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4대 과기원 예산,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이관되면 연구·교육 재정투자 확대되고 안정적 지원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4대 과학기술원 예산이 신설·추진 중인 (가칭)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로 이관되면, 과기부 책임 하에서 연구·교육 재정투자가 확대되고 안정적으로 지원된다”고 밝혔습니다.

11월 10일 머니투데이 <4대 과기원 예산 교육부 이관 논란, 예산승인권 교육부 넘어가…과학계 ‘수준하향’ 발칵>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1. 10.(목) 머니투데이, “4대 과기원 예산 교육부 이관 논란, 예산승인권 교육부 넘어가.. 과학계 ‘수준하향’ 발칵” 기사 관련 

ㅇ (중략) 4대 과기원 예산이 교육부로 넘어가면 일반 대학과 동일한 통제를 받고 결국 과학기술 수월성 기반의 선도적 연구·교육·창업 등이 어려워진다는 우려..

ㅇ (중략) 4대 과기원 예산승인권이 교육부로 넘어가는 중차대한 문제임에도...

ㅇ (중략) 교육부 산하에서는 다른 4년제 대학과 예산확보 경쟁까지 벌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과기원법이 있다고 해도 예산이 교육부로 넘어가면 관리·감독권한도 넘어갈 수밖에 없을 것‘ 이라며...(후략)

[기재부 설명]

국가 미래경쟁력을 좌우할 첨단분야 인재 양성, 교육·연구여건 개선 등 고등교육기관 경쟁력 강화가 절실한 상황에서 지속 증가하는 교육교부금, 교육분야 재정투자 불균형 등으로 고등교육 재정 확충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정부는 교부금 일부와 정부 추가재원을 활용하여 고등교육 및 연구에 안정적 재정지원을 위한 (가칭)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신설을 추진하는 중으로 위 보도에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어 바로 잡습니다. 

① 신설 추진 중인 교육부 소관 고등평생교육특별회계에 과기부 소관 4대 과학기술원을 이관하는 이유는?

⇒ 4대 과학기술원은 연구를 중심으로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입니다. 국채를 발행하여 충당하는 재정여건상 충분한 지원이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여, 새로이 확보되는 추가재원으로 고등교육·연구에 대한 재정투자를 확대하기 위함입니다. 

② 4대 과학기술원 예산을 특별회계로 이관하면, 소관이 교육부로 바뀌고, 예산 승인권이 교육부로 넘어가는 것인가?

⇒ 4대 과학기술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기관으로, 고등·평생교육특별회계로 이관되더라도, 예산편성·집행은 현행 절차와 동일하게 진행되며, 교육부로 예산승인권이 넘어간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 (현행절차) 과기원 → 혁본 검토·국과심 심의(6월) → 정부안편성(기재부) → 국회심의(과방위 등)

또한, 과기부가 다른 부처 소관 특별회계를 통해 추진 중인 사업*의 예산 권한은 해당 특별회계의 관리책임자가 아닌 과기부에 있는 것과 같이, 4대 과기원 예산이 다른 특별회계에 있더라도 과기부가 예산 권한을 갖습니다.

* 산업부 장관이 관리·운영하는 他회계 내의 과기부 사업 예시 : 에특회계(4개사업) 0.45조, 소특회계(10개사업) 0.41조

③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로 이관되면 4대 과학기술원 학과신설과 정원확대 등에 교육부 통제를 받나?

⇒ 4대 과학기술원은 한국과학기술원법 등 특별법에 의해 현재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관리감독을 받으므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로 이관한다고 하여 교육부 통제를 받지 않습니다.  

④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로 이관되면 예산편성 절차가 달라지나?

⇒ 4대 과학기술원 예산은 과기부가 주요 R&D 규모 및 지출한도 범위 내에서 예산을 수립하고, 기획재정부가 정부안을 마련하여, 과방위 등 국회심의를 거쳐 확정됩니다. 마찬가지로 특별회계 내에 있는 교육부 사업은 교육부 지출한도 내에서 정부안이 편성되고, 교육위 등 국회 심의과정을 거쳐 확정되므로 이는 현재 예산편성 절차와 동일합니다.

⑤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로 이관되면 일반대학과 같은 통제를 받아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이 어려워진다?

⇒ 금번 신설 추진되는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로 추가적으로 확보하게 되는 재원을 활용하여 4대 과학기술원에 재정투자가 확대되고, 안정적인 재원을 통하여 연구·교육 여건이 현재보다 개선되어 수월성이 더욱 확대됩니다.

⑥ 앞으로 향후 진행계획은 어떻게 되나?

⇒ ‘23년 예산안 증액요구가 마무리되는 내주 초까지, 4대 과학기술원의 의견을 존중하여 이관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연구개발예산과(044-215-737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