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2019.02.12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 “요즘 누가 현금 갖고 다녀?” 하단내용 참조

요즘 현금 없이 카드만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죠? 아예 지갑도 없이 스마트폰만 있어도 생활에 불편이 없는 현대사회.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현금 없는 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숫자를 통해 그 면면을 알아보겠습니다.

◇ 38억 장 · 22억 장 =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는 한 해 38억 장의 지폐를 찍어냈습니다. 작년에는 22억 장에 그쳤다고 하네요.

22개월 = 1만 원권의 수명이 7년 전보다 22개월 늘어났습니다. 자주 쓰이지 않다 보니 돈이 손상되지 않아 돈의 수명이 늘어난 것이죠.

3.6배 = 한국은행이 2018년 상반기 폐기한 지폐는 3억 장입니다. 이 돈을 쌓아 올리면 에베레스트산의 3.6배 높이라네요.

20.3% = 2017년 현금결제 비중은 20.3%*입니다. 신용카드는 34.5%, 계좌이체는 16.7%, 체크(직불)카드는 10.4%로 조사됐습니다. (*결제 금액 기준)

70% = 스웨덴은 은행 지점 열 곳 중 일곱 곳에 현금이 없다고 합니다.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2030년까지 현금 없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바 있죠.

9,390,000,000,000,000원 = 작년 중국 모바일 결제 총액은 9,390조 원입니다. 중국 내 모바일 결제 비중은 78.5%에 달한다고 해요.

생각보다 빨리 현금 없는 사회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10년 후면 현금 지급이 가능한 가게를 찾아보기 어려울지 몰라요.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