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문화재 감정건수 대폭 감소로 전문임기제 임기 연장안해

2021.12.24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최근 문화재 감정건수가 대폭 감소하여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전문임기제 임기를 연장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2월 24일 한겨레 <밀반출된 조선 대학자 묘지 귀환도 도왔는데…일터 잃는 ‘문화재 파수꾼’>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감정위원 6명에 대해 행안부가 임기를 연장하지 않음 

- 이에 한국미술사학회는 ‘오랜시간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을 업무 효율을 내세워 감축한다’며 강하게 반발

[행안부 입장]

○ 문화재 감정위원은 주요 공항·항만에서 문화재 반출을 방지하기 위해 감정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18.3월 감정 업무의 상시성·연속성을 고려하여 당시 전문임기제 공무원(19명)을 일반 공무원(22명, 3명 증원)으로 전환하였으며,

- 현재 일반 공무원(22명)과 전문임기제 공무원(6명) 및 위촉직 위원(33명, 비상근) 등 총 61명으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전문임기제 공무원(공무원임용령제3조의2)은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이 있는 사람을 일정 기간(5년의 범위 내) 동안 채용하는 임기제 공무원으로,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할 필요성에 따라 신축적·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

○ 그동안 전문임기제로 운영해오던 문화재 감정위원의 경우,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문화재 감정건수가 ’20년 3,151건, ’21년도에는 2,591건으로, 코로나 이전인 ’19년 감정 실적(24,664건)과 대비하여 약 80% 이상 감소함에 따라,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전문임기제(6명)의 임기를 연장하지 않고 기존 일반 공무원과 위촉직 위원으로 문화재 감정관실을 운영하기로 하였습니다.

○ 현재 문화재청에서는 감정 업무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 공무원과 위촉직 위원을 관련분야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전문가로 임용하여 이번에 감축된 전문임기제 공무원과 동일한 감정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있으며, 문화재 감정 시 일반 공무원과 위촉직 위원이 함께 감정하여 감정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문화재청에서는 이번에 임기가 연장되지 않은 전문임기제 공무원을 위촉직 위원으로 임명하여 그동안 쌓은 경력과 전문성을 계속해서 문화재 감정업무에 활용할 예정이며, 문화재 반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사회조직과(044-205-236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