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디지털 성범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제1장. 조사개요>
1. 조사개요
1) 조사배경 및 목적
2) 조사기간
3) 조사수행기관
2. 조사 설계
3. 조사내용
4. 일러두기
<제2장. 조사결과 분석>
1. 성범죄 문제 심각성 인지 수준
2. 일상생활 중 피해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성범죄 유형
3. 성범죄 개념 또는 내용 인지 수준
4. 디지털 성범죄 문제 심각성 인지 수준
5. 성범죄 행위 관련 법적 처벌 인지 여부
6. 가장 처벌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가해 행위 유형
7. 불법촬영물 및 이미지가 가장 많이 유통되는 곳
8. 디지털 성범죄 사건 해결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
9. 디지털 성범죄 해결을 위해 집중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단계
10.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에 효과가 있는 대책(변형 카메라 판매/촬영 단계)
11.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에 효과가 있는 대책(불법촬영물 유포/신고 단계)
12.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에 효과가 있는 대책(디지털 성범죄 단속/수사 단계)
13.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에 효과가 있는 대책(디지털 성범죄자 처벌 단계)
14.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에 효과가 있는 대책(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단계)
15.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에 효과가 있는 대책(디지털 성폭력 교육/예방 단계)
16.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 인지 수준
17.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 효과성(처벌의 실효성 강화)
18.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 효과성(아동?청소년에 대한 보호 대책 확대)
19.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 효과성(수요 차단 및 인식 개선)
20.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 효과성(피해자 지원 내실화)
21.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을 통한 디지털 성범죄 감소 정도
22. 디지털 성범죄 관련 신고/지원 기관 인지 여부
23. 디지털 성범죄 관련 인지하고 있는 신고/지원 기관
24. 디지털 성범죄 방지를 위한 대국민 정책 홍보 시 가장 효과적인 채널
부록.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