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동백의 고백, 그대 내 눈물에도 떠나시려나

[김준의 섬섬옥수] 경남 거제 지심도

2018.03.06 김준 섬마실길라잡이
인쇄 목록

지심도는 동백섬이다. 수백 년 된 동백이 섬 전체를 덮고 있다. 사계절 찾기 좋은 섬이지만 동백이 절정인 춘삼월에 많은 사람이 찾는다.
지심도는 동백섬이다. 수백 년 된 동백이 섬 전체를 덮고 있다. 사계절 찾기 좋은 섬이지만 동백이 절정인 춘삼월에 많은 사람이 찾는다.

동백으로 유명한 곳이 한 두 곳이 아니지만 규모나 수령으로 볼 때 지심도가 으뜸이다. 해식애로 둘러싸인 섬에는 수백 년 된 동백이 숲을 이룬다. 햇볕 좋은 봄날 섬에는 동백 잎이 별이 내려앉은 것처럼, 바다는 윤슬이 반짝이다. 그대로 보석이다. 나지막한 언덕으로 이어지는 동백숲, 후박나무숲, 대나무숲 등 숲길이 빼어나고, 울창한 원시림을 이루고 있다.

지심도는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에 속하는 작은 섬이다. 지심도는 지사도(知士島)라 불렀다. <경상도속찬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는 지삼도(只森島)라 했다. 상록수림이 우거진 섬이라는 의미이다. 이외 <거제부지>, <거제읍지>, <동국여지지>, <거제군읍지>에도 지삼도와 지심도(只心島)가 나온다. 일제강점기 섬에 주둔했던 일본군은 보리섬(麥島)라고 불렀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지심도는 지세포 지(知)와 하늘에서 본 섬 모양 마음심(心)을 담아 지심도라 했다.

1

섬살이 아픔은 지명으로 남는다

장승포항 터미널에서 출발한 배는 15분 만에 지심도 선창에 닿았다. 바람과 파도를 피할 수 있는 절벽에 간신히 배를 접안할 수 있게 만들었으니 조금만 파도가 높아도 섬에 들 기 어렵다. 그래도 섬을 찾는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 범바위와 인어상을 뒤로 하고 가파른 길을 지그재그로 오르니 몇 채 민박과 해삼·멍게와 막걸리와 음료를 파는 가게가 기다린다. 식사도 할 수 있다. 10여 가구의 주민들은 대부분 민박과 식사 등 여행객을 맞아 생활하고 있다.

1

그 집들도 구석구석 살펴보면 일본식 집들이다. 해방 후 한 참 동안 땅은 주인이 일본 육군성이었다. 지적대상이 정비되어 대한민국 국방부 소유가 된 것은 1971년이다. 주민들은 한동안 3년마다 정부와 임차계약을 맺었다. 그러니 집을 고치고 싶어도 고칠 수 없었다. 게다가 섬이 국립공원이었다.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했다.

지심도를 구경하기 위해서는 걸어야 한다. 그래서 좋다. 가파른 길에 올라서면 ‘마끝’과 ‘새끝’으로 가는 갈림길에 이른다. 옛 천주교공소를 지나 남쪽 ‘마끝’으로 향했다. 남북으로 길에 누어있는 지심도는 북쪽 끝은 ‘새끝’, 남쪽 끝은 ‘마끝’이라 부른다. 새끝은 동풍 즉 샛바람이 부는 곳, 마끝은 마파람(남풍)이 부는 곳으로 해석된다. 섬 지명으로는 동쪽 끝 ‘벌여’, 지심도에서 떨어진 ‘동섬’, 굴이 있고 주변에서 뽈락이 잘 잡히는 ‘굴강여’, 둥근 바위 모양 ‘높은 돌’, 반공호 자리 ‘굴밑’, 소나무가 자라는 ‘솔랑끝’, 일제강점기 군사시설 공사용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나무말뚝을 박았던 ‘말뚝밑’ 등 지명에는 갖은 사연이 녹아 있다.

