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중앙부처·지자체 과장급 5명 중 1명 이상은 여성
중앙부처·지자체 과장급 5명 중 1명 이상은 여성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 3개년 추진성과 및 2021년 추진계획-
‣ 2년(‘19~’20) 연속 공공부문 12개 전 분야 목표 달성
‣ 중앙 본부과장급(22.8%) 및 지방 과장급(20.8%) 5명 중 1명 이상은 여성
‣ 3년 새 공공기관 여성 임원 17.9%에서 22.1%로 증가
‣ 여성 비율 낮은 98곳, 남성 비율 낮은 4곳 등 정부위원회 102곳에는 개선 권고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 ‘20년 분야별 이행 현황> (‘20.12.31. 기준, 단위:%) |
|||||||||
소관 부처 |
추진 분야 |
‘18년 실적 |
‘19년 실적 |
’20년 실적 |
‘21년 |
‘22년 |
|||
목표 |
실적 |
달성률 |
기존목표 |
기존목표 |
|||||
인사처 |
①고위공무원 |
6.7 |
7.9 |
8.2 |
8.5 |
103.7 |
9.6 |
10.0 |
|
②본부과장급(4급 이상) |
17.5 |
20.8 |
21.0 |
22.8 |
108.6 |
23.0***** |
25.0 |
||
행안부 |
③지방 과장급(5급 이상) |
15.6 |
17.8 |
18.6 |
20.8 |
111.8 |
20.0 |
21.0 |
|
기재부 |
④공공기관 임원 |
17.9 |
21.1 |
21.8 |
22.1 |
101.4 |
22.4 |
23.0 |
|
⑤공공기관 관리자* |
23.8 |
25.1 |
25.4 |
26.4 |
103.9 |
26.6 |
28.0 |
||
행안부 |
⑥지방공기업 관리자** |
6.9 |
9.1 |
9.3 |
10.6 |
113.9 |
9.6 |
10.0 |
|
교육부 |
⑦국립대 교수*** |
16.6 |
17.3 |
17.5 |
18.1 |
103.4 |
18.1 |
19.0 |
|
⑧교장·교감 |
42.7 |
44.1 |
44.3 |
44.5 |
100.5 |
44.7 |
45.0 |
||
국방부 |
⑨군인 간부 |
6.2 |
6.8 |
7.4 |
7.5 |
101.4 |
8.1 |
8.8 |
|
경찰청 |
⑩일반경찰 |
11.7 |
12.6 |
13.4 |
13.4 |
100.0 |
14.2 |
15.0 |
|
|
⑩-1관리직 |
5.9 |
6.1 |
6.3 |
6.5 |
103.2 |
6.6 |
7.0 |
|
해경청 |
⑪해양경찰 |
12.0 |
12.7 |
13.2 |
13.2 |
100.0 |
13.8 |
14.4 |
|
|
⑪-1관리직 |
2.2 |
2.5 |
2.6 |
2.7 |
103.8 |
2.7 |
2.8 |
|
여가부 |
⑫정부위원회**** |
41.9 |
43.0 |
40.0 |
43.2 |
108.0 |
40.0 |
40.0 |
※ (여성 고위공무원 수) : (’18년) 102명(6.7%)→(’19년) 122명(7.9%)→(’20년) 132명(8.5%) ▲ ‘18년 대비 30명 증가 (중앙부처 본부과장급 여성공무원 수) : (’18년) 311명(17.5%)→(’19년) 372명(20.8%)→(’20년) 426명(22.8%) ▲ ‘18년 대비 115명 증가 (지방과장급 여성공무원 수) : (’18년) 3,631명(15.6%)→(’19년) 4,325명(17.8%)→(’20년 잠정) 5,160명(20.8%) ▲ ‘18년 대비 1,529명 증가 |
※ 공공기관 여성임원 수 : (’18년) 647명(17.9%) → (’19년) 772명(21.1%) → (’20년) 810명(22.1%) ▲‘18년 대비 163명 증가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수 : (’18년) 13,008명(23.8%) → (’19년) 16,774명(25.1%) → (’20년) 18,832명(26.4%) ▲‘18년 대비 5,824명 증가 |
