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3년 전보다 개선돼 - 위기청소년에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17년 종합평가」결과발표 -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3년 전보다 개선돼
- 위기청소년에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17년 종합평가결과발표 -
 3년마다 실시, 지원기반·운영성과 전반적 평가 높아져 -

여성가족부(장관 정현백)가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2개소를 대상으로 ‘2017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평가를 실시한 결과 적정 등급 이상을 받은 비율이 92.5% 187개소, 3년 전(90.3%,159개소)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위기청소년에게 상담·보호·자립 등의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년전문기관으로 현재 전국 225개소가 운영 중이다.
  
여성가족부는 2014년 청소년복지지원법에 평가의무화 규정을 마련한 이후 
올해 두 번째 실시한 평가에서 위기청소년지원 기반 조성 사업인프라 운영성과 및 우수사례 등 운영 전반에 대해 실시했다. 

올해 평가는 평가유형을 보다 세분화해 시·도 센터와 시··구 센터 유형을 청소년인구수에 따라 중도시형, 소도시형 및 군 단위인 농산어촌  4개 그룹으로 나눠 평가를 시행했다. 
* 대상( 202개소): 시도센터(16), 중도시형(57), 소도시형(68), 농산어촌형(61)








평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청소년 관련학과 교수, 현장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여한 평가위원회(현장, 중앙, 총괄 등) 구성해 이뤄졌다. 

평가결과 적정등급(보통)’ 이상을 받은 센터가 92.5%(187개소),
 미흡등급 이하 7.5%(15개소)로 대부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별로는 지자체의 지원기반 확대(예산,규칙 제정 등) CYS-Net 구축·운영 센터의 조직 및 운영위기청소년 개입성과(지원, 연계, 종결비율 등)특성화 사업 노력 등의 분야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가 나왔다.

평가결과 최우수 등급을 받은 9개소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17 청소년상담복지사업 시상식‘(2017. 12. 1.개최)에서 인증현판 및 여성가족부 장관상을 수상하고, 우수사례를 발표한 바 있다.







여성가족부는 종합평가 결과를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고, 여성가족부 홈페이지(www.mogef.go.kr)에 공개한다. ‘미흡 이하 등급을 받은 센터에 대해서는 내년에 집중 컨설팅(자문)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센터운영의 품질관리를 집중 지원하고, 운영수준의 지역편차를 줄이기 위해 우수센터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공유한다는 방침이며, 향후 사업 개선계획 수립과 이행여부도 점검할 계획이다.
  
양철수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장은 이번 종합평가 결과 대부분의 소년상담복지센터가 적정 등급 이상의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평가하고, 

청소년 사회안전망이 더욱 촘촘하게 지원될 수 있도록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운영과 서비스 개선에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017년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 평가 결과


 평가 개요
 (평가목적) CYS-Net의 허브(Hub)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적인 사업운영 평가를 통해 서비스의 효율성 제고
 (법적근거) 청소년복지지원법 제41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3년주기)
 (평가 해당기간) 2014. 1. 1 ~ 2016. 12. 31
 (대상센터)  211개소 * ‘16년에 개소한 12개소는 평가제외








 ’14’15년에 개소한 자체평가를 실시, ‘18년 컨실팅 예정 
 (수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청소년학과 교수,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한 평가단(55) 구성·운영
 (평가기간) ‘17. 3 ~ 12
 (평가내용)  위기청소년지원 기반조성,  센터의 사업인프라, 센터운영성과,  센터운영사례 등운영 전반 사항에 대하여 정량 및 정성지표로 구성

 평가 결과
 등급별 현황







 ‘14년 및 ’17년 평가 비교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