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무외시(無畏施)가 마음의 백신이 아닐까

2020.04.29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인쇄 목록

지난번에 이 곳에 ‘내 적은 마인드 바이러스였다’라는 글을 썼다. 지금 내 삶을 옭매고 있는 것의 정체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지 모른다는 공포라기보다는 내 안에서 막연히 커져가는 불안과 두려움이라고 했다. 너도 나도 두려움에 사로잡히면 우리가 몸담은 공동체는 그 마인드 바이러스가 퍼져 거대한 두려움의 무덤이 되고 말 것이며, 우리 사회에는 남에 대한 원망과 비난과 감시만 팽배해질 거라고 생각했다.  

그럼 내 안의 마인드 바이러스를 어떻게 몰아낸단 말인가. 최근 어떤 글을 읽다가 “아, 그래 바로 이거야”하는 깨달음을 준 단어가 있다. 불교에서 말하는 ‘무외시(無畏施)’라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세 가지 보시(베풂)가 있다고 한다. 재보시(財布施), 법보시(法布施), 무외시(無畏施)다. 재보시는 물질을, 법보시는 가르침을 베푸는 것이며, 무외시는 두려움을 없애주는 보시다. ‘시무외(施無畏)’라고도 말한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십여 년 전에 불교 신자인 동창한테 이 단어를 처음 접했다. 그는 어떤 자리에서든 늘 보살 같은 염화시중의 미소를 띤 채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주는 친구였다. 그와 함께 있으면 좌중은 어떤 안정감이나 안락함의 커튼이 쳐진 듯한 느낌이 들곤 했다.

그래서 그에게 물어본 적이 있다. 너는 어떻게 사람들을 늘 편하게 해주냐고. 그는 이렇게 답했다. “글쎄, 무외시라고나 할까.”

불가에서는 세 가지 보시 중 무외시가 가장 훌륭한 것이라고 한다. 재물이나 특별한 지식이나 재능이 없어도 베풀 수 있기 때문이다. 무외시는 어느 중생이나 할 수 있는 것이다.

문자 그대로 풀어 보면 ‘무(無)’는 없음, ‘외(畏)’는 두려움’, ‘시(施)’는 베풂이다. 무외시는 타인에게 두려움을 주지 않고 더 나아가 두려움을 없애주는 것이다. 내 자신의 언행이나 처신이나 용모가 남에게 두려운 마음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감정은 전염된다. 우울하고 화난 사람 옆에 있으면 누구나 불안해지듯 내가 편안하고 평화롭게 보이면 남도 그렇게 된다. 결국은 나의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 무외시이기도 하다

남에게 두려움을 주지 않는 건 두려움을 없애주는 것보다 일견 쉬워 보인다. 하지만 곰곰 생각해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잘 모르는 사람들과도 하루에도 수없이 마주치고 접촉하고 소통하는 이 공동체 사회에서, 나도 모르게 남에게 두려움이나 불편함을 끼치는 경우가 생길 수밖에 없다.  

불가에선 부처님의 온화한 얼굴, 불상의 인자한 기운 그 자체가 무외시라고들 한다. 무외시는 거창한 게 아니다. 어두운 밤길에 묵묵히 앞에서 걸으며 길을 터주는 것, 그런 거다.

처음 만난 이에게도 선하게 미소 한 번 지어 주는 것, 힘들어 보이는 이에게 따뜻한 말 한 마디 건네주는 것, 문을 열어주고 기다려주는 것, 가파른 계단에서 손 한 번 잡아주는 것, 큰 일이 터져도 호들갑 떨지 않는 것, 조금은 불편해도 그냥 곁에 머물러 주는 것,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을 스쳐도 인상 쓰지 않는 것….

더 나아가 재주를 갖고 있다면 발코니음악회나 온라인에 무료 공연하는 것, 입장료 수입이 떨어져 굶어가는 동물원 사자에게 먹이를 기증하는 것, ‘#덕분에 챌린지’에 참여해 의료진에게 감사와 격려를 표하는 것, 긴급재난지원금을 기부하는 것…. 이런 건 적극적인 무외시다,  

최근 본 뉴스 중에 작지만 가장 돋보였던 건, 노인복지관이 문을 닫아 온종일 집에만 있는 홀몸 어르신들에게 무료한 일상을 달래줄 콩나물 재배 세트를 나눠준 서울 성동구의 사례다.

그런데 불가에서 보시는 더 높은 차원을 말한다. 보시는 ‘삼륜청정(三輪淸淨)’, 또는 ‘삼륜체공(三輪體空)’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베푸는 이와 받는 이, 보시하는 것 이 세 가지는 맑고 깨끗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누구에게 무엇을 베풀었다는 것을 의식하거나 집착하거나 기대하지 않고 오직 빈 마음으로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걸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라고 한다. ‘相(모양)’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의미다. ‘상’은 ‘내가 주었다’는 생각이다.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는 게 아니라, 오른손도 모르게 하는 경지다. 보시는 결국 나를 수양하는 길이다.
 
오랜 사회적 거리두기로 모두들 힘들다. 짜증도 나고 별거 아닌 일에 예민해지기도 한다. 생활방역을 지키고 조심하는 건 조심하는 거지만, 바이러스는 결국은 내 운수소관이기도 하다.
언제 다시 바이러스의 두 번째 파도가 엄습할지 우리는 모른다. 장기전을 치러야 할지 모른다. 이제 중요한 건 마음의 백신이다. 생활방역 이상 중요한 게 마음의 방역이라는 걸 받아들여야 한다.

남에게 두려움을 주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내 안의 두려움과 공동체의 불안을 초월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무외시의 정신이 바로 나의 심리방역이요, 사회적 심리방역이라는 걸 오늘 각성했다.

한기봉

◆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언론과 글쓰기를 강의했고, 언론중재위원을 지냈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