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4. 의료인력 양성과 정신건강 투자 확대
■ 안심할 수 있는 지역의료
- 지역 의료인력 확보 지원 강화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년 예산(2025.9.4.)
지역의 의료인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합니다
① 시니어의사 채용 확대
· 경험 많은 퇴직 의사 등 시니어의사 채용지원금 지원 확대(+40억 원)
* 지원기간 6개월 12개월, 지원인원 110명→160명
② 거점권역외상센터 기능 강화
· 지역 장기(5년) 근무를 계약한 필수과목 전문의에게 근무수당과 정주여건 지원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③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확대
· 지역필수의사제 시행 지자체 확대(4개 시·도→6개 시·도, +40명)
■ 모두가 모두를 지키는 사회
- 자살예방서비스 확대, 인프라 강화
자살예방서비스를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합니다
1. 자살 고위험군 지원 확대
· 자살시도자에게 소득에 관계없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비, 상담비 등 지원
· 자살시도자 관리를 위한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확대(92개소→98개소)
2. 지역 자살예방체계 확충
· 자살예방센터 전담인력 확충(668명→1,275명, 센터당 2.6명→5명)
· 자살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역 전국으로 확대(12개→17개 시·도)
*사고 발생 시 현장 출동 등 초기 대응, 유족 심리지원 등
5. 인공지능 기반 복지·의료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 바이오헬스 강국 실현
- R&D 1조 원 이상 규모로 확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바이오헬스 R&D 및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의약품 공급망 선진화, K-바이오헬스 글로벌 진출을 지원합니다
① 바이오헬스 R&D 1조 원 이상 규모 투자
· 질환 진단·치료 기술 등 개발, 미래성장동력 확보 위한 혁신 신약·의료기기 개발 등 지원
· 데이터 구축·활용 및 AI 의료현장 확산 지원, 의사과학자 등 임상·연구 연계 인프라 지원
②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진출 지원
· 투자 확대 위한 K-바이오 백신 펀드(~27년, 1조 원 규모)와 임상3상 특화펀드 조성
· 공급망 위기 선제대응을 위한 생산시설 선진화, 원부자재 확보, 핵심의약품 비축
·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촉진, 현지 거점 진출, 컨설팅 및 규제대응 지원
* 기업 내·외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기업의 혁신을 이뤄내는 것
■ AI 기반 보건·복지 구현
- 복지 사각지대 해소, AI의료 혁신
보건복지분야 AI 집중 투자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의료·바이오헬스산업 경쟁력을 확보합니다
① AI 복지·돌봄으로 전환
· AI 기술을 활용하여 위기가구 촘촘히 발굴, 수혜자 맞춤 서비스 제공
* AI 스마트 홈 기반 돌봄서비스, AI 복지상담 및 위기감지 시범사업 등
② AI 의료 혁신
· AI를 활용한 고품질의 의료데이터 생성·활용 지원
· 제약바이오 AI 전문인력 양성, AI 진료모델 개발·도입
③ AI 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집중 투자
· (복지) 고독사 예방, 취약계층 생활안전, 고령친화산업 육성 등(300억 원)
· (보건) AI 활용 건강관리, 의료시스템, 뷰티 등(200억 원)
4. 의료인력 양성과 정신건강 투자 확대
■ 안심할 수 있는 지역의료
- 지역 의료인력 확보 지원 강화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년 예산(2025.9.4.)
지역의 의료인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합니다
① 시니어의사 채용 확대
· 경험 많은 퇴직 의사 등 시니어의사 채용지원금 지원 확대(+40억 원)
* 지원기간 6개월 12개월, 지원인원 110명→160명
② 거점권역외상센터 기능 강화
· 지역 장기(5년) 근무를 계약한 필수과목 전문의에게 근무수당과 정주여건 지원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③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확대
· 지역필수의사제 시행 지자체 확대(4개 시·도→6개 시·도, +40명)
■ 모두가 모두를 지키는 사회
- 자살예방서비스 확대, 인프라 강화
자살예방서비스를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합니다
1. 자살 고위험군 지원 확대
· 자살시도자에게 소득에 관계없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비, 상담비 등 지원
· 자살시도자 관리를 위한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확대(92개소→98개소)
2. 지역 자살예방체계 확충
· 자살예방센터 전담인력 확충(668명→1,275명, 센터당 2.6명→5명)
· 자살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역 전국으로 확대(12개→17개 시·도)
*사고 발생 시 현장 출동 등 초기 대응, 유족 심리지원 등
5. 인공지능 기반 복지·의료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 바이오헬스 강국 실현
- R&D 1조 원 이상 규모로 확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바이오헬스 R&D 및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의약품 공급망 선진화, K-바이오헬스 글로벌 진출을 지원합니다
① 바이오헬스 R&D 1조 원 이상 규모 투자
· 질환 진단·치료 기술 등 개발, 미래성장동력 확보 위한 혁신 신약·의료기기 개발 등 지원
· 데이터 구축·활용 및 AI 의료현장 확산 지원, 의사과학자 등 임상·연구 연계 인프라 지원
②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진출 지원
· 투자 확대 위한 K-바이오 백신 펀드(~27년, 1조 원 규모)와 임상3상 특화펀드 조성
· 공급망 위기 선제대응을 위한 생산시설 선진화, 원부자재 확보, 핵심의약품 비축
·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촉진, 현지 거점 진출, 컨설팅 및 규제대응 지원
* 기업 내·외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기업의 혁신을 이뤄내는 것
■ AI 기반 보건·복지 구현
- 복지 사각지대 해소, AI의료 혁신
보건복지분야 AI 집중 투자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의료·바이오헬스산업 경쟁력을 확보합니다
① AI 복지·돌봄으로 전환
· AI 기술을 활용하여 위기가구 촘촘히 발굴, 수혜자 맞춤 서비스 제공
* AI 스마트 홈 기반 돌봄서비스, AI 복지상담 및 위기감지 시범사업 등
② AI 의료 혁신
· AI를 활용한 고품질의 의료데이터 생성·활용 지원
· 제약바이오 AI 전문인력 양성, AI 진료모델 개발·도입
③ AI 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집중 투자
· (복지) 고독사 예방, 취약계층 생활안전, 고령친화산업 육성 등(300억 원)
· (보건) AI 활용 건강관리, 의료시스템, 뷰티 등(200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