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하반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비대면 훈련 활성화한다

노동부, 국민내일배움카드 수강 훈련과정 1만 2450개 중 ‘스마트훈련과정’ 제공

2020.07.16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가 올해 하반기 직업훈련은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집체와 비대면 방식이 결합된 스마트훈련 공급에 중점을 둔다고 밝혔다.

스마트훈련이란 140시간 이상 훈련과정 중 비대면 방식 훈련을 10~50%(최소 20시간 이상) 편성한 훈련과정을 의미하는데, 고용노동부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은 2020년 하반기에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수강할 수 있는 훈련과정 12,450개를 선정·공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존 구직자 대상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은 집체방식 훈련을 원칙으로 했으나 이번 심사에서는 비대면 방식 훈련 확산을 위해 훈련과정 중 약 8%를 스마트훈련으로 선정했으며 앞으로 스마트 훈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0

먼저 노동부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대비한 온·오프라인 혼합 스마트훈련 949개 과정을 약 20,000명(정원기준)에게 제공한다.

각 훈련기관은 소프트웨어 임대 서비스(ASP) 방식의 온라인 강의실을 제공하는 공공 온라인 스마트 훈련플랫폼 스텝(STEP)의 온라인 강의실을 통해서 공공, 자체 온라인 콘텐츠 등을 활용한 온라인-집합훈련-현장실습 등의 연계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훈련과정은 정보통신기술(ICT), 신기술 분야가 35%(140개 과정) 이상이며 취업률 70% 이상 우수 훈련과정도 264개인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기술 분야과정 625개를 선정해 약 1만 3000명에게 제공한다.

또한 빠른 디지털 전환으로 신기술 분야 인력수요 및 훈련선호가 증가하고 있는만큼 구직자들의 전직 지원 등을 위해 신기술 훈련 공급을 전년 대비 약 2배 확대했다.

이와 함께 대구·경북 등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지역에 대해 훈련공급 확대했는데, 대구·경북지역의 직업훈련 활성화를 위해 취업률 40% 이상 등 최소한의 질 관리가 되는 과정은 최대한 선정했다.

한편 노동부는 온·오프라인 혼합 스마트훈련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과 품질관리 방안을 함께 마련했다.

먼저 온-오프 혼합 스마트훈련 과정을 만들기 위해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 ’스마트훈련 지원센터‘를 새로 설치하고, 온라인 훈련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이 훈련기관을 직접 방문해 맞춤 상담을 실시할 계획이다.

0

특히 공공의 콘텐츠 제작도구 및 촬영실(스튜디오) 등을 대여(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 등)해 훈련기관의 자체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온-오프라인 훈련에 필요한 온라인 강의실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임대 서비스(ASP)를 300개 분양했고, 추가로 우수훈련기관 등에 비용 일부(50%)를 지원하는 사업(2020년 52억 원)도 추진한다.

아울러 품질관리를 위해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되던 원격훈련 점검 체제를 온-오프라인 혼합 스마트훈련까지로 확대하고 성과평가(이수자평가 의무화, 취업률 평가 강화 등)도 강화했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훈련과정은 16일부터 수강할 수 있으며 훈련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직업훈련포탈(HRD-Net) 또는 고용센터를 통해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을 신청해야 한다.

140시간 이상 훈련과정은 고용센터를 방문해 직업 적성 등 상담을 받아야 하며 스마트훈련과 신기술·뿌리 분야 훈련은 상담 없이 즉시 훈련 참여가 가능한데, 구체적인 내용은 직업훈련포탈(http://www.hrd.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민석 노동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하반기 훈련과정 확대 공급을 통해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무급휴직자·특고·프리랜서 등 취약계층이 디지털 신기술 분야 등의 일자리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도록 신속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정책과(044-202-7275), 인적자원개발과(044-202-731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