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저소득층 소득·분배여건, 2017년 이후 개선

2020.02.21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2019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와 관련해 “공식분배지표이자 국제적으로 비교·활용되는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소득·분배여건은 2017년 이후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사업소득이 5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생산, 유통구조 등 구조적 변화, 최근 관련 업종 어려움 등에 주로 기인한다”면서 “정부는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정책노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2월 21일 한국일보 <분배강조, 文정부 2년간 빈부격차 더 커졌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2.21(금) 한국일보는 「분배강조, 文정부 2년간 빈부격차 더 커졌다」제하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

ㅇ 작년 4분기 1분위가구 평균소득은 ‘17년과 비교하면 2년새 12%가 감소하였으며, 소득5분위배율도 4.61→5.26으로 증가

ㅇ 사업소득도 ‘18.4/4분기 이후 5분기 연속 감소  

[기재부 입장]

ⓛ 최근 분배 추이 흐름을 가계동향조사로 보면 ‘19년 들어 개선세

ㅇ 1분위소득 증가세가 확대되며 ‘19.4/4분기에는 전체 분위중 가장 높은 증가세 시현

* 1분위 소득(전년비, %): (’18.4/4)△17.7 (‘19.1/4)△2.5 (2/4)0.04 (3/4)4.3 (4/4)6.9- ‘19.4/4분기 분위별 소득(전년비, %): (전체)3.6 (1분위)6.9 (2)6.0 (3)4.4 (4)4.8 (5)1.4

- 특히, 7분기 연속 감소하던 1분위 근로소득이 고용개선 등에 힘입어 증가 전환

* 1분위 근로소득(전년비, %): (’18.4/4)△36.8 (‘19.1/4)△14.5 (2/4)△15.3 (3/4)△6.5 (4/4)6.5
* 취업자증감(전년비, 만명): (’18.4/4)8.8 (’19.1/4)17.7 (2/4)23.7 (3/4)36.6 (4/4)42.2

ㅇ 분배지표인 5분위배율도 ‘19.2/4분기를 제외하고 모두 개선

* 5분위배율: (‘18.4/4)5.47 (’19.1/4)5.80 (2/4)5.30 (3/4)5.37 (4/4)5.26

- 증감           +0.86      △0.15    +0.07   △0.15   △0.21

② 공식분배지표이자 국제적으로 비교ㆍ활용되는 가계금융복지조사(가금복)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소득ㆍ분배여건은 ‘17년 이후 개선세

ㅇ 1분위소득이 전체 분위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지니계수, 5분위배율, 상대적빈곤율 등 분배지표도 모두 개선

* ‘18년 소득 증가율(전년비, %) : (전체)2.1 (1분위)4.4 (2분위)2.5 (3분위)2.5 (4분위)2.2 (5분위)1.7

* 1」 지니계수 : (’14)0.363 (’15) 0.352 (’16) 0.355 (’17)0.354 (’18)0.345 2」 5분위배율 : (’14)7.37 (’15)6.91 (’16)6.98 (’17)6.96 (’18)6.54 3」 상대적빈곤율 : (’14)18.2 (’15)17.5 (’16)17.6 (’17)17.3 (’18)16.7

※ 가금복(연간지표)은 가계동향조사(분기지표)와 비교할 때 1인가구ㆍ농어가 등이 포함되어 ①가구대표성이 높으며, ②행정자료를 통해 보완되며, ③표본도 2배이상 풍부(가계동향조사 8천, 가금복 2만가구)

③ 가계동향조사상 사업소득이 5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생산ㆍ유통구조 등 구조적 변화, 최근 관련 업종 어려움 등에 주로 기인

* 전체 사업소득증가율(%): (‘18.3/4)1.1 (4/4)△3.4 (’19.1/4)△1.4 (2/4)△1.8 (3/4)△4.9 (4/4)△2.2

* ‘19.4/4분기 서비스업생산(전년비, %): (도소매업)△0.5 (음식숙박업)+0.1 (개인서비스)△1.9

ㅇ 자영업은 온라인 쇼핑 성장, 자동화ㆍ대형화 등 생산ㆍ유통구조 변화, 자영업자 포화 등 구조적 요인으로 어려움 지속

* 자영업자 비중(%): (‘00)27.8 (’05)26.9 (‘10)23.5 (’15)21.5 (‘18)21.0
* 자영업자 비중(%, ‘18년, 무급가족종사자 포함): (韓)25.1 (EU)15.3 (日)10.3 (美)6.3
* 온라인 매출(모바일 비중) : (’15) 54.1조원(46.0%) → (’18) 111.9조원(61.6%)

ㅇ 한편, 사업소득은 감소하고 있으나, 소득 전체로 보면 전분위에서 견조하게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필요

* ‘19.2/4분기 분위별 소득(전년비, %): (전체)3.8 (1분위)0.04 (2)4.0 (3)6.4 (4)4.0 (5)3.2 
* ‘19.3/4분기 분위별 소득(전년비, %): (전체)2.7 (1분위)4.3 (2)4.9 (3)4.1 (4)3.7 (5)0.7
* ‘19.4/4분기 분위별 소득(전년비, %): (전체)3.6 (1분위)6.9 (2)6.0 (3)4.4 (4)4.8 (5)1.4

④ 정부는 영세자영업자,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현 정부 이후 자영업자 경영여건 개선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총 6차례의 지원정책 등을 추진해왔음

ㅇ 앞으로도 코로나19 지원 대책 등에서 영세자영업자, 소상공인 어려움 해소를 위한 정책노력을 더욱 강화해나갈 계획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044-215-2813)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