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출생 변화

출처 : 통계청 담당부서/저자 : 인구동향과 등록일 : 2025.09.03 유형 : 통계/지표 주제 : 기타(사회일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요약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출생 변화(요약)

- 혼인건수는 1996년을 정점으로 2022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23년 이후 2년 연속 증가
- 평균초혼연령은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이며, 2024년 남자는 33.9세, 여자는 31.6세로 1995년 대비 각각 5.5세, 6.2세 상승
- 외국인과의 혼인은 2005년 정점을 보인 후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22년부터 증가 추세로 전환
- 출생아 수는 1995년 71만 5천 명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23년 23만 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후 2024년 23만 8천 명으로 증가함
- 연령별 출산율은 20대에서 감소, 30대 및 40대 초반 연령층은 증가
- 첫째아 비중은 증가 추세이며, 둘째아·셋째아 이상의 비중은 감소 추세임.

목차

Ⅰ. 혼인·출생 현황(지난 30년간) 요약

Ⅱ. 혼인 현황
1.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
2. 성·연령별 혼인
3. 평균 혼인연령
4. 종류(초·재혼)별 혼인
5. 외국인과의 혼인
6. 시도별 혼인

Ⅲ. 출생 현황
1.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2. 출산순위별 출생
3. 모의 연령별 출산율
4. 유배우 연령별 출산율
5. 부모의 평균연령
6. 법적 혼인상태별 출생
7. 결혼생활기간별 출생
8. 다태아 출생
9. 시도별 출생

Ⅳ. 출산력 국제비교

Ⅴ. 통계표

◇ 부 록 : 혼인·출생 통계 개요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