‘마끝’과 ‘새논개’ 갯바위에는 낚시꾼이 자리를 잡았다. 감성돔이 많이 나온다는 갯바위다. 낚시꾼 사랑을 받는 갯바위로는 마끝 외에 ‘노랑여·마흔여·동섬·찬물고랑·높은여·새끝·서장바위·노랑바위’ 등이 있다. 마을 뒤편에는 도리깨로 타작을 하던 곳으로 소를 먹이던 아이들의 놀이터였던 ‘타작마당’도 있다. 지심도가 근현대를 거치면서 지심도에 새겨진 섬살이 흔적들이다.

해식애가 발달한 섬은 낚시꾼들이 차지했다. 한때 미역을 뜯고 그물을 내려 자리를 뜨기도 했던 곳이다. ‘마끝’은 마파람 부는 끝이라는 붙인 이름이고, 일제가 말뚝을 박아 짐을 옮겨 진지를 구축한 곳은 ‘말뚝밑’이라는 지명이 붙었다.
해식애가 발달한 섬은 낚시꾼들이 차지했다. 한때 미역을 뜯고 그물을 내려 자리를 뜨기도 했던 곳이다. ‘마끝’은 마파람 부는 끝이라 붙인 이름이고, 일제가 말뚝을 박아 짐을 옮겨 진지를 구축한 곳은 ‘말뚝밑’이라는 지명이 붙었다.

1

일본군 요새를 구축하다

지심도를 요새로 만든 일제의 의도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지심도의 위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남단 끝에 위치한 지심도는 대마도 50여㎞ 거리에 위치해 있다. 대마도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해군기지가 있는 진해만으로 들어오는 길목이자 거제 최고의 양향 지세포 입구에 자리해 있다. 가덕도와 지심도 양쪽에 대공포 기지를 만들어 군대를 주둔시켰다.

전시관으로 사용 중인 탄약고
전시관으로 사용 중인 탄약고.

카페로 바뀐 전등소 소장 사택.
카페로 바뀐 전등소 소장 사택.

일제는 진해만을 최고의 해군기지로 만들고 대륙진출의 거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거제 전역을 ‘진해만요새사령부’의 작전지역으로 선포했다. 당시 지심도에는 13세대 61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지심도와 가덕도 등 인근 섬들은 군사기지로 바뀌었다. 지심도만 아니라 쓰시마와 시모노세키 등지에도 ‘포대설치’를 설치했다. 북태평양 외딴 섬에서도 일본군이 구축한 포대는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지심도 일대의 토지를 매입하고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탄약고 전시관에서 확인한 ‘축비제338호(築秘三三八號)’ 문서에 따르면 ‘鎭海灣要塞只心島新築工事’가 1936년 7월10일 착수되었다. 지심도에는  1개 중대 300여명이 주둔해 1941년 태평양전쟁 당시 양지암 기지와 함께 연합군의 공격에 대응했다. 섬 정상에는 ‘비행장’으로 알려진 넓은 공터는 해안선전망대가 있었다. 활주로가 너무 짧아 비행기가 이착륙했을지 의문이다. 기록에도 없다. 비행장을 만들다 말았다는 기사가 있을 뿐이다.

 대공포를 설치했던 포진지.
대공포를 설치했던 포진지.

섬 북쪽 망루로 가는 길에 탐조등(서치라이트) 보관소와 방향지시석이 남아 있다. 탐조등(써치라이트)은 직경이 2미터에 이르며 장승포, 지세포, 진해만, 대마도 방향으로 설치하여 접근하는 선박을 감시하였다. 이곳만 아니라 군사기지와 탐조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던 전등소를 설치했다. 이를 관리하는 소장이 기거한 사택과 일본식 가옥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겨울에 피어 동백이지만 봄에 피는 춘백도 있다네

지심도만 아니라 거제시에는 외간리 부부동백, 학동동백림, 장사도 등 알려진 동백나무와 동백숲이 꽤 있다. 거제시 꽃이 동백이다. 동백나무는 동쪽으로 울릉도, 서쪽으로는 대청도까지 올라간다. 내륙에는 서천군 서면 마량리, 지리산 화엄사, 고창 선운사가 경계선이다. 겨울에 피어 동백이지만 봄에 피는 춘백도 있다. 꽃의 색깔이 붉음을 지칭해 학단, 내동화라고도 한다.

