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기술 관련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해 '케이(K)-컬처 인공지능(AI) 산소공급 프로젝트' 등을 추진한다.
이로써 '케이-컬처'의 전후방 산업 파급력을 증대하고 '인공지능 3강 도약'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을 극대화한다.
문체부는 내년 문체부 연구개발 예산을 1515억 원으로 확정해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했다며 8일 이같이 밝혔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 4일 서울 중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는 지난해보다 454억 원(42.7%) 증가한 규모며, 지난 정부에서 감액된 수준을 넘어서는 역대 최대 규모 투자다.
지난 정부에서는 2023년 1336억 원, 지난해 1001억 원, 올해 1062억 원으로 모두 274억 원이 줄어들었다.
2026년 문체부 연구개발(R&D) 예산안 그림(이미지=문체부 제공)
지난달 말 이재명 대통령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매기 강 감독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문화산업의 튼튼한 뿌리를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으며, 이번 문체부 연구개발 투자 확대는 '튼튼한 뿌리'를 위한 정책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 볼 수 있다.
최근 떠오르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은 쏟아지고 있는 인공지능 영상과 이미지에서 체감할 수 있듯이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문화·체육·관광 등 문화기술 분야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었지만, 그동안 문화기술 기업의 만성적인 자금 부족과 정부 연구개발 예산삭감 등으로 문화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정체돼 있었다.
K-컬처 AI 산소공급 프로젝트 그림(이미지=문체부 제공)
이에 내년 문체부 연구개발 예산은 '케이(K)-컬처 에이아이(AI) 산소공급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구성해 '케이-컬처'의 전후방 산업 파급력을 증대시키고 인공지능 3강 도약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을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산업의 기획부터 제작, 수출 전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해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도모하고, 한국문화를 반영한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해 자국 인공지능(소버린 AI)을 강화한다.
또한 공공 문화시설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국민의 인공지능 접근성과 체감도를 높이고, 융합형 인공지능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도 추진해 '세계 소프트파워 5대 문화강국'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 정책담당자는 "문화산업은 아이디어에 기반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우리나라의 신성장동력인 만큼 그 문화산업의 튼튼한 뿌리를 이루는 문화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술투자과(044-203-2416), 문화예술정책실 전통문화과(044-203-2548), 저작권산업과(044-203-2485), 스포츠산업과(044-203-3157), 관광정책과(044-203-2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