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소·돼지 어떤 사료 얼만큼 주는게 좋을까

가축 사양표준 2차 개정…가축 식단의 경제성 강화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한우는 매일 어떤 사료를 얼만큼 주는 게 한우 자체나 농가 모두에 좋을까? 또 돼지는, 그리고 닭은?

각각의 가축에 대해 적절한 사료량을 제시한 한국형 가축사양표준이 최신 업데이트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한국가축사양표준 2차 개정판이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가축사양표준은 가축의 생명유지와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별 요구량을 정해 놓은 것으로, 사료의 경제적 이용과 생산능력의 향상 등에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미 미국은 1940년대부터, 영국과 일본은 1960년대부터 자국의 사양표준을 만들어 사용했으며, 가축개량, 사료 종류, 사료가치 평가 등의 관련 기술과 항생제 사용금지, 지구 온난화 등 가축사육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개정해왔다.

우리나라는 농촌진흥청이 주관해 2002년도에 한우, 젖소, 돼지, 가금 4개 축종의 사양표준이 제정됐으며 2007년도에 1차 개정된 바 있다.

ㅁ

이번 2차 개정은 4개 축종과 표준 사료 성분표를 포함한 5개 분야에 대해 최근 3년 동안 수행한 국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상된 증체량에 맞는 사료급여량, 가용 부산물 사료자원의 종류 확대, 사료배합프로그램의 이용 편리성 등을 개선한 것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올해 3월부터 총 130여 명의 산·학·관·연의 가축영양 사양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사양표준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면밀한 수정 보완 작업을 수행해 왔다.

최근 곡물가 상승으로 축산농가의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그 어느 때 보다도 적정 사료급여량을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할 때다.

이 같은 시기에 한국가축사양표준과 한국표준사료성분표를 개정함으로써 한우와 젖소 뿐 아니라 단위가축인 돼지와 가금류도 기존의 사료와 함께 농식품부산물 등 부존사료자원 등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과부족 없이 먹일 수 있어 현재보다 사료비를 더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우에서는 이미 한우 섬유질 배합사료의 보급 확대와 고급육 생산율 증가로 사양표준의 효용성이 확인된 바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는 사료 급여량 연구의 기준으로, 산업계에서는 경제성과 영양균형을 모두 갖춘 사료를 설계하는 기준으로, 농가는 급변하는 축산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료급여관리 지침서 작성의 기준으로 활용돼 왔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장원경 원장은 “한국가축사양표준에서 제시하는 영양소 요구량은 경제적 가축 사료급여 뿐 아니라 가축이 배출하는 분뇨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의 출발선이 되기 때문에 앞으로 이를 더욱 보급 확대하는데 중점을 둘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의 : 농촌진흥청 영양생리팀 031-290-169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