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5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겠습니다.
2025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로 전월대비 0.2%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로는 1.2... 2.1% 상승하여 전월 2.2%보다 0.1%p 하락하였습니다.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0%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2.3% 상승하였습니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구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2.5% 상승하였습니다.
식품은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3.2% 각각 상승하였으며,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4% 하락, 전년동월대비 2.0% 상승하였습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2.0% 상승, 전년동월대비 0.5% 하락하였습니다.
다음, 4페이지의 지출목적별 동향을 보면 전월대비 교통, 식료품·비주류음료 등은 상승하였고, 교육, 기타 상품·서비스 등은 변동 없으며, 주택·수도·전기·연료, 가정용품·가사서비스는 하락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 식료품·비주류음료, 음식·숙박 등은 상승하였고, 통신은 변동 없으며, 교통은 하락하였습니다.
다음, 6페이지의 품목성질별 동향을 보면 상품은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1.8% 상승하였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2.1% 각각 상승하였고,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1.6% 각각 상승하였으며,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5.3% 하락,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하였습니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집세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0.8% 각각 상승하였고,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4% 각각 상승하였으며,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3.1%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주요 등락품목은 7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있으시면 질문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질문 없으시면 총평 한번 하고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7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는 전월보다 0.1%p 하락한 2.1% 상승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주요 등락 및 상승 폭 변동 요인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하락 요인입니다.
농산물의 경우 곡물은 전년도 생산량 및 재고량 감소로 쌀 등이 올라 상승하였으나 채소와 과실이 전년대비 출하량 증가 및 기저 영향으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1% 하락하였습니다.
하락 폭은 폭염, 폭우로 채소와 과실이 전월대비 상승 전환하면서 전월에 비해 축소되었습니다.
석유류는 전년동월대비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1.0% 하락하였습니다.
다음은 상승 요인입니다.
개인서비스는 전년동월대비 3.1% 상승하였는데 외식은 생선회 외식, 삼겹살 외식 등이 오르며 상승 폭이 확대되었으나, 외식제외는 승용차 임차료, 해외 단체여행비 등이 내려 상승 폭이 둔화되었습니다.
가공식품의 경우 커피, 발효유 등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의 순차 반영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하였으나 7월 유통업체 할인행사 등으로 상승 폭은 둔화되었습니다.
정리하면 7월 소비자물가는 폭염, 폭우 등으로 농축수산물 상승 폭이 확대되었으나 외식제외 개인서비스와 가공식품의 상승 폭이 둔화되고 석유류가 하락 전환되면서 전월보다 0.1%p 하락한 2.1% 상승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추세적인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0% 상승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7월 외식 물가 품목 중에 39개 중에 피자 하나만 빼고 전부 다 상승한 걸로 보이는데요. 이거에 대한 배경 설명 부탁드리고, 피자는 왜 하락했는지도 한번 여쭤보겠습니다.
<답변> 일단 가공식품은 전체 73개 품목으로 구성이 되어 있... 외식이요? 외식은 전체 39개 품목으로 구성돼 있고요. 상승이, 7월에 상승이 38개입니다. 하락은 1개이고요. 상승한 주요 품목을 기여도 순으로 보면 생선회 외식, 커피 외식, 치킨, 구내식당 식사비 등이 주요하게 상승을...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원재료비 가격... 원재료 가격이 인상되었고, 그리고 인건비 등도 인상되면서 그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외식물가가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하락한 피자 같은 경우에는 작년 11월에 세일가, 일부 대상처에서 세일가가 반영되면서 지속적으로 지금 이번 달에도 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질문> 방금 말씀해 주신 품목들 기여도도 말씀해 주세요.
<답변> 기여도요? 외식 중에 생선회 외식은 동월비는 6.3% 상승했고요. 기여도는 0.066입니다. 커피 외식은 동월비는 4.1% 상승하였고 기여도는 0.035입니다. 치킨은 동월비 3.2% 상승하였고 기여도는 0.029입니다. 이 정도만 말씀드리면 될까요? 3개 품목 정도만 말씀드리면 될까요?
<질문> 구내식당 식사비도.
<답변> 구내식당 식사비는 동월비 2.1%고요. 기여도는 0.027입니다.
<질문> 아까 설명해 주실 때 대형마트 할인행사 같은 거를 설명해 주셨단 말이에요. 그런데 그게 지금 소비쿠폰의, 소위 말해서 대형마트에서 소비쿠폰을 쓸 수 없으니까 저희가 추정컨대 대형마트가 그거에 대한 대응으로서 할인행사를 많이 펼쳤다, 라고 그렇게 봐도 될 건지, 그런 게 좀 있어서.
<답변> 네, 대형마트에서도 보면 7월에 저희가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봤을 때 자체 할인도 많이 한 것으로 파악이 됐습니다. 그런 것들이 반영되면서 가공식품의 전체적인 상승률이 좀 둔화됐다고 저희는 보고 있습니다.
<질문> 아까, 제가 이건 좀 몰라서 여쭤보는 건데 집세 관련해서요. 월세가 1.1%로 전년동월대비는 굉장히 많이 올랐다, 라고 볼 수가 있는데 1.1% 정도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좀 체감할 수 있는, 쉽게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답변> 월세의 최근 동향을 보면 2월, 3월, 4... 2월부터 계속 1%의 상승세를 보이고는 있습니다. 가장 최대치는 4월에 1.2% 상승한 게 가장 최고였는데요. 이게 4월 1.2% 상승 당시에 11년 만의 최고 상승이었습니다. 2014년 4월에 1.2%였었거든요, 2014년 4월에.
그래서 최근에 보면 조금 높은 상승률...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라고 저희는 보고 있는데 그것은 아무래도 전세대출이 강화가 됐고, 그리고 또한 1인 가구... 1~2인 가구가 늘면서 월세 수요도 좀 늘고 전세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또 월세로 눈을 돌리는 월세 수요가 증가하는 영향, 그래서 전세의 월세화 영향 등으로 월세가 최근에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혹시 추가 질문 없으시면 마치고 플로어에서 계속 질문 있으시면 받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