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태양광 모듈 재활용부담금, 준비기간 고려해 2021년까지 유예

2018.11.08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환경부는 “태양광 모듈 재활용부담금은 입법예고된 법령안에서 폐패널 회수체계, 전문 재활용업체 등의 준비 기간을 고려해 시행시기를 2021년까지 유예했다”고 밝혔습니다.

환경부는 11월 7일 내일신문 <태양광 모듈 재활용부담금 ‘시기상조’…“재생에너지 확대기조 발목잡는다”>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① EU는 재활용 기술·산업이 성숙된 이후 재활용 의무대상에 포함된 반면, 우리나라는 제도만 가져와 시기상조임
 ② 태양광 폐패널 생산자책임재활용제(EPR) 도입으로 부담하게 되는 회수·재활용 비용이 패널 생산금액의 30~40%에 달하여 업계 고사
 ③ 태양광 패널은 법령상 전기·전자제품에 해당하지 않으며, 풍력이나 연료전지 등 타 에너지원과의 형평성도 미흡
 ④ 유관부처·업계 실무협의 없이 입법예고하여 ‘소통’의 정책기조와 상반

[부처 내용]

 <①에 대하여>
 ○ 기대수명(15~30년) 경과로 ’23년부터 폐패널 발생이 급증할 전망이나 처리체계가 미비하여 재활용체계 구축 등 선제적 대응 필요
   - 최근 태풍으로 청도군에서 태양광 발전소가 붕괴(7.3)하여 폐패널이 다량 발생하면서 폐기물 처리체계에 대한 우려 증가
 ○ EU도 ’12년 전기·전자제품 처리지침(WEEE)을 개정하여 태양광 패널을 EPR 대상에 포함한 후 재활용 인프라 구축(’18.8월 시행)
 ○ 환경부는 입법예고된 법령안에서 폐패널 회수체계, 전문 재활용업체 등의 준비 기간을 고려하여 시행시기를 ’21년까지 유예하였으며,
   - ’19년부터 공공 수거체계 구축, 회수·재활용 시범사업 등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임

 <②에 대하여>
 ○ 시행령 개정안의 ‘단위비용’은 업체가 직접 부담하는 금액이 아님
   ※ 생산업체는 자체 산정한 ‘분담금’을 공제조합에 납부하여 재활용 의무를 달성하며, ‘단위비용’은 재활용 미이행시 부과되는 부과금 산정기준으로 활용
   - 개정안에 제시된 기준비용은 연구용역 결과로서, 내년부터 추진될 폐패널 재활용 시범사업에서 도출된 비용을 반영하여 조정할 예정
   - 환경부는 향후 시범사업을 거쳐 분담금 및 의무량 조정 등 업계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

 <③에 대하여>
 ○ 태양광 패널은 현행법상 전기·전자제품 정의에 포함되며, 10월5일 입법예고한 시행령 개정안에서 전기·전자제품의 범위 명확화
   ※ EU도 ‘전기·전자제품 처리지침(WEEE)’에서 태양광 패널을 EPR 대상품목 포함
 ○ 환경부는 발생량 급증이 전망되는 전기차 폐배터리·태양광 폐패널에 이어 향후 타 재생에너지 관련 폐기물 처리체계도 마련할 계획

 <④에 대하여>
 ○ 환경부는 시행령 입법예고에 앞서 유관부처·유관기관·업계 등과 EPR 도입에 대한 실무협의를 진행한 바 있음
   ※ 전자제품 EPR 확대품목 업체대상 포럼(5.23, 6.27), 태양광 생산업체 협의체 회의(9.12) 등
 ○ 한편, 11월7일 환경부-업계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 우려사항을 청취하고 향후 추진계획을 논의하였으며,
   - 향후 민·관 협의체를 지속 운영하여 EPR 제도 세부설계 과정에서 업계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기로 하였음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