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8월 고용동향

2025.09.10 공미숙 사회통계국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8월 고용동향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1쪽, 전체 요약입니다.

OECD 비교기준 15~64세 고용률은 69.9%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고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전년동월대비 1.6%p 하락하였습니다.

실업률은 2%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고 청년층 실업률은 4.9%로 전년동월대비 0.8%p 상승하였습니다.

취업자는 2,896만 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 6,000명 증가하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30대, 40대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고 실업률은 20대, 40대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다음은 2쪽입니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부동산업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4만 8,000명 증가하였으나 임시근로자는 1만 2,000명, 일용근로자는 6만 7,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5,000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6만 5,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 3,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실업자는 20대, 40대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2만 8,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연로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쉬었음', 재학·수강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9,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7쪽, 본문입니다.

15세 이상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를 살펴보면 2025년 8월 15세 이상 인구는 4,577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만 3,000명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인구는 2,955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만 4,000명 증가하였습니다.

8쪽입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4.6%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습니다.

다음은 9쪽, 취업자 동향입니다.

2025년 8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896만 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 6,000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3.3%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69.9%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10쪽입니다.

연령계층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60세 이상에서 40만 1,000명, 30대에서 9만 6,000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20대에서 19만 5,000명, 40대에서 7만 3,000명, 50대에서 3만 8,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고용률은 60세 이상, 40대, 30대에서 상승하였습니다.

12쪽입니다.

직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서비스 종사자, 사무 종사자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판매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13쪽입니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423만 5,000명으로 148만 4,000명 감소하였고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394만 6,000명으로 160만 5,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4.9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8시간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14쪽, 실업자 동향입니다.

2025년 8월 실업자는 59만 2,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8,000명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2%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15쪽입니다.

연령계층별 실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20대, 40대 등에서 증가하였습니다.

교육 정도별 실업률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중졸 이하에서 0.5%p 하락하였고 고졸에서 0.3%p, 대졸 이상에서 0.1%p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16쪽입니다.

과거 취업 경험 유무별 실업자의 경우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3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000명 증가하였고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56만 2,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2,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025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22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000명 증가하였습니다.

18쪽입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연령계층별 '쉬었음' 인구는 60세 이상, 30대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으나 40대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구직단념자는 40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만 3,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19쪽, 고용보조지표입니다.

2025년 8월 전체 고용보조지표3은 8.2%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고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15.3%로 전년동월대비 0.6%p 상승하였습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고 질문 있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30대 '쉬었음'이 많이 늘었는데요. 그런데 이게 고용이라든지 취업자 수는 늘어난 것 같아서, 이게 서로 반대로 가는 것 같은데 이게 어떤 이유인지 말씀 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쉬었음' 인구는 비경제활동인구잖아요. 비경제활동인구의 활동 상태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추세적으로 30대에서도 청년층과 비슷하게 육아·가사가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비중이. 그 비중이 '쉬었음'으로 많이 넘어가고 있는 거라서 비경제활동인구 규모는 비슷한데 그 안에서 구성 요소가 달라진다, 그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질문> '육아·가사를 안 하고 그냥 쉰다.' 이렇게 보면 되는 건가요, 이게 그러면?

<답변> 출산... 결혼이나 출산이 뒤로 미뤄지고 있는 부분과 또 줄어들고 있는 부분, 이런 것들이 육아·가사로 답변하는 답이 줄어들게 만드는 그런 요소가 될 것 같습니다.

<질문> 청년 같은 경우는 계속해서 대기업 공채 감소라든지 이런 연유로 줄어드는 거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게 어떤 인구 구조 수라든지 또 다른 기타 요인은 없을지 궁금합니다.

<답변> 인구를 반영해서 봐야 되기 때문에 취업자 수가 줄어드는 것은 실제, 그 연령대 인구가 줄어드는지 같이 봐야 되고요. 그런 부분들을 감안해서 고용률을 보고 있는 것이고 청년층이 고용률도 지금 계속 마이너스로 가고 있기 때문에 지금 상황은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더 이상 질문 없으시면 총평 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8월 고용동향 총평입니다.

취업자는 지난달에 이어 증가세를 보였으며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도 증가하였습니다.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6만 6,000명 증가하였는데 산업별로 보면 보건·복지, 교육서비스, 부동산업에서 증가를 주도하였고 지위별로는 상용직에서,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30대에서 증가하였습니다.

계절조정취업자는 전월대비 7,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실업자는 청년층, 40대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2만 8,000명 증가하였고 비경제활동인구는 60세 이상, 청년층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9,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이상 브리핑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