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향후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 효과 지속 점검

2020.01.20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개편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가 평가과정에서 안착되고 향후 예타결과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면 지역간 고른 발전과 국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 사업에 대한 평가가 상당폭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향후 재도개편 효과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면서 추가적인 제도 개편 필요성 등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1월 20일 서울신문 <강남끼면 91% 빠지면 66% 도로·철도 승인도 ‘강남불패’>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1.20.(월) 서울신문은「강남끼면 91% 빠지면 66% 도로· 철도 승인도 ‘강남불패’」제하 기사에서

○ “비용 대비 편익만 추구한 교통인프라 건설이 강남으로의 경제력 집중을 심화시켜 ‘강남불패 신화’의 토대가 됐다.”

○ “예타제도가 지역균형발전보다 수익성과 유동인구에 초점을 맞추면서 교통인프라의 강남 쏠림현상이 가속화 됐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 전문가들은 현재 재무 효율을 중심으로 설계된 예타 방식을 개선하고, 교통 SOC를 국민의 기본권 차원에서 접근해야한다고 조언한다.”라고 보도

[기재부 입장]

□ 언론보도와 같이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는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비 지원 300억원 이상 대형사업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99년에 도입한 제도입니다.

○ 제도도입 초기(’99~’02년)에는 비용 대비 편익을 분석하는 경제성만으로 사업을 평가해오다,

○ ‘03년부터 정책성 평가항목을 추가하였고, ’06년부터는 지역 균형발전 항목을 추가하여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의 現 평가체계를 마련하였고,

○ 그간 꾸준히 정책성과 지역균형발전 평가 가중치를 지속적으로 높여 왔습니다.

□ 특히, ’19.4월 예타 도입 20년을 맞아 그동안의 제도운영상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점검한 후, 여전히 경제성 평가가 예타 통과의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점 등을 개선하기 위해 종합적인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습니다.(’19.7.1일부터 본격 시행)

① 먼저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구분하여, 수도권은 경제성(60~70%)과 정책성(30~40%)만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병목구간을 해소하고,

- 비수도권은 경제성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지역발전 효과가 큰 사업들이 적정하게 평가될 수 있도록, ’20년만에 처음으로 경제성 비중을 50% 이하(최대 45%)로 낮추고, 정책성·지역균형발전 비중을 최대 55%로 높였습니다.

※ 수도권이라 하더라도 그동안 개발이 제한되어 왔던 접경지역, 읍면으로만 이루어진 농산어촌 지역은 비수도권으로 분류하여 강화된 지역균형발전 요소가 적용되도록 했음

② 또한, 정책성 평가항목을 대폭 개편하여 일자리·주민생활 여건·환경·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에 반영하여 국민의 기본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도록 하였습니다.

ㅇ

□ 개편된 예타 제도가 평가과정에서 안착되고, 향후 예타결과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 지역간 고른 발전과 국민 삶의 質 개선에 기여하는 사업들에 대한 평가가 상당 폭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향후 제도개편 효과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면서, 추가적인 제도 개편 필요성 등을 검토해 나갈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국 타당성심사과(044-215-541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