* 300인 이상 25개→공사공단 포함 151개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지표 배점 확대(‘여성관리직 확대 노력도’ 경영평가 반영 비율 : 0.6점→1점) ※ 지방공기업 여성관리자 수 : (’18년, 25개 기준) 302명(6.9%) → (’19년, 151개 기준) 667명(9.1%) → (’20년, 151개 기준) 789명(10.6%), ▲‘18년 대비 487명 증가 |
※ 국립대 여성 교수 수(38개 대학 기준) : (’18년) 2,521명(16.6%) → (’19년) 2,638명(17.3%) → (’20년) 2,785명(18.1%), ▲‘18년 대비 264명 증가 초중등 여성 교장교감 수 : (’18년) 8,288명(42.7%) → (’19년) 8,596명(44.1%) → (’20년) 8,731명(44.5%), ▲‘18년 대비 443명 증가 ‘20년 신규 임용 교원 중 여성 비율(한국과학기술원 21.4%, 광주과학기술원 25%,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8.6%, 울산과학기술원 25%) |
※ 여성 군인 간부 신규 임용 확대 : (‘18년) 1,537명→ (‘19년) 1,844명 → (‘20년) 1,975명(131명 증가) 여성 군 간부(장교부사관 통합관리) 비율 : (’18년) 6.2% → (’19년) 6.8% → (’20년) 7.5% ▲‘18년 대비 1.3%p 증가 항공병과 최초 여군 소장(항공작전사령관) 및 정보병과 최초 여군 준장 진출(’19년) |
※ 일반경찰 여경 인원 수 : (’18년) 14,327명(11.7%) → (’19년) 16,106명(12.6%) → (’20년) 17,524명(13.4%) ▲‘18년 대비 3,197명 증가 해양경찰 여경 인원 수(가용정원 기준) : (’18년) 739명(12.0%) → (’19년) 878(12.7%) → (’20년) 1,000명(13.2%) ▲‘18년 대비 261명 증가 |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 분야별 연도별 목표(’21~’22년)> |
||||||
추진 분야 |
‘18년 실적(%) |
‘19년 실적(%) |
‘20년 실적(%) |
‘21년 목표(%) |
‘22년 목표(%) |
|
①고위공무원 |
6.7 |
7.9 |
8.5 |
9.6 |
10.0 |
|
②본부과장급(4급 이상) |
17.5 |
20.8 |
22.8 |
23.0 |
25.0 |
|
③지방 과장급(5급 이상) |
15.6 |
17.8 |
20.8 |
(기존 20.0) 21.5 |
(기존 21.0) 22.5 |
|
④공공기관 임원 |
17.9 |
21.1 |
22.1 |
22.4 |
23.0 |
|
⑤공공기관 관리자 |
23.8 |
25.1 |
26.4 |
26.6 |
28.0 |
|
⑥지방공기업 관리자 |
6.9 |
9.1 |
10.6 |
(기존 9.6) 10.8 |
(기존 10.0) 11.0 |
|
⑦국립대 교수 |
16.6 |
17.3 |
18.1 |
(기존 18.1) 18.3 |
(기존 19.0) 19.1 |
|
⑧교장·교감 |
42.7 |
44.1 |
44.5 |
44.7 |
45.0 |
|
⑨군인 간부 |
6.2 |
6.8 |
7.5 |
8.1 |
8.8 |
|
⑩일반경찰 |
11.7 |
12.6 |
13.4 |
14.2 |
15.0 |
|
|
⑩-1관리직 |
5.9 |
6.1 |
6.5 |
6.6 |
7.0 |
⑪해양경찰 |
12.0 |
12.7 |
13.2 |
13.8 |
14.4 |
|
|
⑪-1관리직 |
2.2 |
2.5 |
2.7 |
(기존 2.7) 2.8 |
(기존 2.8) 2.9 |
⑫정부위원회 |
41.9 |
43.0 |
43.2 |
40.0 |
40.0 |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