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자녀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확인해 보세요.”

“자녀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확인해 보세요.”
- 「2018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실시 -
- 별도의 과의존 원인 파악을 위한 추가 심리검사를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 -
여성가족부(장관 정현백)는 3월 19일(월)부터 4월 13일(금)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전국 학령전환기 청소년(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135만여 명을 대상으로「2018년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한다.
이 조사는 여성가족부가 교육부, 시․도교육청 등과 협력해 각급 학교에서 2009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설문조사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측정하는 조사다.
* 조사척도 : K-척도(인터넷 과의존), S-척도(스마트폰 과의존) / 한국정보화진흥원 개발

여성가족부는 매년 진단조사 결과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해당하는 청소년에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전국 220여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개인․집단상담, 병원 치료, 기숙형 치유프로그램 등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지원한다.
특히, 올해 조사부터 과의존 위험군으로 나타난 청소년들이 별도의 정신의학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심리검사*가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 추가심리검사 : K-CBCL, K-YSR 척도를 활용해 우울증, 주의력결핍장애(ADHD) 등 공존 질환 어려움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
** ‘18년도에는 중․고등학생 우선 적용
지난해까지는 별도의 검사지를 가정으로 발송하여 회신 받는 방식으로 진행돼, 회신율이 60% 정도에 그쳤다.
* ‘17년도 심리검사지 회신율 : 약 64%
여성가족부는 심리검사의 편의성을 높여 참여를 활성화하고, 전문적인 병원치료가 필요한 청소년을 적극적으로 찾아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조진우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은 “이번 진단조사가 청소년들이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에 대해 자가진단을 함으로써, 과의존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자율적으로 이용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진단조사 결과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에게 지원하는 전문적인 상담․치유서비스에도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붙임1. 2018년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개요
진단조사 실시 개요
목적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에 대한 자가진단을 통해 인터넷(게임)및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 제고 및 자율적 개선 유도
인터넷‧스마트폰 과다사용 문제의 조기 발견 및 맞춤형 상담·치료지원
조사대상 : 전국 초등 4년, 중등 1년, 고등 1년 135만여 명
조사방식 : 온라인 설문조사
조사기간 : ’18년 3월 중순 ∼ 4월말

추진기관
(조사주관) 여성가족부(청소년보호환경과)
(협조기관) 교육부(학교생활문화과), 시‧도 교육청, 교육지원청, 각급학교
(치유서비스 지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16개) 및 서울특별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시‧군‧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220여개) 등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치유서비스 지원 체계
개인정보 제공 보호자 동의서 확보 및 상담․치료 지원
치유서비스 지원 * 주관 :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서울특별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상담․치료 지원 : 개인·집단상담, 부모상담, 종합심리검사, 병원치료 지원(30~50만원) 등 치유서비스 제공
② 기숙치유 프로그램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중‧고생 대상 “인터넷·스마트폰치유캠프” 및 초등생·가족대상 “가족치유캠프” 운영
③ 학교 요청에 따라 집단상담 지원(무료로 강사 파견 등)
④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학부모 대상 부모교육 실시
⑤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상설치유기관) 프로그램 참가 지원
온라인 진단조사 흐름도

붙임2.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상담․치유서비스 지원 절차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