홍도나 거문도나 두미도 흰동백도 있고, 울릉도에 분홍동백도 보인다. 중국에서는 동백을 ‘산다화’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산림경제>와 <임원십육지>에 같은 이름이 보이고, 한시에 곧잘 동백 대신에 산다화라 했다. 다산도 동백을 좋아했던 것 같다.

‘내가 강진에 있을 때 다산에 많은 산다를 심는 것을 보았다. 그 화품은 적으나 잎은 겨울에도 푸르고 꽃이 많이 달린다. 열매로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며 윤기가 나고 아름답게 보이므로 부인들이 소중히 여긴다.

동백은 잎보다 꽃으로 겨울을 견딘다. 그래서 혹자들은 소나무, 대나무, 매화나무보다 기개를  높게 친다. 혼례식 초례상에 동백을 올리는 것은 장수와 영화를 기워하는 것이다. 또 동백열매가 잉태와 다복을 돕는 다고 믿었다. 반대로 동백꽃 짐을 불길한 것으로 읽기도 한다. 통째로 뚝 떨어지는 것이 이렇게 기개와 불길이라는 상반된 의미를 갖고 있다.

동백터널.
동백터널.

동백은 물레나무목 쌍떡잎 식물이다. 잎에 윤기가 있고 가지 끝에 붉은 꽃이 한 개씩 달린다. 수술이 많으면 꽃잎과 함께 떨어진다. 열매는 기름을 짜며 옛날에는 쪽진 머리에 발라 단장을 했다. 12월부터 춘삼월까지 지역에 따라 피는 시기가 다르고, 같은 지역이라도 빛의 양에 따라 개화시기가 다르다. 지심도는 3월 중순이 절정일 듯하다. 2월 말 섬을 찾았을 때는 햇볕이 잘 드는 곳은 활짝 피었고, 동백터널처럼 응달진 곳은 봉우리가 터질듯 맺혔다.

동백숲에 꾸덕꾸덕 마르는 청어 과메기.
동백숲에 꾸덕꾸덕 마르는 청어 과메기.

주민이 돌아 왔지만

1945년 9월, 일본군이 섬에서 떠나자 뭍으로 강제이주 되었던 주민 등 20여 호가 섬에 정착했다. 이들은 비탈진 땅을 개간하고 하늘을 바라보며 농사를 지었다. 마을청년회가 직접 도선(안예호)을 운영했다. 땔감도 오롯이 섬에서 구해야 했고, 물이 귀해 많은 사람이 살기도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처럼 원시림에 가까운 숲이 보전될 수 있었던 것은 섬 곳곳이 통제구역이고, 개발제한구역이었기 때문이다. 땅이 제한되어 있으니 미역과 톳 그리고 고구마로 보릿고개를 넘겨야 했다. 바다가 풍요로워 제주에서 해녀들이 물질하러 들어오기도 했다. 먹고살기가 녹록치 않으니 들어왔다 곧 떠나기도 했다. 주민들 섬살이와 달리 바다와 숲을 찾는 여행객들에게는 보석 같은 섬이며, 갯바위 낚시를 즐기는 꾼들을 유혹하는 섬이다.

섬 중앙에 분교가 있었다. 오래 전에 문을 닫고 건물은 고쳐서 마을회관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 아래에 섬에서 가장 너른 광장이 펼쳐져 있다. ‘활주로’라 부르는 곳이다. 탁 트여 오가는 배를 살펴볼 수 있고 대마도까지 보인다. 이곳에 세관초소(1966-1986)가 있었다.

