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장기재정전망, 다양한 변수 가정에 따라 결과 달라

2019.01.14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장기재정전망은 다양한 변수를 어떻게 가정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변화하는데, 기사에서 제시한 국가채무비율 전망치는 정부가 추가적인 채무관리나 제도개선 등의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을 전제한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또 “국가채무는 절대규모 뿐 아니라 상환여력까지 함께 고려해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는 금융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국가로서 이는 상환여력이 건전하다는 의미”라고 덧붙였습니다.

1월 13일 뉴스1 <국가채무 2030년 1000조 넘어선다… GDP 대비 50% ‘돌파’>에 대한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뉴스1은 국회 예산정책처의 장기재정전망 결과를 인용하여,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급속도로 상승하여 2050년 85.6%에 달할 것

[기재부 입장]

□ 장기재정전망은 경제성장률, 금리, 인구(출산율 등) 전망, 재량지출 등 다양한 변수를 어떻게 가정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변화함

* (예) 예산정책처 전망 중 GDP 대비 재량지출 비중 시나리오에 따라 2050년 국가채무는 최소 82.4%에서 최대 92.9%까지 변화

□ 2050년 국가채무비율 전망치 85.6%는 정부가 앞으로 30여 년 동안 추가적인 채무관리나 제도개선 등의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을 전제한 결과임

○ 따라서 앞으로 국가채무 개선 등 정부의 중장기 재정 건전성 유지를 위한 노력 여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짐

○ 예를 들면, 예산정책처 전망 시나리오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를 3% 이내로 유지할 경우 2050년 국가채무비율은 73.8%로 하락

* 지난 5년간 정부의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2% 내외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참고할 필요

최근 관리재정수지 추이 (GDP대비, %)
최근 관리재정수지 추이 (GDP대비, %)

□ 한편, 국가채무는 절대규모 뿐 아니라 상환여력까지 함께 고려해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함

* IMF 등 국제기구나 신용평가사는 국가의 채무상환여력 평가시 부채에서 금융자산을 제외한 순채무를 지표로 활용

○ 따라서 금융자산을 감안할 경우, 우리나라는 2017년 일반정부* 기준으로 금융자산이 부채보다 13조 2000억원 많은 국가로서,

* 중앙·지방정부 회계·기금 + 비영리공공기관

○ 이는 상환여력이 건전하다는 의미이며, OECD 국가와 비교할 경우에도 8번째로 양호한 수준임

□ 정부는 2022년까지 국가채무를 GDP대비 40% 초반 수준에서 관리하는 한편,

○ 앞으로도 세입확충, 지출구조 혁신 등 재정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임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건전성과(044-215-574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