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행복도시권 광역대중교통 통합서비스’ 청사진 구체화

광역교통협의회, 천안시 추가 참여로 8개 기관으로 확대

2017.06.28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대전·세종·충북·충남 4개 권역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반경 40km 광역도시권을 40분대 대중교통망으로 연결할 ‘행복도시권 광역대중교통 통합서비스’ 구현이 구체화될 전망이다.

이는 행복도시 광역도시권을 대중교통 중심의 편리한 하나의 공동생활권으로 구축하기 위해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협의회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2017년도 제2차 광역교통협의회 개최 당시 모습.(제공=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올해 제2차 광역교통협의회 개최 당시 모습.(제공=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6일 개최한 협의회에서는 위원장인 안시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을 비롯해 행복청 기반시설국장, 대전시 버스정책과장, 세종시 건설교통국장, 충북 균형건설국장, 충남 국토교통국장, 청주시 대중교통과장, 천안시 안전건설도시국장, 공주시 미래도시사업단장 등이 참석했다.

특히 광역교통협의회 구성원으로 참여를 요청했던 천안시가 이번 달부터 공식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광역교통협의회 구성이 당초 7개 기관에서 8개 기관으로 확대됐다.

이날 모창환 한국교통연구원 박사가 현재 연구 막바지 단계에 있는 ‘행복도시권 광역비알티(BRT) 개선 종합계획’을 발제했다.

발표 내용은 지난 3월 1차 협의회에서 제시한 바 있는 행복도시 광역BRT의 추진 목표인 ‘행복도시 반경 20km를 20분, 40km를 40분으로 연결하는 광역대중교통망 구축 추진전략’을 구체화했다.

세부 4대 전략은 ▲광역BRT 인프라 구축 ▲BRT 시스템 고급화 ▲통합환승요금체계 구축 ▲광역교통 행정시스템 개선 등이며 각 전략별 실행과제는 다음과 같다.

광역BRT 기반 구축방안으로는 공주·청주공항·청주·조치원BRT 4개 축의 신규노선 건설 필요성과 각 노선별 운영계획을 분석했다.

노선별로 도로 신규건설 및 확장사업이 필요한 구간도 있어 구체적인 사업시기 등 추가 검토가 필요한 측면도 있지만, 행복도시권 10대 거점을 연결하는 광역BRT 노선망을 수요와 지리적 여건 분석을 통해 구체화하고 개략적인 운영계획을 수립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BRT 시스템 고급화 전략에서는 대용량 전용차량, 신교통정류장, 광역버스정보시스템(BIS) 및 BRT우선신호, 추월차로 등 운영 단계의 고급화 방안도 제시했다.

특히 광역권 단일요금체계 및 무료환승시스템과 이에 따른 손실보전대책의 필요성 등 통합환승요금체계 구축 전략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추가 연구를 위해 각 자치단체가 예산을 공동으로 투자해 용역을 시행하기로 한 것은 매우 높게 평가할 만하다.

광역교통 행정시스템은 이번 새 정부의 교통공약 중 하나인 ‘대도시권 광역교통청 신설’과 발맞춰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행정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법·제도 개선 및 조직 구성방안을 제안했다.

발제 내용 외에도 각 지자체 간 상호 협의 및 도움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서로 심도 있게 논의했다.

세부 내용은 ▲청주버스 대전 신대차고지 공동 사용 ▲751번 BRT 증차 및 노선 개선방안 ▲오송역·반석역 환승시설 개선방안 ▲세종시 내부순환 BRT 신설 ▲공주~세종 무료 환승 시행 및 급행버스 신설 방안 ▲청주터미널~세종터미널 광역버스 신설 방안 등이다. 광역권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승적인 차원에서 함께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광역교통협의회 위원장인 안시권 행복청 차장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행복도시권 발전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가 큰 상황에서 광역교통협의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와 협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행복도시권의 발전은 충청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주민들의 교통편의 향상을 위해 협의회 구성원 모두가 관심과 힘을 모아 상호 발전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교통계획과 044-200-3286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