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재발생률 조사결과 발표

2015.12.30 산림청
인쇄 목록
- 발생 80개 지자체 조사... 평균 재발생률 29.5% -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전국 80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재선충병 재발생률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는 한국임업진흥원과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가 공동조사팀을 이뤄 실시했으며 대상 지역은 재선충병이 발생한 전국 80개 시·군·구 840개 방제사업장이다.

조사 결과, 전국 소나무재선충병 평균 재발생률은 29.5%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 시·도별로 재발생률은 충남이 0%인 반면, 대구는 2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군·구별로는 부산 기장군 등 39곳이 30% 미만을 보였고 대구 달성군, 경북 안동시 등 11곳은 10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재발생률이 0%로 나온 지자체는 충남 보령·태안, 강원 정선 등 11곳으로 이 지역은 초기 발생 시 소구역 모두베기 등 선제적 방제를 실시했고 철저한 사후관리가 이뤄졌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재발생률이 100% 이상인 대구 북구, 경남 창녕·남해, 경북 안동 등 11곳은 대부분 발생 10년이 지난 지역으로 방제가 장기화됨에 따라 관심도가 떨어지고 피해지역 내 고사목 누락 등 부실 관리가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피해고사목 방제법에 따라 재발생률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해고사목을 벌채한 뒤 파쇄로 방제한 경우는 재발생률이 19.1%인 반면, 훈증 방제는 32.1%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산림청 임상섭 산림병해충과장은 "소나무재선충병 재발생률 조사는 지자체 방제사업의 품질과 방제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재선충병에 대한 단체장의 관심도를 알 수 있는 지표"라며 "조사결과를 지자체 합동평가에 반영하고 방제사업장에 대한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산림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