, 이런 게 바로 새로운 음악이야. 너희가 원하는 새롭고 멋진 거 내가 이 노래에 다 넣어 놨다. 게다가 구성도 좋고 웰메이드지. 근데 또 멜로디 들으면 귀에 잘 달라붙지? 한마디로 이 노래로 이제부터 내가 짱이라는 거야. 아, 맞다. 너 모자 사고 가격표 떼지 마라. 그럼 멋없다”

1996년 성균관대 유림회관에서 가진 서태지와 아이들 공식은퇴발표 기자회견.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996년 성균관대 유림회관에서 가진 서태지와 아이들 공식은퇴발표 기자회견.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하지만 엄밀히 말해 ‘난 알아요’가 한국어 랩을 그 전보다 크게 발전시킨 것은 아니었다. 가사의 일부를 보자.

“난 알아요 이 밤이 흐르고 흐르면 / 누군가가 나를 떠나 버려야 한다는 / 그 사실을 그 이유를 / 이제는 나도 알 수가 알 수가 있어요 / 사랑을 한다는 말을 못했어 / 어쨌거나 지금은 너무 늦어 버렸어 / 그때 나는 무얼 하고 있었나 / 그 미소는 너무 아름다웠어”

딱히 라임이라고 할 것이 없다. ‘∼요’나 ‘∼어’ 같은 종결어미만이 반복될 뿐이다. 사실 그마저도 크게 신경 쓴 것처럼 느껴지진 않는다. 대신에 이 노래는 홍서범의 ‘김삿갓’처럼 대체로 음수율은 지키고 있다.

언젠가 누군가가 나에게 ‘난 알아요’의 랩은 마치 ‘시조 같다’고 말한 적이 있다. 아마 그 느낌은 서태지가 각 랩 구절의 글자 수를 일정하게 의식적으로 조율해놓았기 때문일 것이다.

즉 ‘난 알아요’의 가치는 한국어 랩을 발전시킨 데에 있다기보다는 ‘랩’의 존재를 온 국민이 알게 했다는 점이다. 또 한국 대중음악을 한동안 ‘랩 댄스의 시대’로 바꾸어놓았다는 점에 있다. 압도적인 인기와 영향력으로. 다음은 김영대 음악평론가의 말이다.

“랩의 유행을 폭발시킨 장본인은 누가 뭐래도 서태지와 아이들이었다… 이들은 ‘랩 댄스’를 유행시켰고, 대중화시켰고, 그리고 그것을 한국 대중음악의 가장 큰 부분 중 하나로 이끌었다… 서태지와아이들의 패셔너블한 이미지, 그리고 ‘랩’과 ‘댄스’라는 두 개의 젊고 자극적인 테마는 단숨에 신세대의 취향을 사로잡았고, 이는 궁극적으로 대중음악을 넘어 대중문화 전반에 급진적인 세대교체와 소비주체의 변화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 후 2000년에 미국 은둔생활에서 돌아와 솔로 컴백 공연을 가진 서태지.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 후 2000년에 미국 은둔생활에서 돌아와 솔로 컴백 공연을 가진 서태지.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동의한다. ‘난 알아요’는 시대를 바꿨다.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리고 그것은 단지 랩이나 힙합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었다.

그것은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가장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김봉현

◆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작가

대중음악, 특히 힙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책을 쓰고 강의를 하고 영화제를 만들고 가끔 방송에 나간다. 시인 및 래퍼, 시와 랩을 잇는 프로젝트 ‘포에틱저스티스’로도 활동하고 있다. 랩은 하지 않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국힙합 에볼루션>, <힙합-우리 시대의 클래식>, <힙합-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나를 찾아가는 힙합 수업> 등이 있고, 역서로는 <힙합의 시학>, <제이 지 스토리>, <더 에미넴 북>, <더 스트리트 북>, <더 랩: 힙합의 시대> 등이 있다. murdamuzik@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