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여성가족부 예산안

2026년 여성가족부 예산안

■ 돌봄 확대 및 다양한 가족 지원- 1조 4,020억 원 편성
① 아이돌봄 지원 확대
· 한부모·조손가구 등 정부지원시간 확대(연 960시간→1,080시간)
· 지원가구 확대(12만→12만 6천) 및 취학아동 정부비율 상향(가~다형 5~10%p↑)
· 영아(0~2세)돌봄수당 인상(1.5천 원→2천 원/시간) 및 유아(3~5세)돌봄수당(1천 원/시간) 신설 등
② 한부모 양육부담 완화
· 복지급여 지급 대상 확대(중위소득 63%→65% 이하)
· 복지급여 인상
1) 추가아동양육비(월 5~10→10만 원)
2) 학용품비(연 9.3→10만 원)
3) 시설 생활보조금(월 5→10만 원)
· 양육비이행관리원 증원(+13명*) *양육비 선지급금 회수 담당 8명 증원 등 포함
③ 다양한 가족 지원
· 취약·위기가족 통합지원 확대(+6개소)
·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시간 확대(22시까지, 20개소 시범사업)
■ 돌봄 확대 및 다양한 가족 지원- 1조 4,020억 원 편성
① 아이돌봄 지원 확대
· 한부모·조손가구 등 정부지원시간 확대(연 960시간→1,080시간)
· 지원가구 확대(12만→12만 6천) 및 취학아동 정부비율 상향(가~다형 5~10%p↑)
· 영아(0~2세)돌봄수당 인상(1.5천 원→2천 원/시간) 및 유아(3~5세)돌봄수당(1천 원/시간) 신설 등
② 한부모 양육부담 완화
· 복지급여 지급 대상 확대(중위소득 63%→65% 이하)
· 복지급여 인상
1) 추가아동양육비(월 5~10→10만 원)
2) 학용품비(연 9.3→10만 원)
3) 시설 생활보조금(월 5→10만 원)
· 양육비이행관리원 증원(+13명*) *양육비 선지급금 회수 담당 8명 증원 등 포함
③ 다양한 가족 지원
· 취약·위기가족 통합지원 확대(+6개소)
·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시간 확대(22시까지, 20개소 시범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