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나라 지주회사 규제 필요…해외와 단순 비교, 적절하지 않아

2020.09.18 공정거래위원회
인쇄 목록

공정거래위원회는 “지주회사의 경우 미국·영국·독일 등 주요국과 우리나라는 다른 형태로 주요국은 지주회사가 자회사 지분 100%를 보유한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완전자회사 형태가 일반적이지 않아 지배구조 또한 불투명성으로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규제와 관련한 해외와의 단순 비교는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9월 18일 서울경제 <美는 이사회서 감사위원 선출, 다중대표소송제는 日만 도입>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설명입니다.

우리나라 지주회사 규제 필요…해외와 단순 비교, 적절하지 않아

  • 서울경제0918_1.png  하단내용 참조
  • 서울경제0918_2.png 하단내용 참조
  • 서울경제0918_3.png 하단내용 참조
  •  서울경제0918_4.png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 서울경제는 2020년 9월 18일자 A03면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하였는바, 이에 대한 공정위 입장은 다음과 같으니 보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① “지주회사의 경우 미국·영국·독일 등 주요국은 사전적 규제 대신 시장독점 등에 대해서만 사후적으로 규제한다.”

② “일감 몰아주기 규제 역시 해외에서는 입법 사례가 없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모회사의 자회사 지원을 경쟁법으로 규제할 수 없다고 판례로 명시하기도 했다.”

③ “공익법인 의결권을 제한하는 해외 사례가 없다.”

[공정위 입장]

①주요국의 경우 통상적으로 지주회사가 자회사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으며, 지배구조도 비교적 투명하여 지주회사 체제가 지배력 확대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낮은 환경입니다.

- 가령, 미국의 경우 지주회사가 자회사의 지분을 100% 보유하는 완전자회사 형태가 일반적이며, 소유·경영의 분리와 소송법적 수단의 발달로 단순·투명한 기업지배구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완전자회사 형태가 일반적이지 않으며,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으로 지주회사 체제가 과도하게 지배력을 확대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어 규제가 필요합니다.

② 미국 연방대법원은 모회사와 완전 자회사의 내부적 공동행위를 단일기업의 행위로 판단한 바 있으나, 우리 대법원은 모회사와 완전 자회사를 별개의 독립된 거래주체로 보고 있어 미국과는 그 전제 자체가 다른 상황입니다.

- 대법원은 “모회사가 주식의 100%를 소유하고 있는 자회사라 하더라도 양자는 법률적으로는 별개의 독립한 거래주체”라 판시(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1두2034 판결)한 바 있습니다. 

-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총수일가를 위한 일감몰아주기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사회적 폐해가 크다는 점에서도 해외와 단순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③ 해외에서는 공익법인의 의결권이 아닌 지분 소유 자체를 제한하기도 하는 바, 가령 미국의 경우 특정 법인에 대한 사적재단과 그 특수관계인 합산 지분율이 20%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문의 :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국 기업집단정책과(044-200-4897)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