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
요약
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 매뉴얼에 대하여- 현대인들은 하루일과의 90%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실내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각종 산업 분야에서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실내공간은 더욱 밀폐화되고, 복합화학물질로 구성된 건축자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새집증후군」「주택의 실내환경오염」「건물증후군」과 같은 각종 실내환경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지침서는 주택 실내공기질의 오염원과 그 인체영향에 대하여 알려드리고, 각종 상황에 따른 조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주택의 실내환경오염에 대하여 자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쉽게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목차
Ⅰ. 실내공기질 관리1. 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 매뉴얼에 대하여
2. 실내 공기 관리는 왜 필요한가
Ⅱ. 실내 오염원 및 오염물질의 종류
1. 주택 내 오염물질 방출 오염원
2. 실내 오염물질 종류 및 인체영향
○ 휘발성유기화합물 ○ 폼알데하이드 ○ 일산화탄소 ○ 이산화탄소 ○ 이산화질소 ○ 미세먼지 ○ 부유미생물 ○ 집먼지진드기 ○ 라돈
Ⅲ.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1. 생활활동에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 방법
○ 적정 실내 온·습도를 유지합니다. ○ 주기적인 실내 환기가 필요합니다. ○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합니다. ○ 새 가구 구입 시 친환경제품을 구입합니다. ○ 전기·전자제품은 사용 후 충분한 환기가 필요합니다. ○ 청소는 정기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 실내에서는 금연해야합니다. ○ 의류 및 침구류 관리도 중요합니다. ○ 건축물 구조 및 형태에 따라 관리가 필요합니다. ○ 애완동물 관리 ○ 방향제 사용 자제
2. 계절에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 방법
○ 봄, 가을 ○ 여름 ○ 겨울
3. 건강자각증상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 방법
○ 실내 거주시 눈이나 목이 따가울 경우 ○ 천식이나 아토피 등이 생겼을 경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자주 발생할 경우
4. 주택 공간에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 방법
○ 주방 ○ 거실 ○ 욕실 ○ 침실
Ⅳ. 부록
○ 용어 정리 ○ 관련 기준 ○ 자가 체크리스트 ○ 실내공기질 관련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