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복지부 "인구위기는 중차대한 범정부적 사안…적극 대응할 것"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보건복지부는 "정부는 인구위기를 중차대한 범정부적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범정부적으로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습니다.

9월 5일 한국경제 <저출산에 나랏빚 치솟는데 인구정책은 후순위로 밀려>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 아직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조직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곧 발표될 개편안에서 빠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옴

  ○ 내년도 복지부의 저출생 예산은 전액 삭감됐고, 올해 저출생․고령사회 대비 국민 인식 개선 몫으로 배정된 43억 3,000만원과 저출생․고령사회 정책개발 및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비로 배정된 5억 2,000만원이 내년도 예산안에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들어갔다고 보도

[복지부 설명]

□ 지난 8월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정부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을 토대로 정부는 가까운 시일 내에 향후 5년간 추진할 국정과제를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 내년도 복지부의 저출생 예산이 전액 삭감되었다는 기사는 사실이 아닙니다. 

 ○ 정부는 저출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대폭 증액한 정부안을 마련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동수당은 금년(1조 9,588억 원)보다 5,238억 원 증액한 2조 4,822억 원으로 편성되었습니다. 

 ○ 한편, 기사에서 언급한 저출생․고령사회 대비 국민 인식 개선사업(43억 3,000만원) 등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홍보 사업과 유사 중복 문제가 있으므로 조정이 필요하다는 국회의 결산 심사 결과를 반영하여 일부 예산을 조정*한 것입니다. 

   * 「저출산고령사회정책개발 및 관리체계 구축」 예산으로 통합 및 일부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사무처 지원」 예산 반영

□ 정부는 저출생․고령화라는 인구위기를 중차대한 국가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인구 위기에 대응하는 거버넌스 강화를 비롯해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6~2030) 수립 등 관련 대책 마련에 범정부적 역량을 결집해 나갈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문의 :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인구정책총괄과(044-202-369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