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 생애주기별 지원 강화
■ 어르신의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 생활 지원
- 노인일자리 115만 개로 확대, 안전한 일자리 환경 조성
노인 일자리를 115만 개로 확대합니다
① 노인일자리 수 확대
· 노인인구의 10.4% 수준인 115만 개로 확대(5.4만 개 증가)
*(공익활동형) 복지시설 봉사 등 지역사회 공익 증진 활동
(사회서비스형) 교육 시설 학습 보조 지원, 공공행정 업무 지원 등
(민간형) 실버 카페 등 소규모 매장 공동 운영, 경력자 연계, 시니어 인턴십 지원 등
② 안전한 일자리 환경 조성
· 사고예방 활동, 활동처 사전 안전조사 등을 수행하는 안전전담인력 613명 신규 배치
■ 치매환자의 안전한 노후 보장
- 치매안심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시범사업 도입
치매환자의 재산 보호를 위한 치매안심재산관리지원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① 치매안심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시범사업 도입
· 치매 등 인지 저하된 고령자의 안정적인 재산관리 지원
*지원내용, 추진체계 등 시범사업 세부 설계 진행 중
<사업절차>
① 대상자 발굴
② 상담·접수
③ 재정지원계획 수립
④ 신탁계약
⑤ 의료비, 생필품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지출 지원
■ 저소득층의 임신·출산 경제적 부담 경감
- 영아(0~24개월) 가정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대상을 확대합니다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대상 확대>
· 만 2세 미만 영아를 둔 다자녀(2인 이상)·장애인 가구 대상 소득기준 완화(중위소득 80%→100%), 지원대상 3.5만 명 증가 ('26.7월~)
· 기저귀(월 9만 원), 조제분유(월 11만 원) 구매 비용 지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최대 24개월 지원)
■ 건강한 임신·출산 지원
- 가임력 검사비 지원 확대
건강한 임신·출산을 위해 가임력 검사비 지원을 확대합니다
<필수 가임력 검사비 지원 확대>
· 지원대상
모든 20~49세 가임기 남녀(결혼·자녀 유무 무관)(약 35.9만 명)
· 지원항목
(여성) 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최대 13만 원
(남성)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최대 5만 원
· 지원횟수
주요 생애주기별 1회씩 최대 3회 지원
* 제1주기 29세 이하, 제2주기 30~34세, 제3주기 35~39세
3. 지역·필수·공공의료 확충
■ 어디서나 적시에 응급의료서비스 제공
-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지원, 중증외상센터 및 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
어디서나 적시에 응급환자 치료가 가능하도록 응급의료체계를 강화합니다
① 응급의료기관 지원
· 환자수가 적어 운영이 어려운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의료장비 지원
·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 보조금 최대 2.4배 확대
· 응급실 인프라 확충, 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융자지원 신설(1,000억 원)
② 중증외상센터 및 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
· 권역외상센터 거점센터 2개소에 중환자실, 입원실, 수술실, 소생실 2배 확충
· 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권역 1개소, 지역 4개소), 24시간 전문진료체계 강화
■ 지역·필수의료 안정적 제공
- 지역거점병원 육성에 3,000억 원 투자
지역 내에서 최종 치료가 가능하도록 지역거점병원 지원을 확대합니다
① 중증·고난도 치료기관 역량 강화
·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 첨단 시설·장비 도입(814억 원)
* 수술실·중환자실 병상 확충, 첨단 로봇수술기 도입, 암 치료장비 도입 등
② 지역 내 든든한 거점 공공병원 육성
· 지방의료원 시설·장비 현대화, 대학병원 우수 의료인력 파견 지원 등(2,039억 원)
2. 생애주기별 지원 강화
■ 어르신의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 생활 지원
- 노인일자리 115만 개로 확대, 안전한 일자리 환경 조성
노인 일자리를 115만 개로 확대합니다
① 노인일자리 수 확대
· 노인인구의 10.4% 수준인 115만 개로 확대(5.4만 개 증가)
*(공익활동형) 복지시설 봉사 등 지역사회 공익 증진 활동
(사회서비스형) 교육 시설 학습 보조 지원, 공공행정 업무 지원 등
(민간형) 실버 카페 등 소규모 매장 공동 운영, 경력자 연계, 시니어 인턴십 지원 등
② 안전한 일자리 환경 조성
· 사고예방 활동, 활동처 사전 안전조사 등을 수행하는 안전전담인력 613명 신규 배치
■ 치매환자의 안전한 노후 보장
- 치매안심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시범사업 도입
치매환자의 재산 보호를 위한 치매안심재산관리지원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① 치매안심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시범사업 도입
· 치매 등 인지 저하된 고령자의 안정적인 재산관리 지원
*지원내용, 추진체계 등 시범사업 세부 설계 진행 중
<사업절차>
① 대상자 발굴
② 상담·접수
③ 재정지원계획 수립
④ 신탁계약
⑤ 의료비, 생필품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지출 지원
■ 저소득층의 임신·출산 경제적 부담 경감
- 영아(0~24개월) 가정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대상을 확대합니다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대상 확대>
· 만 2세 미만 영아를 둔 다자녀(2인 이상)·장애인 가구 대상 소득기준 완화(중위소득 80%→100%), 지원대상 3.5만 명 증가 ('26.7월~)
· 기저귀(월 9만 원), 조제분유(월 11만 원) 구매 비용 지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최대 24개월 지원)
■ 건강한 임신·출산 지원
- 가임력 검사비 지원 확대
건강한 임신·출산을 위해 가임력 검사비 지원을 확대합니다
<필수 가임력 검사비 지원 확대>
· 지원대상
모든 20~49세 가임기 남녀(결혼·자녀 유무 무관)(약 35.9만 명)
· 지원항목
(여성) 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최대 13만 원
(남성)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최대 5만 원
· 지원횟수
주요 생애주기별 1회씩 최대 3회 지원
* 제1주기 29세 이하, 제2주기 30~34세, 제3주기 35~39세
3. 지역·필수·공공의료 확충
■ 어디서나 적시에 응급의료서비스 제공
-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지원, 중증외상센터 및 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
어디서나 적시에 응급환자 치료가 가능하도록 응급의료체계를 강화합니다
① 응급의료기관 지원
· 환자수가 적어 운영이 어려운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의료장비 지원
·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 보조금 최대 2.4배 확대
· 응급실 인프라 확충, 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융자지원 신설(1,000억 원)
② 중증외상센터 및 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
· 권역외상센터 거점센터 2개소에 중환자실, 입원실, 수술실, 소생실 2배 확충
· 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권역 1개소, 지역 4개소), 24시간 전문진료체계 강화
■ 지역·필수의료 안정적 제공
- 지역거점병원 육성에 3,000억 원 투자
지역 내에서 최종 치료가 가능하도록 지역거점병원 지원을 확대합니다
① 중증·고난도 치료기관 역량 강화
·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 첨단 시설·장비 도입(814억 원)
* 수술실·중환자실 병상 확충, 첨단 로봇수술기 도입, 암 치료장비 도입 등
② 지역 내 든든한 거점 공공병원 육성
· 지방의료원 시설·장비 현대화, 대학병원 우수 의료인력 파견 지원 등(2,039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