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수출 첨병·6차산업화…농업의 대변신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역동적인 혁신경제/농업혁신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식품·종자산업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

2014.11.21 위클리공감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정부는 자유무역협정(FTA)과 쌀 관세화 등을 계기로 우리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새롭게 육성할 계획이다. 지난 10월 19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주최로 ‘코리안 푸드 페어 2014’가 열렸다.
정부는 자유무역협정(FTA)과 쌀 관세화 등을 계기로 우리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새롭게 육성할 계획이다. 지난 10월 19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주최로 ‘코리안 푸드 페어 2014’가 열렸다. (사진=중앙포토)

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는 전통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편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대표적인 것이 농업이다. 자유무역협정(FTA)과 쌀 관세화 등을 계기로 우리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새롭게 육성할 계획이다. 농업혁신은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된다. 첫째로 농식품 수출 활성화, 둘째로 다른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기반 조성(농업의 6차산업화)이다.

우선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해외에서 통할 수 있는 전략품목(인삼, 유제품, 유자차 등 ‘제2파프리카’)을 집중 육성하고, 식품·종자산업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농식품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퍼센트 증가한 51억3천만 달러에 달했다. 아세안(ASEAN)과 중화권 등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농식품 수출이 증가세를 보였다.

중화권의 경우 소비시장이 큰 점을 감안해 앞으로도 농식품 수출의 전략지점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10월 중국 최대 B2B(기업 간 거래) 온라인 마켓인 알리바바에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을 개설했다. 온라인 쇼핑몰 시장을 개척해 더 많은 현지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중국 온라인 시장규모는 2008년 1,208억 위안에서 지난해 1만8,500억 위안(약 315조원)으로 커졌다.

통관절차 등 맞춤형 정보 제공으로 기업수출 도와

알리바바 내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에는 기존 13개 수출업체 외에도 11개 업체가 새로 참여해 총 872개 품목을 판매 중이다. 면류나 음료, 과자에서부터 온라인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막걸리나 쌀가공품(떡볶이·쌀과자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여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이후 마윈(馬云) 알리바바 회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한국 중소기업들이 알리바바를 통해 중국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이미 민관의 긴밀한 협력 아래 농식품 수출 활성화가 추진되고 있다. 농식품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8월 ‘농식품 수출 및 소비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농식품 산업과 기업 간의 상생협력을 도모하기로 했다. 민관합동 ‘농수산식품 수출개척협의회’에 대한상의와 기업의 참여를 확대해 대한상의 해외사무소 등을 통해 해외시장 정보조사를 실시하고, 수출 전략상품 개발에 나선다. 기업 퇴직인력 등을 활용해 물류 효율화와 브랜드 개발, 현지화 등의 분야에서 농식품 수출업체에 1 대 1컨설팅을 지원한다. 기업의 해외 유통망을 활용해 농식품 수출업체의 해외진출 기회를 확대하는 것도 추진된다.

진행은 순조롭다. 지난 10월 기준 미국(삼계탕)과 멕시코(배), 호주(포도) 등 각국과 11개 품목의 검역협상을 타결했다. 삼계탕은 8월부터 미국 수출을 개시했고, 미국 등으로 주요 수출국이 한정됐던 포도 역시 올 8월 호주 수출 개시로 시장 다변화의 전기를 맞게 됐다. 올해 1~8월 포도 수출액은 94만4천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8퍼센트 증가했다. 정부는 수출지원정보시스템(KATI)을 통해 국가별·품목별 통관절차를 소개하는 등 맞춤형 정보 제공으로 기업들의 수출을 돕고 있다.

이와 함께 농업과 가공·외식·관광 등의 산업을 연계한 6차산업화도 추진 중이다. 지난 6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등 6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3개인 6차산업 집적화 단지를 6개로 늘리고 지역 컨소시엄도 현 10개에서 20개로 확대한다. 6차산업을 추진하는 농업인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위해 9개의 도별 6차산업활성화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13개 분야에서 중앙단위 6차산업지원단을 구성한다.

법적·제도적 기반 갖춘 뒤 6차산업 활성화 ‘속도’

6차산업화를 저해하는 현장애로 개선과제를 발굴·개선하는 방안도 속속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농업의 6차산업화 촉진을 위해 지난 9월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한 규제혁신 방안’을 마련했다. 여기에는 ▶농산물 유통 효율화 ▶식품가공산업 육성 ▶농촌관광 활성화 ▶산업 간 융복합 촉진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지난 4월에는 하우스 맥주 반출 허용을 위한 주세법 시행령이 개정됐다. 9월에는 소규모 제조·가공업 활성화를 위해 식품제조·가공업체에 완화된 시설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조례·규칙(안)을 마련하고 지자체 제정을 유도했다.

이밖에 정부는 귀농·귀촌 활성화를 도모해 보다 능동적이고 활기찬 농촌을 만드는 데도 나서고 있다. 노후하거나 침체된 농촌 분위기를 바꿈으로써 농식품 수출 활성화와 농업의 6차산업화도 탄력을 얻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를 위해 귀농귀촌종합센터와 ‘귀농인의 집’ 70곳을 새로 지원한다. 또한 들녘경영체 육성을 강화하는 등 농업 생산의 조직화와 규모화를 추구해 쌀 품질을 끌어올리는 한편 경영비는 절감하도록 할 계획이다.

[위클리공감]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