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4대강 보 개방으로 수질개선 효과 확인

2019.08.21 환경부
인쇄 목록

환경부는 “2017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2년간 13개 보를 개방해 관측한 결과,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 감소, 유속 증가 등 물흐름이 크게 개선되고 모래톱과 수변공간이 많아지면서 생물 서식처 다양성이 증가하는 등 자연하천으로의 회복 가능성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대 개방보(세종·승촌보)를 중심으로 녹조 등 조류 발생과 저층빈산소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등 수질개선 효과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외부 오염원 유입의 영향이 큰 이화학적 수질항목을 중심으로 개방기간별, 항목별로 증·감이 다양하게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

8월 21일 조선일보 <“4대강 7개 보, 수문 연 후 수질 더 나빠졌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① 지난 2년간 4대강 16개 보 가운데 13개 보의 수문을 열고 수질 등을 모니터링 한 결과, 7개 보(세종·공주·백제·승촌·죽산·낙단·구미·이포)에서 수질 악화
 - 7개 보의 일반수질 지표는* 악화하였고, 조류 농도는 비슷하거나 증가함
  *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인의 함량(TP), 총질소(TN), 부유물질(SS)
 - 보고서에 따르면 날씨가 더워 녹조가 증가하였다고 하였으나 조류 농도가 늘어난 낙단보, 구미보의 개방 기간은 금년 2~3월, 1~2월임

② ’18.6월 보 개방·모니터링 1주년 경과 보고서 발표 시 BOD, TP 등 일반수질 지표 언급을 피하고 COD, TN수치는 공개하지 않음

[환경부 설명]

< ①에 대하여 >

환경부는 ’17.6월부터 13개 보를 개방하여 수질·수생태·경관·퇴적물 등 14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보 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water.nier.go.kr)’에 모니터링 결과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유하고 있음

2년간 모니터링 결과도 동 시스템에 공개되어 있으며, 홍보영상으로 제작하여 4대강 조사평가단 홈페이지, 유튜브 등을 통해 홍보하였음

’19.6월까지 2년간의 모니터링 결과,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 감소, 유속 증가 등 물흐름이 크게 개선되고, 모래톱과 수변공간이 많아지면서 생물 서식처 다양성이 증가하는 등 자연하천으로의 회복 가능성 확인

특히, 개방폭이 크고 개방기간이 긴 보(세종보, 공주보, 승촌보)에서는 개방 전보다 퇴적물의 모래비율이 증가하고 유기물질이 감소하였으며,
 ※ 퇴적물의 모래가 많아지면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기능이 커지고, 유기물질 감소는 용존산소 소비를 감소시킴
 
보 설치 전까지 금강본류의 서식이 확인된 흰수마자(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가 보 설치 후 출현하지 않다가, 보 개방 후 세종보 하류에서 발견되는 등 수생태계의 건강성 향상 가능성도 확인하였음

수질 분야에서도 최대 개방보(세종·승촌보)를 중심으로 녹조 등 조류 발생과 저층빈산소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등 개선 효과가 관측됨

녹조의 경우 ’18년에는 기상상황(7월초 장마종료 이후 8월 중순까지 높은 기온, 적은 강수량 등) 영향으로 대부분 보 구간에서 예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개방 보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 정도가 크지 않았으며,
 ※ 특히, 전면 개방 기간이 길었던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등을 중심으로 예년 동기간 대비 총인 농도 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조류 농도 감소함
 
’19년 8월 중순 현재까지 금강·영산강 개방 보 모두 조류경보기준(유해남조류 1,000세포수/mL) 이하로 나타나고 있어 매우 양호한 상황임

보도내용의 7개보 수질악화는 지표가 나빠진 기간 위주로 언급된 것으로, 실제로는 개방기간별, 항목별로 증·감이 다양*하게 나타남
 * 세종보 전면개방(`18.1.24∼12.31)시 예년 평균(‘13∼’16)과의 수질 증·감 비교(예년→개방) : BOD(2.6→2.6, 0%), COD(7.1→7.0,△1.4%), SS(13.8→12.8,△7.2%), T-N(3.661→4.034, 10.2%), T-P(0.079→0.085, 7.6%)

BOD, TP 등 이화학적 수질항목은 외부 오염원 등의 영향을 받는 항목으로 금강 미호천, 영산강 광주천 등 주요 지류로부터 예년 동기간 대비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유기물·영양염류) 유입, 보 개방에 따른 퇴적물 재부유 등의 영향으로 일부 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판단됨
 ※ 구체적 지표는 보 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water.nier.go.kr)에 게재된 ‘4대강 16개 보 개방 모니터링 종합분석보고서(’17.6∼’19.6)’ 참조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퇴적물 개선, 모래톱 회복 등으로 수질 및 생태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한편, 낙동강 상류보(낙단·구미보), 한강 이포보의 경우 개방기간이 짧아 보 개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낙단보(‘19.2.22∼3.3), 구미보(’19.1.24∼2.22), 이포보(‘18.10.4∼11.12)

< ②에 대하여 >

’18.6월 보 개방·모니터링 1주년 경과보고서 발표 시, BOD와 T-P를 주로 활용한 것은 하천의 유기물질과 영양물질 상태를 대표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며,

그 외 항목들은 ‘18.12월까지의 개방·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해 보도 및 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을 을 통해 공개한 바 있음(’19.2월)

문의: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 유역협력소통팀 044-201-7545, 모니터링팀 044-201-7549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