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이 말하는 정책

콘텐츠 영역

냉장고에 뭐 있더라? 국내 발생 쓰레기의 28.7%는 음식물 쓰레기(23년 기준). 장보기 전 리스트 작성 등 일상속 작은 실천으로 지출도 아끼고, 음식쓰레기도 줄일 수 있어. 기자가 직접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행사에 참여해 집밥으로 건강 지키고, 평소 내던 배출수수료를 절감하는 효과도 거둬. 내가 가을을 사랑하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명절 때문이다. 일 년에 한두 번 볼까 말까 한 그리운 가족들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여 맛있는 음식을 한가득 차려놓고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이야기꽃을 피우는 그 시간이 좋아서, 음식이 익어가는 그 냄새가 무척이나 따스하게 느껴져서 나는 가을을 무척 좋아한다. 명절 음식. 그렇다 보니 평소보다도 음식을 만드는 손이 커진다. 명절은 '먹을 만큼만 적당히 만들어서 남김없이 먹자' 는 우리 집의 암묵적인 규칙이 깨지는 날이기도 하다. 차례상. 매년 명절만 되면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나와 어떻게 하면 의식적으로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던 차에, 한국환경공단에서 진행하는 캠페인 하나를 찾았다. 한국환경공단은 추석 연휴 기간에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위해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챌린지. 이번 행사는 음식물 쓰레기가 평소보다 늘어나는 추석 연휴 기간에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를 정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라고 한다. 환경도 보호하고, 음식물 낭비도 줄이는 일석이조나 다름없는 캠페인이다. 이 행사는 무선인식(RFID) 종량기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행사로, 행사 포스터에 첨부된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신청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캠페인에 참여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참여하기로 했다. 생활폐기물 대비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지난 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하루 1만 4천여 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음식물의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됨에 따라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 소식을 접하니 지금부터라도 일상에서 불필요한 음식물 쓰레기는 꼭 줄이는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이번 추석 음식물 줄이기 캠페인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 건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통해 내달 1일부터 14일까지의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한 후, 평상시의 배출량과 비교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해,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우리 집도 참여했다. 신청 시 태그 인쇄 번호를 통해 공동주택과 세대를 확인할 수 있다. RFID 종량제 소개. RFID 배출기를 이용하면서부터 우리 집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줄었다. 이전에는 일반 음식물 쓰레기 전용 수거 용기에 배출했기에 정확히 어느 정도의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는 건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었다. RFID 태그가 부착된 전용 기기. 이제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전용 기기를 사용하여 내가 버릴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배출하기 때문에 쓰레기 배출량을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무게만큼의 수수료가 부과되는 건 덤이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기 투입구. 배출 기기의 카드 투입구에 카드를 넣으면 투입구가 자동으로 열린다. 투입구 안에 쓰레기를 배출한 뒤 무게 측정을 위해 '닫힘' 버튼을 누르면 내가 버린 무게만큼 비용이 부과되며 음식물 처리가 완료되는 시스템이다. 우리 지역의 경우 쓰레기 1kg당 63원의 배출 요금을 부과하고 있는데, 배출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을 의식적으로 하게 되었다. 음식물 쓰레기 종량처리기 사용 방법. 평상시 우리 집은 160원 정도의 수수료를 지불했는데, 이번에는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추석 연휴인데도 120원 정도의 수수료를 낼 정도로 배출량을 줄였다. 환경을 보호하고 음식 낭비를 줄이겠다는 의식을 가지고 소비 생활을 하니, 평소보다도 음식 조리량이 많았던 주간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낭비를 줄일 수 있어 뿌듯했다. 공단 측에 따르자면 지난 3년간 명절 연휴에 무선인식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를 진행한 결과, 무려 6,200t의 쓰레기를 감량했었다며, 이번 연휴에도 많은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공단 측에서 소개한 생활 속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방법을 살펴보자. 장 볼 때 미리 리스트를 작성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게 우선이다. 나도 장을 보러 가기 전에 미리 메모장에 구매할 품목을 적어서 가는 편이지만, 막상 시장에 가면 리스트에 적지 않았던 것까지 충동 구매할 때가 많다. 이런 소비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생활 속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첫걸음이다. 장을 보러 가기 전에 냉장고 속의 재고를 미리 확인하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남은 음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재활용하여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 남은 야채들을 활용해 볶음밥이나 샐러드처럼 간단하고 건강한 요리를 만들면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집밥을 만들어 먹어 나의 건강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렇게 사소해 보이는 습관일지라도 모이고 모인다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확실히 줄일 수 있게 되니, 추석 기간이 지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도록 하자! ☞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 바로 가기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한지민 hanrosa2@naver.com 2025.10.15 정책기자단 한지민
검색결과 총 815
검색폼
검색기간
~
선택한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