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인터넷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세대 웹 표준 (HTML5) 확산 추진계획
요약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는 12일,
우리나라의 웹 환경 개선과 인터넷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세대 웹 표준
HTML5 확산 추진계획”을 발표했다.HTML5는 우리나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비표준 기술인 ActiveX를 현격하게 줄이는 것은 물론, 구글·애플이 주도하고 있는 OS 플랫폼 중심의 인터넷 생태계를 개방화시켜 플랫폼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콘텐츠·서비스·S/W 업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최적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방통위는 ① 웹 기반의 공인인증서 표준화 추진, ② 5년간 HTML5 전문인력 3,000명 양성, ③ 공공·민간 웹 사이트의 HTML5 전환 지원 등 총 15개의 정책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주요 추진과제로 ▲ 웹 기반으로 공인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지금처럼 비표준 기술인 ActiveX를 이용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로 ‘공인인증서’를 직접 불러 사용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웹 기반 전자서명 기능”과 “인증서 관리 기술”에 대한 개발 및 표준화가 필요하다.
“웹 기반 전자서명 기능”은 이미 금년초 부터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인증서 관리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방통위가 민간 전문가 및 ETRI 등을 통해 금년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오는 2014년까지 표준화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 표준화에 성공할 경우, 금융위, 행안부와 협의하여 온라인 쇼핑 등 전자상거래에 우선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목차
I. 추진배경Ⅱ. HTML5 의의
1. HTML5 개념 및 특징
2. HTML5가 미치는 영향
Ⅲ. HTML5 현황 및 전망
1. 시장 전망
2. 업체 현황
3. 표준화 동향
Ⅳ. 우리나라의 현 위치 및 정책적 시사점
Ⅴ. 비전 및 추진목표
Ⅵ. 정책과제
1. 웹 기반의 개방형 기술 개발 및 표준화
2. HTML5 전환 및 수요 확산
3. 인식 제고 및 제도 개선
4. 전문 인력 양성
5. HTML5 산업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