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윤석열정부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퇴직 등 원전 인력 변화, 에너지전환 정책 때문 아냐

2019.05.29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 인력들의 퇴직, 이직, 채용 등의 변화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이를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때문으로 단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습니다.

5월 29일 조선일보 <원전 인력 엑소더스…자발적 퇴사 2배, 원자력科 자퇴 1.4배>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내용]

□ 탈원전 정책으로 국내 원전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전문 인력의 엑소더스가 가속화 되고 있음

 ① ’17년~’18년 한수원, 한전기술, 한전KPS의 자발적 퇴직자수가 크게 증가함

 ② ’17년 이후 한수원, 한전기술의 인력 14명이 UAE 원전 관련 업체로 이직함

 ③ ’16년 대비 ’18년 일부 원전 관련 공기업·연구소들의 신규채용이 감소함

[산업부 설명]

□ 원전 인력들의 퇴직, 이직, 채용 등 변화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이를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때문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원전 공기업의 자발적 퇴직자수 증가 관련

 ㅇ ’18년 3개 공기업(한수원, 한전기술, 한전 KPS) 원전 관련 종사자의 자발적 퇴직은 전체 인원 대비 미미한 수준임(약 1.1%, 144명/13,385명)

   - 이는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17년 평균 이직률 4.7%*(대기업 2.8%, 중소기업 5.0%)와 비교해도 훨씬 낮은 통상적 수준이며, 

      * 출처 : 고용노동부 사업체 노동력 조사(‘18.3)

   - 에너지전환정책 이전인 ’15년(0.7%, 78명/11,995명), ‘16년(0.7%, 93명/12,666명)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음

 ㅇ 또한, 3개 공기업은 원전 뿐만 아니라 화력, 수력·양수, 신재생 등 사업을 함께 하고 있기 때문에, 동 기업들의 자발적 퇴직자에 대한 평가는 원전과 非원전분야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타당

    - 3개 공기업들의 非원전분야의 자발적 퇴직자도 원전분야와 유사하게 증가한 것으로 볼 때, 단순하게 에너지전환 정책의 영향이라고 단정할 수 없음

ㅇ

원전 공기업 인력들의 UAE로의 이직 관련

 ㅇ UAE는 우리나라가 4기의 원전을 수출(‘09년)한 국가이며, 우리나라와 건설·운영·투자·정비 등 공동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17년부터 UAE 진출이 확대된 것은 ’16년 Nawah Energy가 새로 설립되면서 해외인력 채용을 본격화했고,

   - ‘16.7월 한수원이 ENEC과 파견인력공급 계약을 체결(’30년까지 약 3천명 규모)하면서 우리 인력들의 파견이 본격화되어 취업기회가 확대되었기 때문임

 ㅇ 따라서, UAE로의 인력 진출이 늘어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이를 ’인력 유출‘로 보는 것은 적절치 않은 해석임

공기업·연구소 신규채용 감소 관련

 ㅇ 한전기술, 한전KPS, 원자력연구원에서는 ’16년 대비 ’18년 신규채용이 증가한 바, 모든 원전 관련 공기업·연구소에서 신규채용이 감소한 것은 아님

ㅇ

   - 한수원의 ’16년 신규채용이 높았던 것은 ’14~’16년 동안 UAE 원전 건설·운영 관련 정원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임

     * UAE 원전 건설·운영 관련 정원 증가분 : (’14) 767명 → (’15) 170명 → (’16) 81명

□ 정부는 에너지전환 보완대책(’18.6)을 착실히 추진해 나가면서, 원자력 핵심 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가겠음

 ㅇ (핵심 인력 유지) 원전 공기업별 핵심인력 유지대책을 충실히 추진(’18.11~)하여 원전 핵심인력 유지에 노력

 ㅇ (원자력 전공자 채용비중 확대) 한수원 원자력 전공자 채용비중을 13%(’15~’18 평균) 수준에서 30%(’19~’23 평균)까지 확대

 ㅇ (원자력 R&D 등 지원) 전국 16개 원자력학과 대상 융합교육을 지원(에너지인력양성사업)하고, R&D 로드맵(Nu-Tech 2030, ‘19.上)을 수립하여 안전, 후행주기(해체·방폐) 중심의 R&D를 지원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산업정책과(044-203-5325)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