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민 10명 중 9명 “저출산·고령화 문제 심각”
60% “저출산 원인은 양육비·교육비 부담 때문”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은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1년 저출산·고령화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2일~25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국민의 68.4%가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관심 있다고 답했고, 10명 중 9명이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저출산 현상은 조사대상 국민의 86.6%, 고령화 현상은 91.1%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저출산·고령화가 본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80.3%, 89%로 나타났다.
저출산의 주된 원인으로는 대다수(60.2%)가 자녀 양육비·교육비 부담이라고 답했고, 그밖의 원인으로 소득 및 고용불안정(23.9%), 가치관 변화(7.5%), 일·가정 양립 어려움(7.2%) 순이었다.
또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세금증가(33.5%), 노동력 부족(25.9%), 노후불안(15.3%) 및 국가경쟁력 약화(14.1%) 등의 문제점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국민 대다수(92.9%)는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사회·직장의 자녀출산과 양육배려 분위기 조성은 미흡하다고 답했다.
이상적 자녀수는 2.58명이나, 경제적 부담 등으로 현실적 자녀수는 2.04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우리 사회에 자녀출산과 양육을 배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는 응답은 29.4%, 직장에서 배려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는 응답은 24.5%로 지난해 22.7%에 비해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우리 국민들은 노인이 시작되는 나이는 66.7세, 노후 준비는 30대부터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조사대상 국민의 10명 중 8명은 30~40대부터 노후준비를 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실제로 30대 이상 국민중 40.6%는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노후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건강(60.7%), 경제적 여유(32.2%) 등이며, 안정적 노후를 위해 필요한 수입 수준은 월 평균 100만~199만원 정도로 조사됐다.
저출산·고령화 해결을 위한 추가 재정부담 의향은 전년대비 증가했으며, 정부의 출산친화 문화 장려 노력은 바람직(86.6%)하다고 답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로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정책 효과와 국민들의 욕구를 파악하며, 안심하고 출산·양육할 수 있는 사회 환경과 행복한 노후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 보건복지부 고령사회정책과 02-2023-6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