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이자 '가래떡데이'이다.
정부는 2006년부터 국민이 우리 쌀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쌀 소비를 촉진하도록 '가래떡데이'를 지정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이날을 '빼빼로데이'로만 알고 있다.
막대 과자 대신, 우리 쌀로 만든 가래떡을 나누며 농업인의 노고를 기억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정책이다.
'올해도 11월 11일은 가래떡데이' 국민 참여로 이어지는 쌀 소비 촉진 캠페인.
올해 농촌진흥청과 국립식량과학원은 11월 4일부터 11일까지 '올해도 11월 11일은 가래떡데이!' 온라인 행사를 열었다.
국민이 가래떡을 비롯한 다양한 떡을 요리하거나 먹는 모습을 사회관계망(SNS)에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식냥이' 굿즈와 우리 품종 쌀 세트를 증정하는 참여형 캠페인이다.
나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우리 쌀'의 가치를 생활 속에서 다시 느껴보고 싶었다.
냉동고에서 잠자고 있던 쑥 가래떡.
마침 일요일 저녁, 오랜만에 남편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냉동고 한쪽에 잠자고 있던 쑥 가래떡을 꺼냈다.
처음에는 '쑥떡으로 떡볶이를 만들어도 될까?' 반신반의했지만, 막상 만들어보니 의외로 잘 어울렸다.
쑥의 향이 매운 양념과 어우러져 은근한 단맛을 냈다.
마지막으로 집에서 키운 깻잎을 잘게 썰어 뿌리니 보기에도 그럴듯한 떡볶이가 완성됐다.
남편과 마주 앉아 한입씩 먹으며 "이게 진짜 가래떡데이지" 라며 웃었다.
단지 떡볶이를 먹는 시간이 아니라, 우리 농산물로 함께 요리하고 나누는 시간이 주는 따뜻함이 느껴졌다.
완성된 요리 사진을 누리소통망(SNS)에 올리며 이벤트에도 참여했다.
잠깐의 체험이었지만, 정책이 내 생활 속으로 들어온 순간이었다.
쑥 가래떡으로 만드는 떡볶이. 가래떡데이의 의미를 일상 속에서 실천하다.
가래떡데이는 떡을 먹는 날만이 아니다.
빠르게 변하는 식문화 속에서도 우리 농업을 지키고, 쌀 소비를 늘리려는 국민 참여형 정책이다.
한 줄의 가래떡을 나누는 일은 작지만, 우리 농부들이 정성껏 지은 쌀 한 톨의 가치를 잊지 않게 해준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 가래떡데이는 '전통'보다는 '새로운 참여 문화'로 다가갈 수 있다.
SNS 인증, 온라인 이벤트 등 일상적인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어 어렵지 않다.
이런 작은 참여가 쌀 소비로 이어지고, 다시 농업인의 소득과 자부심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정책의 의미는 크다.
농업을 돕는 일은 멀리 있는 거창한 일이 아니라, 우리가 먹는 식탁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 체감했다.
집에서 키운 깻잎을 올려 완성한 떡볶이. 농업의 가치를 식탁에서 느끼다.
요즘은 빵이나 면, 간편식이 일상화되면서 쌀 소비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한다.
하지만 쌀은 여전히 우리 식탁의 중심이다.
밥 한 공기와 떡 한 줄에는 농업의 땀과 계절의 시간이 담겨 있다.
그런 의미에서 '가래떡데이'는 단순한 행사가 아니라, 우리가 농업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문화로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이런 체험형 정책이 더 많아져, 국민이 직접 참여하고 공감하는 문화로 확산되길 기대한다.
올해 가래떡데이는 내게 작은 휴식이자 따뜻한 식탁의 추억으로 남았다.
막대 과자보다 훨씬 달콤했던 우리 쌀 이야기였다.
☞ (보도자료) 11월 11일은 '가래떡' 먹는 '가래떡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