당시 사회가 혼란한 틈을 타고 남해안으로 밀수가 성행했다. 1960년대 대마도 이즈하라항을 본거지로 밀수조직이 활동했고, 1970년대 이후에는 활어 수출선을 통한 밀수가 이루어졌다. 밀수 대상은 금괴, 녹용, 시계, 전자제품 등이었다. 국내로 들여온 밀수품은 선박을 이용해 옮기거나 무인도로 옮겨 뭍으로 들여왔다. 이를 근절하기 위해 거제에는 지심도에, 통영에는 소매물도에 세관초소가 설치되어 운영됐다.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을 하면서 섬을 떠났던 주민이 돌아왔다. 하지만 빼앗긴 섬은 주민들의 것이 아니었다. 소유권은 국방부로 이전되었고, 주민들은 임대료를 내야 했다.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을 하면서 섬을 떠났던 주민이 돌아왔다. 하지만 빼앗긴 섬은 주민들의 것이 아니었다. 소유권은 국방부로 이전되었고 주민들은 임대료를 내야 했다.

청년들이 운영한 도선 안예호(전시관 사진).
청년들이 운영한 도선 안예호(전시관 사진).

지심분교 졸업사진(1972, 전시관 사진).
지심분교 졸업사진(1972, 전시관 사진).

80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남는 것은 사진 밖에 없다’며 마끝에서 부터 연신 핸드폰을 들고 사진을 찍던 중년 여성들, 동백터널에서도 어김없이 자세를 잡는다. 동백꽃 피는 계절에 지심도를 찾는 사람들 중 유독 눈에 띄는 이들이다. 적잖은 ‘동백아가씨’ 세대도 있다. 60, 70대다. 팔순을 앞둔 필자 어머니도 화전놀이에서 꼭 불렀다는 노래가 동백아가씨다. 밭을 매고 모를 심다 힘들면 흥얼거릴  만큼 당시 유행했다. 이미자를 ‘엘리제의 여왕’으로 등극시킨 노래였다. 깔고 앉을 땅뙈기 하나 없는 집으로 시집와 아이 넷을 키우며 힘든 보릿고개를 동백아가씨와 함께 넘겼으리라.

석연치 않는 이유로 금지곡이 되었지만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100만장이 판매되는 음반으로 기록되었다. 금지곡에서 풀린 것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20여년 만이다. 동백섬도 처지가 다르지 않다. 국방부 소유에서 시민의 품으로 다시 돌아온 것이 2016년이다. 1936년 4월,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키고 군사기지를 만든 이후 2016년까지 80년 만이다. 방향지시석을 지나 ‘새끝’으로 내려가는 길목에 대형 태극기가 걸려 있다.

국방부로부터 거제시로 소유권이 이전된 것을 기념한 ‘지심도 반환 기념비’.
국방부로부터 거제시로 소유권이 이전된 것을 기념한 ‘지심도 반환 기념비’.

이곳에는 일제강점기에는 욱일기가 펄럭였던 곳이다. 광복 70주년을 맞은 2015년 8월 15일 주민들이 태극기를 걸었다. 최근 국방부로부터 지심도 소유권을 넘겨받은 거제시는 외도나 장사도에 이어 지심도를 연계해 해상관광산업을 모색하고 있다. 조선산업 쇠퇴 이후 지역경제가 침체한 터라 기대가 더욱 크다. 마끝에서 내려다 본 거제바다는 눈이 시리도록 아름답다. 서이말등대를 지나 남쪽으로 내도와 외도로 이어진다. 왜 이곳을 해금강이라 이르는지 알 것 같다.

김준

◆ 김준 섬마실 길라잡이

어촌사회 연구로 학위를 받은 후, 섬이 학교이고 섬사람이 선생님이라는 믿음으로 27년 동안 섬 길을 걷고 있다. 광주전남연구원에서 해양관광, 섬여행, 갯벌문화, 어촌사회, 지역문화 등을 연구하고 정책을 개발을 하고 있다. 틈틈이 ‘섬살이’를 글과 사진으로 기록하며 ‘섬문화답사기’라는 책을 쓰고 있다. 쓴 책으로 섬문화답사기, 섬살이, 바다맛기행, 물고기가 왜, 김준의 갯벌이야기 등이 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