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신남방정책이 궁금해”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신남방정책이 궁금해”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신남방정책 하단내용 참조

신남방정책의 핵심 아세안! 한류의 중심 아세안!
올해 11월 부산에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개최됩니다!

신남방정책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요. 우리 외교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신남방정책의 3P부터 인도 및 아세안 국가가 중요한 이유까지!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 궁금해요, 신남방정책!
신남방정책이란 아세안과 인도 등 신남방 국가들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폭넓은 분야에서 주변 4강(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과 유사한 수준으로 관계를 강화하고자 하는 새로운 외교정책입니다.
* 아세안 10개국 :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 왜 중요한가요?
녹록하지 않은 대외 경제 여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대외 협력 필요성 속에서 외교·경제 다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 경제 다변화 : 대외경제의 어려움 극복을 위해 적극적 대응 필요.
보호무역주의 심화, 일부 국가에 대한 높은 무역의존도
- 외교 다변화 : 단순한 상품 교역 등의 무역을 넘어 기술, 문화예술, 인적 교류 등 제 분야 협력 확대

◆ 왜 신남방국가 인거죠?
인도뿐 아니라 아세안은 2030년 무렵에는 세계 5대 경제권으로 도약할 것으로 평가되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지역입니다.
- 젊고 역동적인 성장지역
• 평균연령 30세
• 총 20억 인구 (GDP 5.4조 달러)
- 소비시장 FDI 시장으로 변화
• 소비시장 연평균(CAGR) 15% 성장
- 중산층 인구 지속 증가
• 동남아 소비층, 2030년 세계 중산층 소비의 59%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신남방정책 핵심 포인트 세 가지
우리 외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신남방정책은 이른바 3P를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 People 사람
교류 증대를 통한 상호 이해 증진! 쌍방향 문화교류 및 인적 역량을 강화하여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진정한 친구이자 동반자 관계 형성
- 2020년까지 한·아세안 상호방문객 연간 1,500만 명 달성

▶ Prosperity 상생번영
호혜적 미래지향적인 상생의 경제협력 기반 구축! 무역·투자 증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우리 기업의 진출 지원과 신산업 분야의 협력 확대
- 아세안 2020년 교역액 2,000억 불
- 인도 2030년 교역액 500억 불

▶ Peace 평화
평화롭고 안전한 역내 안보 환경 구축! 테러·사이버·해양안보·자연재해 등 비전통·초국경 안보이슈에 공동 대응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신남방 국가의 지지 확대
- 아세안 10개국 및 인도 순방과 정상 방한 등 전략적 협력

◆ 세계 속의 대한민국, 어떻게 달라지나요?
신남방정책은 유라시아 지역과의 경제 협력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자 하는 신북방정책과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평화와 공동번영의 토대가 될 것입니다.

한반도 평화를 바탕으로 아시아 번영에 기여하고자 하는 신남방정책.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전 세계의 공동번영과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패러다임입니다.

“잠깐 주목”
신남방정책의 이행 동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11월 부산에서 개최됩니다. 특히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메콩국가와의 외교수준을 격상, 제1차 한 메콩 정상회의 개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2019년 11월 25일~26일, 부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 (2019년 11월 27일, 부산)
* 메콩국가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태국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