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3월 산업활동동향

2025.04.30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3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드리겠습니다.

먼저, 생산 부문입니다.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9% 증가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서비스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1.3% 증가하였습니다.

광공업생산은 전기·가스업에서 줄었으나 광업 및 제조업에서 늘어 전월대비 2.9% 증가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광업 및 전기·가스업에서 줄었으나 제조업에서 늘어 5.3% 증가하였습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2.4% 감소하였고 전년동월대비 4.6% 감소하였습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4.9%로 전월대비 1.7%p 상승하였습니다.

서비스업생산은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늘었으나 도·소매, 금융·보험 등에서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음식점·숙박업 등에서 줄었으나 운수·창고,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늘어 0.7%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소비 부문입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오락·취미·경기용품 등 준내구재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 의약품 등 비내구재에서 판매가 늘어 1.5%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투자 부문입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늘었으나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에서 투자가 줄어 전월대비 0.9% 감소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 및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모두 늘어 14.1% 증가하였습니다.

건설기성은 토목 및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줄어,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대비 2.7% 감소하였고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축 및 토목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14.7% 감소하였습니다.

건설수주는 주택 등 건축에서 수주가 늘었으나 기계설치 등 토목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동월대비 8.7%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경기 부문입니다.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광공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수입액 등이 상승하여 전월대비 0.3p 상승하였습니다.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수출입 물가 비율, 코스피 등이 상승하여 0.2p 상승하였습니다.

참고로 금월은 1/4분기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하는 달로 42페이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고 질문 있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3월 데이터에서 찾을 수 있는 것, 특징이나 의미 같은 것 좀 짚어 주실 수 있으실까요?

<답변> 일단 전체적인 3월 데이터 총평 말씀드리면 소매판매나 설비투자 등 지출 쪽은 다소 주춤하는 측면이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지난 2월 상승에 대한 조정의 성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반면에 생산, 특히 제조업 등에서 반도체, 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전체 생산이 호조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광공업생산지수는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냈고, 다만 최근 관세 관련돼서 경기 불확실성 등 향후 추이를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네.

<질문> 반도체는 많이 늘었는데 이게 어떤 사이클상 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답변> 일단 반도체 같은 경우 그동안 작년부터 계속 쭉 상승해 왔고요. 특히, HBM이나 DDR5 등 고사양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수요 지속이 역대 최고여서 이번 달에 13.3% 증가하였습니다.

<질문> 소매판매 중에서는 내구재 판매가 많이 줄었는데 이것 어떤 배경이 있을까요?

<답변> 일단 소매판매에서 내구재 판매가 이번 달에 줄었는데요. 전월비 기준으로 내구재가 8.6% 감소하였습니다. 이게 지난달에 저희가 휴대폰 신제품 출시라든지 자동차 전기보조금 조기 집행이라든지 이런 영향으로 인해서 크게 증가했던 기저효과로 인해서 이번 달에 내구재는 감소하였다고 보입니다.

더 이상 질문 없으시면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